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미
관심
호기심
취미
감흥
취향
잼
d라이브러리
"
흥미
"(으)로 총 1,973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찌릿찌릿~, 전기뱀장어가 공격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전기로 공격하는 거예요.이런 현상은 학계에 발표된 적이 없기에 카타냐 박사는
흥미
를 느끼고 악어 머리 모형과 사람 팔 모형을 수조에 넣어 봤어요. 그러자 전기뱀장어는 격렬하게 뛰어올라 이것들을 공격했지요.카타냐 박사는 전기뱀장어가 물속에서 전기를 뿜으면 전기가 분산되지만, 뛰어올라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신속히 작업할 수 있다.냉동실보다 온도가 낮은 저장고 내부에 성애가 생기지 않는 것도
흥미
로웠다. 장기저장고를 설계한 두영엔시스의 최해룡 이사는 “염화리튬수용액 제습제를 써서 상대습도를 40%로 유지하고 있다”며 “용액을 저장고 내부에 분사한 뒤 습기를 머금은 용액을 공조설비를 ... ...
[Tech & Fun] 고요한 시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곧 시청각 이미지도 공유할 수 있게 될 거예요. 제품 광고의 혁명이 될 겁니다.”“
흥미
롭군요.”남편과 말이 안 통할 때 이 헬멧을 쓰고 대화하면 되겠군. 애가 울면 기저귀 더듬어보고 이마를 짚어보는 대신 헬멧만 씌우면 되겠군. 애가 마음으로 말해주겠지. ‘어머니, 저는 이번에 새로 나온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수청이와 제비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밥그릇처럼 생긴 제비 둥지와 달리 터널처럼 생긴 귀제비 둥지의 모습은 무척
흥미
로웠지요. ‘청개골’ 팀의 신지민 대원은 “제비 둥지와 귀제비 둥지의 모습이 달라서 신기했다”며, “제비가 귀여워서 앞으로 제비 탐사가 기대된다”고 말했어요. 1급 멸종위기종 수청이의 합창!5월 4일 서울 ... ...
[매스미디어] 무한대를 본 남자, 라마누잔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징조가 아니었으면 좋겠다고 하자 라마누잔이 말했다.“아닙니다, 하디 선생님. 아주
흥미
로운 숫자군요. 그건 두 가지 방법으로 두 세제곱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가장 작은 수거든요.”택시수 1729는 두 개의 자연수 세제곱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수다. 한 쌍의 세제곱 합인 숫자를 찾는 것은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연구는 아니었다는 점이다. 분자 사이의 약한 인력을 이용해 카테네인이나 로탁세인처럼
흥미
로운 구조를 갖는 분자를 합성하려고 했던 연구는 순수한 지적 호기심에서 출발했다. 이 호기심은 인류의 미래를 바꿀지도 모르는 분자 기계의 태동으로 이어졌다. 이것이 우리 사회가 기초과학에 관심을 ... ...
[소프트웨어] 자율적으로 배우는 SW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관련 정보를 얻기도 했다. 그리고 직접 자료집을 만들었다. 코딩을 낯설어 하는 학생들의
흥미
를 유발하기 위해 처음에는 신호등이나 자동문처럼 간단하지만 실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것을 알려줬다. 그리고 관련 자료는 학생 누구나 공유할 수 있게 학교 정보 교과 홈페이지와 동아리 카페에 ...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과학 실험’으로 국무총리상을 받은 것이다.SW는 새로운 기회현장에서 만난 학생들은
흥미
로우면서도 진로와 깊은 관련이 있어 도움이 된다는 의견을 내놨다. 꿈인기계공학과 관련이 있을 것 같아 영재학급에 들어왔다는 2학년 이민우 학생은 “다양한 활동을 하며 폭넓게 경험한 게 나중에 진로를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이번에는 조금 다른 얘기를 해줄게요. 드레이크 방정식은 알고 있죠? 당신은 그쪽에
흥미
가 많으니까.”니샤는 다시 불길한 예감에 휩싸이기 시작했다. 이틀 전 퍼진 문제의 동영상 설명도 비슷한 얘기로 시작했기 때문이다.“인간과 교신할 수 있는 지적인 외계 생명체의 수를 계산하는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연구자들을 모집해 지원하는 방식’으로, 한국에서는 이와 취재팀의 논문 분석 결과
흥미
로웠던 사례는 외부 연구비 없이 연구한 경우다. 초고해상도 현미경을 개발한 공로로 2014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에릭 베치그 박사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당시 저는 고용된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