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합성"(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고층대기부터 유전체 발굴까지 극지 연구의 현재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됐다. 우리는 여기서 새로운 구조의 화합물인 라말린을 분리했다. 라말린은 시판되는 합성 항산화제인 비타민C보다 1000배 이상 매우 높은 항산화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2011년 LG생활건강은 라말린을 활용해 ‘프로스틴’이라는 화장품을 출시하기도 했다. 라말린은 치매 치료제로도 ... ...
- [Origin] 생명을 설계한다, 합성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수 있는 새로운 생물 시스템은 우리의 상상력에 달려 있습니다. 박홍재고려대 계산및합성생물학연구실에서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있다. DNA를 읽고, 쓰고, 고치는 분자적 기법을 균류에 적용해 균류유전체의 특성을 연구하고 있다 ... ...
- [이투스교육] 지각과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있다. DNA는 유전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RNA는 DNA가 가진 정보를 바탕으로 단백질의 합성에 관여한다. DNA와 RNA의 구조와 기능은 아래 표로 정리했다. 유전 정보를 저장하는 DNA는 아데닌(A), 타이민(T), 구아닌(G), 사이토신(C) 등 네 가지 염기로 구성된다. 네 가지 염기는 이중나선 구조를 이루며 ... ...
- [Origin] 피 한방울 이즈 베리 임폴턴트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경우 전립선 특이항원(PSA·Prostate-Specific Antigen) 검사가 있다. PSA는 전립선의 상피세포에서 합성되는 단백질 분해효소로, 전립선암이 진행되면 혈액 내 농도가 높아진다. PSA는 1969년 미국의 병리학자 리처드 애블린 박사가 처음 찾아냈다. 전립선암 여부를 판별하는 PSA 수치는 1mL당 4ng(나노그램·1ng은 ...
- [프리미엄 리포트] 미국, 진통제와의 전쟁 선포! 진통제 알고 먹자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아스피린 같은 엔세이드 계열 진통제(소염·해열 진통제)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생합성을 저해해 통증을 억제한다. COX 효소의 작용을 전체적으로 억제해 소염 작용을 하기 때문에, 염증을 동반한 통증이나 관절통, 피부 전이 및 뼈 전이 통증에 많이 쓰인다. 그런데 프로스타글란딘은 통증뿐만 ... ...
- 주기율표와 화학결합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알파붕괴(원자번호 8감소)해 105번 원소가 된 것으로 역추정했다. 간접적으로 113번 원소가 합성됐음을 발견한 것이다. 그로부터 9개월 뒤인 2005년 4월, 다시 한 번 네 번의 알파붕괴와 105번 원소를 검출하면서 113번 원소 입증에 한 발짝 다가섰다. 1998년과 2003년에 독일의 중이온가속기연구소(GSI)가 ... ...
- [과학뉴스] 갯가재의 강력 펀치 비밀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키사일러스 교수는 “사마귀 다리에서도 유사한 줄무늬 구조가 발견된다”며 “고성능 합성 소재를 개발하는 데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02/adma.20170529 ... ...
- [과학뉴스] 인공 DNA로 단백질 만들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주입하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약 3년 만에 인공 염기를 가진 대장균이 아미노산을 합성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기존의 아미노산은 4개의 염기 중 3개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가령 글루타민은 ‘CAA’, 리신은 ‘AAA’ ‘AAG’의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연구팀은 X가 들어간 AXC와 GXC 등 세 염기의 조합으로 ... ...
- 수학으로 완성한 감성 게임, 더뮤지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만들고 알고리즘을 짠 것이다. 믹싱이란 여러 개의 음원을 하나 또는 다수의 채널로 합성하는 과정이다. 워너원의 ‘에너제틱’을 유저가 피아노로 연주하면 더뮤지션은 배경으로 나오는 MR과 유저가 치는 피아노 소리를 1/60 초마다 믹싱해 채널 하나에 담은 다음 들려준다. 믹싱한 결과를 압축하는 ... ...
- Part 4. [도전 ➌] 냉동 인간의 핵심은 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세포의 대부분은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나노 로봇이 직접 단백질을 합성하거나 분해하는 기술도 매우 중요해요. 현재 이 기술을 실현할 수 있는 장비는 개발돼 있어요. 하지만 20cm 정도로 무척 크지요. 만약 앞으로 세포와 비슷한 수십 나노미터 크기로 줄일 수 있다면, 냉동 인간을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