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이져
레이저광선
광선
광메이저
ipod
ipodmini
ipod 5세대
뉴스
"
레이저
"(으)로 총 1,082건 검색되었습니다.
통발, 도마뱀 흉내내 물 제어하는 소재 성능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하고 사막 도마뱀 피부의 관 구조는 피부에 맺힌 물을 입쪽으로 옮긴다. 연구팀은
레이저
공법을 이용해 플라스틱 표면에 V자 홈을 톱니 모양으로 새겼다. V자 홈은 한쪽은 폭이 좁고 다른 한쪽은 폭이 넓어 물이 폭이 좁은 곳에서 넓은 방향으로만 흐르고 모세관 현상이 강하게 나타나도록 구조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2의 미토콘드리아 찾았나
2021.03.23
섬모충의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왼쪽)와 차등간섭대비현미경 이미지(가운데), 공초점
레이저
주사현미경 이미지(오른쪽)다. 오른쪽 내부의 노란 덩어리들이 질산염 호흡을 하는 공생 박테리아다. 네이처 제공 1983년 질산염으로 무산소 호흡을 하는 진핵생물이 처음 보고됐다(원생생물인 섬모충). ... ...
[랩큐멘터리] 인공지능 눈을 갖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3
형태를 상상할 수 있는데 3D 비전도 이를 지향한다. 가령 자율주행차에 달린 라이다(LIDAR·
레이저
레이더)는 빛을 이용해 거리를 감지하는데, 덕분에 일반 카메라와 달리 360도 공간을 모두 스캔할 수 있어 이를 이용해 차량 앞의 사람 등 장애물을 인식한다. 컴퓨터비전연구실의 교수 3명은 ... ...
[화성사운드트랙] 슈퍼캠이 녹음한 화성의 바람 소리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22일 슈퍼캠이 첫 번째로 분석할 목표물 지역을 확정해 공개했다. 가장 큰 암석이 이번에
레이저
를 쏜 ‘마즈’다. 마즈는 인디언 나바호족의 말로 ‘화성’이라는 뜻이다. 마즈와 같은 현무암은 화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번에 관측한 마즈가 화성의 화산 활동이 일어나 만들어진 것인지 ... ...
삼성전자·SK텔레콤·현대모비스 센서 선도기업 민간 R&D협의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디지털 기기나 장비, 기계의 센서는 인간의 오감에 해당된다. 이미지 센서, 라이다(
레이저
레이다) 센서 등 스마트폰과 자동차를 중심으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향후 산업 전분야에서 데이터 처리, 통신 기능이 결합된 첨단 센서 수요도 급증할 전망이다. 그러나 국내 센서 분야 기술수준은 ... ...
화성에
레이저
쏘자 나는 소리는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22일 슈퍼캠이 첫 번째로 분석할 목표물 지역을 확정해 공개했다. 가장 큰 암석이 이번에
레이저
를 쏜 ‘마즈’다. 마즈는 인디언 나바호족의 말로 ‘화성’이라는 뜻이다. 마즈와 같은 현무암은 화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번에 관측한 마즈가 화성의 화산 활동이 일어나 만들어진 것인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면역작용에 상처까지 치료하는 대식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21.03.07
상처 부위에 결합하는 메커니즘을 자세히 관찰하기 위해 이물질이 침입하지 않도록
레이저
를 이용했다. 연구팀은 GATA6+ 대식세포가 상처 부위에 달라붙는 과정을 2개로 나눌 수 있다고 설명했다. 먼저 상처가 나면 복강을 떠다니던 몇 개의 대식세포가 부상 부위에 달라붙고 이후에는 다른 ... ...
[인사] 연세대의료원
동아사이언스
l
2021.03.04
고윤우 △소아청소년암센터장 한승민 △개인맞춤치료센터장 정재호 △흉터성형
레이저
센터장 이주희 △종양내과장 신상준 ◇ 치대병원 △교육연구부 차장 김동욱(1월 1일자) ◇ 용인세브란스병원 △1부원장 박진오 △2부원장 김은경 △기획관리실장 박진영 △기획관리실 기획부실장 송승준 ... ...
LED로 감성 충만 ‘햅틱’ 구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3
먼저 낮은 출력의 광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고가의
레이저
광원에 비해 가격이 1만분의 1에 불과한 소형 LED를 여러 개 사용, 독립적으로 진동을 만들어내는 디스플레이를 제작했다. 진동을 만드는 데는 빛에너지를 흡수해 열에너지로 전환하는 원리를 이용했다. ... ...
미사일 추적 광센서 기반 기술 ‘어쿠스틱 그래핀 플라즈몬’ 최초 관측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3.02
레이저
(빛)를 쪼여 그래핀과 금 사이에 어쿠스틱 그래핀 플라즈몬이 생성되는 개념도. KA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미사일 추적용 광센서와 인체 측정용 적외선 센서에 사용되는 광전소자 성능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릴 기반 기술을 개발했다. 장민석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팀은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