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신경세포는 7~8%뿐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내용은 국제학술지 ‘아이사이언스’ 3월 29
일자
에 실렸다. doi:10.1016/j.isci.2019.02.017 대뇌 전두엽은 인지와 사고 능력을, 대뇌 기저핵은 말하기 능력을 담당하는 등 뇌의 특정 부위에 해당하는 정신 활동은 일부 확인된 상태다. 조 교수팀은 이미 밝혀진 ... ...
난자, ‘불량’ 미토콘드리아 알아서 제거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난자에서 정상 미토콘드리아가 선택되는 메커니즘을 밝혀 국제학술지 ‘네이처’ 5월 15
일자
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정상 미토콘드리아와 에너지를 생산하지 못하는 ‘불량’ 미토콘드리아에 각각 형광물질을 표지한 뒤 이들을 추적했다.미토콘드리아는 긴 튜브 형태로 서로 연결된 상태로 ... ...
백금보다는 구리, 새로운 불균일촉매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환경 문제가 대두되면서 생산 비용이 저렴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불균일촉매’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고체로 이뤄진 불균일촉매는 반응물과 완전히 섞 ...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 4월 22
일자
에 발표됐다. doi:10.1038/s41563-019-0344- ... ...
새야, 박쥐야? 새로운 공룡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06호
교수팀이 깃털과 날개막을 동시에 가진 새로운 종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5월 8
일자
에 발표했다.중국 동북부 지역 랴오닝성에서 발견된 이 화석은 1억6300만 년 전 중생대 쥐라기에 살았던 수각류 공룡으로 밝혀졌다. 수각류는 티라노사우루스 같은 이족보행 육식동물을 말한다. 연구팀은 이 ... ...
DNA 손상되면 출동하는 단백질 확인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단백질의 작동 과정을 규명하는 데 성공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5
일자
에 발표했다.그간 펠리노1은 체내 면역 기작과 암 유발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됐지만 정확한 기능은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쥐의 세포에 방사선을 쪼여 DNA 손상을 유발하면 이 부위에 ... ...
우주에 가면 천천히 늙는다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형에 비해 노화가 덜 진행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4월 12
일자
에 발표했다.유전자의 말단에서 유전자를 보호하는 텔로미어는 체세포 분열과 함께 짧아지기 때문에 노화를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된다.연구팀은 스콧이 우주에서 돌아온 직후 스콧과 마크의 텔로미어 길이를 ... ...
‘이것’ 넣으면 영하 263도에서도 물 안 얼어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극저온에서도 얼지 않는 물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4월 8
일자
에 발표했다. 이를 극저온 전자현미경에 적용하면 세포를 온전한 상태로 관찰할 수 있다.연구팀은 구멍의 지름이 1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보다 작은 그물망 구조를 형성하며 응집하는 성질을 가진 ... ...
우주 최초의 분자 수소이온화헬륨 확인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HeH+)을 우주 공간에서 처음으로 검출하는 데 성공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4월 17
일자
에 발표했다. 그간 천문학자들은 수소이온화헬륨이 약 130억 년 전 초기 우주의 물질 형성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1925년 실험실에서 존재가 증명됐을 뿐 실제 우주 공간에서 검출된 ... ...
전자회로도 3D프린터로 인쇄하세요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전기저장장치를 인쇄하는 데 성공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17
일자
에 발표했다. 현재 나노잉크로 사용되는 은나노와이어는 은입자가 무작위로 붙어 있어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수준에서는 일정한 두께의 패턴을 인쇄하기가 어렵다. 때문에 3D프린터로 인쇄한 뒤 ... ...
[혀의 진화] 영장류에서 인간으로 자유를 얻은 혀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 국제학술지 ‘신경과학의 최전선(Frontiers in Neuroscience)’ 2018년 8월 9
일자
에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혀와 연결된 신경의 크기가 언어 발달에 큰 영향을 미쳤다. doi:10.3389/fnins.2018.00534 연구팀은 원시 영장류인 포토(potto)는 음성을 단 두 개만 낼 수 있는 데 비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