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74건 검색되었습니다.
홀로그램 구현해 원자·분자 구조 파악하는 '초고속 카메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입자의 광전자 홀로그램 패턴을 추출하고 조작하는 데 성공한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
빛
: 과학과 응용' 5월호에 공개했다고 12일 밝혔다. 생물체를 이루는 세포와 분자 간 상호작용을 밝히거나 신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물질의 구조를 분석하는 연구는 원자 규모에서 이뤄지는데 이때 각 메커니즘을 ... ...
잡아당겨도 고해상도 유지하는 OLED 디스플레이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펴지기 때문에 성능 좋은 발광소자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었다. 문제는 이를 늘리면
빛
을 내지 않는 선이 늘어나면서 전체 발광 면적이 줄어들어 해상도가 떨어진다는 점이었다. 연구팀은 휘거나 접을 수 있는 초박막 OLED를 활용해 문제를 해결했다. 접었을 때 보이지 않는 발광 영역 사이를 ... ...
초신성 80개 새롭게 발견…"우주 팽창 연구 큰 자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폭발을 일으키는 la형 초신성은 다른 초신성보다 높은 질량에서 폭발하기 때문에 더 강한
빛
을 낸다. 우주의 팽창률을 계산하는 데 더 유리하다. 연구팀은 "이번 발견은 초기 우주에서 별의 형성과 초신성 폭발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레이저로 열에너지 정밀 제어…고효율 AI반도체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펄스레이저 어닐링 공정'을 개발했다. 355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의 짧은 파장의
빛
이 머리카락 굵기의 2000분의 1 정도의 깊이까지만 침투했다. 강유전체를 가공하는 데 필요한 열에너지가 하부 회로까지 전달되지 않았다. 레이저 기술을 활용해 상대적으로 저온인 250°C 이하에서 FeFET를 만들고 ... ...
영하 80도 버티는 섬유형 태양전지 제작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가져다 줄 수 있다"고 말했다. 플라즈모닉 효과는 금속 나노입자 표면에 특정 파장의
빛
을 쬐면 금속의 유도전자가 강한 진동을 일으켜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현상이다. 자발적으로 열을 내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송 책임연구원은 “하이브리드 바이오 나노구조체를 활용하면 전자소자의 성능과 ... ...
실내조명 활용해 초고감도로 이산화질소 감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방식 가스 센서가 주목받고 있지만 그동안 인체에 유해한 자외선 또는 근자외선 영역의
빛
을 활용하는 데 그쳤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사용하는 가시광의 영역을 녹색광까지 확대해 범용성을 크게 높였다. 실제 실험에서 녹색광을 조사했을 때 이산화질소 감지 반응성이 기존 대비 52배로 ... ...
불소 치약 대신 '이것'?…'욱신욱신' 충치 막으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6.08
널리 알려진 방법이 불소(플루오린)가 든 치약이나 용액을 쓰는 것이죠. 불소는 연한 노란
빛
을 띠는 화학 원소로 치아에 얇은 막을 입혀서 충치균의 산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해요. 단 불소에는 독성이 있어서 삼키면 안 돼요. 남옥형 경희대 치대 교수는 "치약에 든 불소는 양이 적어 몸에 ... ...
영국·인도·에티오피아 대기오염, 디지털 작품이 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6
프란시스 포프 버밍엄대 교수는 “대기 오염은 세계적인 환경 위험 요소”라며 “
빛
으로 그림을 그려 사람들에게 쉽게 대기 오염 수준을 비교할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연구에 참여한 사진작가 로빈 프라이스는 "과학적 지식이 없는 사람들도 접근할 수 있는 대기 오염에 대한 시각적 ... ...
[과기원NOW] KAIST, 세포막 간 상호작용 매개하는 '지질 뗏목' 원리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05
5일 밝혔다. 연구팀이 제작한 메타표면은 기존에 비해 양자점에서 방출된 특정 방향의
빛
을 더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지난달 2일 국제학술지 '나노 레터스'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 지난달 18일 '제1회 GIST 과학상상 어린이 미술대회'를 열고 최근 수상작을 ... ...
올여름 80년만의 '신성 폭발' 맨눈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일어난다. 태양이 100억년 동안 방출할 에너지를 한꺼번에 방출하며 태양 10억개 밝기로
빛
난다. 현재 초신성 폭발이 가장 임박한 별로는 지구에서 64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베텔게우스 별이 꼽힌다. 반지름이 태양 800배에 이르는 거대한 별이다. 폭발 시기는 10만년 이내로 광범위하게 예측되고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