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THE LOVE] 어디서나 사랑받는 팔방미인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생체시계 모델 만들어김 교수는 국제학술지 ‘몰레큘러 셀’ 2015년 10월 1
일자
에 생체시계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doi:10.1016/j.molcel.2015.08.022 1954년경 학계에 처음 보고된 생체시계는 몸에 시계가 있는 것처럼 생명체의 생명 현상이 24시간을 주기로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생체시계는 온도에 ... ...
화성의 메탄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상공에서 15.5ppbv가량의 메탄을 검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오사이언스’ 4월 1
일자
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61-019-0331-9지우라나 연구원은 “큐리오시티 역시 이보다 하루 전인 2013년 6월 15일 이 지역에서 메탄을 최초로 포착했었다”며 “게일 크레이터에서 동쪽으로 약 480km 떨어진 지역 ... ...
[중국유학일기] 기초과목에 집중하는 1학년 전공 역량 기르는 2학년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학습 면에서는 과목별로 과목 대표가 있다. 과목 대표는 시험
일자
나 과제 내용, 제출
일자
등을 과목별 단체 채팅방을 통해 공지한다. 보통 과목마다 매주 혹은 2주에 한 번 과제를 준다.인원수가 워낙 많다 보니 학과 내에서 따로 진행하는 학과 활동이나 스터디 같은 것은 없다.게다가 우한대는 ... ...
난자, ‘불량’ 미토콘드리아 알아서 제거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난자에서 정상 미토콘드리아가 선택되는 메커니즘을 밝혀 국제학술지 ‘네이처’ 5월 15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정상 미토콘드리아와 에너지를 생산하지 못하는 ‘불량’ 미토콘드리아에 각각 형광물질을 표지한 뒤 이들을 추적했다.미토콘드리아는 긴 튜브 형태로 서로 연결된 상태로 ... ...
전자회로도 3D프린터로 인쇄하세요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전기저장장치를 인쇄하는 데 성공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17
일자
에 발표했다. 현재 나노잉크로 사용되는 은나노와이어는 은입자가 무작위로 붙어 있어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에서는 일정한 두께의 패턴을 인쇄하기가 어렵다. 때문에 3D프린터로 인쇄한 뒤 ... ...
DNA 손상되면 출동하는 단백질 확인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단백질의 작동 과정을 규명하는 데 성공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5
일자
에 발표했다.그간 펠리노1은 체내 면역 기작과 암 유발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됐지만 정확한 기능은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쥐의 세포에 방사선을 쪼여 DNA 손상을 유발하면 이 부위에 ... ...
우주 최초의 분자 수소이온화헬륨 확인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HeH+)을 우주 공간에서 처음으로 검출하는 데 성공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4월 17
일자
에 발표했다. 그간 천문학자들은 수소이온화헬륨이 약 130억 년 전 초기 우주의 물질 형성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1925년 실험실에서 존재가 증명됐을 뿐 실제 우주 공간에서 검출된 ... ...
4억3000만 년 전 해삼의 조상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해삼의 조상 격인 4억3000만 년 된 해양생물 화석을 발견해 ‘영국왕립학회보B’ 4월 10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고대 바다동물의 화석이 많이 발견되는 영국 헤리퍼드셔주 라거슈타트에서 찾은 극피동물 13점의 화석 단면을 3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간격으로 잘라서 촬영해 3차원 ... ...
압전소자 성능 2배로 끌어올리는 비법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성능을 2배 이상 끌어올릴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4월 19
일자
에 발표했다. 압전소자는 압력을 가하면 전류가 발생하고, 반대로 전류를 공급하면 압력이 발생해 물체의 형태가 변하는 물질이다. 압전소자에 고주파 전류를 흘려서 빠르게 진동시키면 초음파를 만들 수 있다 ... ...
케플러-47 행성계에서 세 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번째 행성을 발견해 ‘케플러-47d’로 이름 붙였다고 국제학술지 ‘천문학 저널’ 4월 16
일자
에 발표했다.케플러 행성계의 중심 항성은 약 35억 년 전에 생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심 항성은 태양과 질량이 비슷하며, 나머지 항성은 크기가 태양의 3분의 1이다. 연구팀은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