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비
손모
소각
소면
손상
고갈
카딩
뉴스
"
소모
"(으)로 총 868건 검색되었습니다.
병상확보 행정명령 떨어졌지만 의료진 재배치·추가 확보가 난항
동아사이언스
l
2020.12.23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코로나19 중환자 병상은 일반 중환자 병상과 달리 의료진
소모
도 크고 각종 보호구 및 장치 마련 등의 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주영수 코로나19 공동대응상황실장(국립중앙의료원 기획조정실장)에 따르면 코로나19 환자는 다른 이와의 접촉이 없게 격리돼야 한다. 병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힘든 연말을 버티는 방법
2020.12.19
활동만 하는 것도 좋다. 또 다시 다가온 겨울과 싸우기보다 가급적 힘을 아끼고 정신적인
소모
라도 줄이는 것도 좋겠다. 여느 때보다 힘든 연말을 보내고 있는 나와 내 주변 사람들 모두에게 따듯한 위로를 건내보자. 힘든 현실에서 마음마저 지옥에 빠져버리면 상황이 나아져도 여전히 지옥에 남게 ... ...
[소재의 미래]⑸전 세계 전기 자동차가 선택한 궁극의 배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0.12.16
붙들 수 있어야 한다. 음극재와 양극재의 양을 늘리면 되지만 배터리 무게가 늘어나 전력
소모
가 커지면 도루묵이다. 이런 이유로 2차전지 연구는 곧 양극재와 음극재에 관한 연구고, 그중에서도 양극재가 중요하다. 선 교수는 “현재 쓰이는 양극재는 g당 1시간 동안 흐르는 전류량이 200mAh ... ...
막대한 에너지 투입해 생산하던 암모니아, 쇠구슬 굴려서 만든다
2020.12.15
높은 온도와 높은 압력에서 결합시켜 대량의 암모니아를 얻는 원리다. 하지만 에너지
소모
가 많고 연료를 태우는 과정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가 문제가 되고 있다. 연구팀은 쇠구슬 500g(왼쪽)과 볼 밀링 장비(오른쪽)를 사용해서 암모니아 생산 실험을 진행했다. UNIST 제공 연구팀은 하버-보슈법 ... ...
[인간 행동의 진화] 언제까지 싸움만 할 것인가
2020.12.13
해본 적이 없어서 사실 잘 모르겠만 분명 인간의 경우에는 그렇다. 하지만 어느 순간
소모
전은 갑자기 종결된다. 수렴하는 등비급수의 당연한 결과다. 인류의 깊은 심성 속에서 오랜 세월을 통해 빚어진 신념, 평화를 위한 고결한 동기와 위대한 이상이 부르는 기나긴 투쟁과 잔혹한 파괴. 이러한 ... ...
병원균의 항생제 내성 여부 눈으로 판별한다
2020.12.08
증식을 억제하지만 내성을 가지면 이를 막기 어렵다. 내성을 가지면 산소를 더 많이
소모
하게 된다. 도파민이 담긴 용액은 산소가 있으면 도파민끼리 달라붙으며 갈색으로 변한다. 반면 산소가 적을수록 반응이 덜 일어나면서 용액의 색이 투명하게 유지된다. 연구팀은 카바페넴 계열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근육과 글루타민
2020.12.01
로버트 시네츠키는 “글루타민 보충제를 먹어도 위나 간, 장 같은 소화기관에서
소모
되기 때문에 혈관을 거쳐 근육까지 도달하는 양은 미미하다”고 설명했다. 암과 글루타민의 관계도 비슷하다. 암세포가 글루타민을 좋아한다고 해서 섭취를 줄여봐야 효과를 보기 어렵다. 암세포는 어떻게 ... ...
[소재의 미래]⑵친환경 냉방 소재 혁명 이끄는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1.25
주변의 열을 흡수한다. 기체인 냉매를 압축해 액체로 되돌릴 때 많은 전기에너지가
소모
되고 열이 발생한다. 반면 흡착식 냉·난방기는 물 분자를 빨아들여 냉방을 촉진하고 열이 가해지면 물 분자를 내뱉는 흡착제를 이용하기 때문에 일반 에어컨의 10분의 1 정도 전기로 작동한다. ○ 친환경 ... ...
해상 IoT 중계기 숫자 최소화하는 기술 국내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1.17
설치하거나 기기를 실은 선박을 현장에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
된다. 연구팀은 해상 IoT 기기와 게이트웨이 간 데이터 전송 성공확률과 지연시간을 분석해 기기별로 요구하는 통신 성능을 만족하면서도 게이트웨이 사용은 최소화하는 수중음향센서 네트워크 운용 ... ...
현미경 사진만으로 자성물질 특성 파악...'AI 감별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7
자성 도메인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이 많이 이뤄져 왔지만 시간과 자원이 많이
소모
돼 어려움이 컸다. 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딥러닝을 이용한 예측 알고리즘을 만들었다. 먼저 난수를 이용한 확률 기법인 몬테카를로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자성 도메인 이미지를 생성한 뒤 이를 AI에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