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뉴스
"
분
"(으)로 총 10,494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 또한 지나갈 것…비극적 낙관주의
2024.10.19
병 고치는 일만 생각하는 전문가들의 판단을 최대한 존중하고 있다. 생각해보면 그런
분
들이 세상에 있다는 것이 참 감사한 일이다. 없을 수도 있을텐데 있어서 얼마나 다행인가? 딱 한 번 약을 끊어본 적이 있는데 왜 약에만 의존하고 다른 민간요법 등은 시도해 보지 않냐는 엄마의 끈질긴 설득에 ... ...
[사이언스영상] 208 기가픽셀의 우주 지도
SEIZE
l
2024.10.19
별 사이에 떠 있는 구름처럼 보인다. 유클리드의 목표는 우리은하 바깥 밤하늘 중 3
분
의 1을 지도로 만드는 거다. 이번에 공개한 지도는 이 중 1%지만 이미 12%까지 관측을 마쳤고 다음 지도 공개는 2025년 3월로 예정돼 있다. ●씨즈 영상 자세히보기 https://m.site.naver.com/1vzl ... ...
자각몽·악몽은 왜 꾸는 걸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19
때문이에요. 신홍범 전문의는 '잠을 못 자거나 피곤하면 가위눌림이 발생할 수 있기에 충
분
히 많이 자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Q. 예지몽과 태몽은 진짜인가요? "사람의 뇌는 꿈꾸기 전 여러 가지 사건을 경험하고 그 사건을 모아 새롭게 엮은 뒤 꿈으로 보여줍니다. 그래서 꿈속 사건이 새로운 ... ...
"전기차 화재 잘 활용하면 오히려 큰 기회 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말했다. 이어 "하지만 대기업 기술 보안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상충하는 부
분
이 있다"며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답은 잘 모르겠지만 회색 지역에서 멋지게 해결했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 ...
페리지 "발사체 시험발사 연기"…쉽지 않은 로켓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세 발사체 개발을 완료할 예정이다. 한빛-마이크로는 내년 3
분
기, 한빛-미니는 26년 4
분
기에 상업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박재홍 우나스텔라 대표. 우나스텔라 제공 2022년 2월 설립된 '우나스텔라'도 있다. 우나스텔라는 국내 최초 민간 유인 우주 발사체 개발에 도전하고 있다. 연내 자사가 ... ...
[어린이 우주인의 기록]④ 초소형 인공위성 설계·제작하는 '나라스페이스' 방문
동아사이언스
l
2024.10.18
성공적으로 지구 저궤도에 안착했다. 박 대표는 "옵저버 1A호는 지금도 1시간 30
분
마다 지구를 한 바퀴 돌며 주요 랜드마크와 생태계, 기후변화를 관측하고 있다"며 나라스페이스의 인공위성으로 수집된 데이터를 볼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 '어스페이퍼'를 소개했다. 어린이 우주 기자단은 옵저버 ... ...
"비싼 검사기기 대신할 '유연소자' 원격 모니터링 개발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10.17
강달영 연세대 교수를 시작으로 한국 학생들 덕
분
에 많은 득을 봤다"며 "연구실의 3
분
의 1 정도가 한국인인데 다들 부지런하고 논문도 잘 쓴다"고 전했다 ... ...
미적
분
공략, 시작됐다…시즌 2로 돌아온 신개념 수학 토크쇼
동아사이언스
l
2024.10.17
“흥미로운 강연 주제로 다수의 시청자를 끌어 모았던 시즌1처럼 이번에도 많은
분
들이 수학과 친해지면 좋겠다"고 전했다. 세나수 시즌 2 강연 소개. 카오스재단 ... ...
서서 일하는 책상, 건강에 나쁠 수도…왜?
동아사이언스
l
2024.10.17
움직임을 추적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2시간 이상 서 있는 상태에서 추가적으로 30
분
씩 더 서 있을 때마다 심부정맥 혈전증이나 정맥류와 같은 순환계 질환 발생 위험이 11% 증가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심부정맥 혈전증은 다리 안에 있는 정맥의 혈류 장애로 혈액이 정체되고 응고되면서 혈전 ... ...
[어린이 우주인의 기록]③ 인공위성 어떻게 만들어지나…항우연 위성총조립 시험센터 탐방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17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아리랑위성이 지구 한 바퀴를 도는 데 1시간 30
분
밖에 걸리지 않는다"며 "아리랑위성은 우주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가 우주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션에 참여한 김강윤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