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4중나선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사실이 과학계의 새로운 연구 주제로 떠오르고 있다. 앞으로 다양한 DNA 연구를 통해
유전
자와 세포의 조절 작용을 명확하게 밝힐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김경규 서울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에서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200 ... ...
코로나19 Q&A 리포트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트윈데믹’ 상황에서 전문가들이 가장 우려하는 것은 의료기관에 환자가 방문했을 때
유전
자 증폭 검사(PCR)를 하기 전까지는 어떤 바이러스가 원인인지 구분할 수 없다는 점이다. 환자가 인플루엔자와 코로나19에 모두 감염될 경우 바이러스의 전파력이 더욱 상승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독일 ... ...
'웃는 돌고래' 상괭이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2015년 부검으로 수집된 상괭이 조직 샘플로 한국과 일본, 중국 해역에 서식하는 상괭이의
유전
적 계통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상괭이는 플라이스토세 후기인 약 1만 년 전에 공통조상으로부터 갈라져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김상화 서울대 수의대 연구원은 2018년 2월 제주도에서 발견된 ... ...
'남자 뇌' '여자 뇌' 는 타고난다? 100년 연구결과는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문화에 살고 있다. 이는 필연적으로 뇌를 변화시킨다.궁극적으로 성별에 따른 뇌 차이는
유전
자와 호르몬, 학습의 복잡성과 그들의 상호작용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 ...
[과동키즈] 치료에서 변호로 꿈은 변하는 것
과학동아
l
2020년 10호
관심이 많다. 허위성분 의혹을 일으켜 화제가 된 코오롱생명과학의 골관절염 세포
유전
자 치료제 ‘인보사’ 사건, ‘역형성 대세포 림프종’이라는 희귀암을 유발한다고 해서 논란이 된 미국 제약회사 엘러간의 유방 보형물 사건에서 해당 제품으로 피해를 본 의료 소비자를 대리해 소송을 ... ...
[이달의 수학자] 저글러, 트램펄린 선수, 수학계 선구자... 로널드 그레이엄
수학동아
l
2020년 10호
남긴 미국 수학자 로널드 그레이엄이 태어난 날입니다. 1935년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유전
지대에서 태어난 그레이엄은 석유 시추와 관련된 일을 하는 아버지를 따라 이곳저곳을 떠돌며 유년 시절을 보냈습니다. 한 학교를 18개월 이상 다닌 적이 없을 정도로 자주 전학을 다니다 보니 자연스럽게 ... ...
절규하는 그녀, 심장마비로 사망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몸속 조직을 조사하면 사람
유전
자 외에 미생물 등 여러 종류의
유전
자가 발견된다. 이런
유전
자를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기술로 증폭해 분석하면 어떤 감염원이 몸속에 있었는지 알아낼 수 있다. 실제로 우리 연구팀은 2008년 대구 청도에서 발견된 미라와 2014년 충남 당진에서 발굴한 조선시대 ... ...
[한페이지 뉴스]털코뿔소 멸종은 인간 아닌 ‘이것’ 때문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탓에 기온 상승에는 적응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달렌 연구원은 “고생물
유전
학을 통해 과거에 멸종된 종이 기후변화에 어떻게 대응했는지 알아낼 수 있었다”며 “급격한 기후변화가 동물의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벌도 사회적 거리두기 한다? 슬기로운 벌집 생활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수 있음을 수학적으로 입증했다. 카트라이트 연구원은 “꿀벌에게는 이런 수학적 규칙이
유전
적으로 입력돼 있어 종마다 살기 적합한 구조의 벌집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꿀벌도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한다? 집단생활을 하는 벌들은 집안에서 굉장히 밀집된 생활을 한다. 심지어 ... ...
털, 털, 털 고민상담소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2차 성징 때 몸 곳곳에 털이 자라는 이유도 이 때문이죠. 하지만 털 성장에는 그밖에도
유전
자나 영양 상태 등 정말 많은 요인이 관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털=남성성’으로 보긴 어렵습니다. 친구들의 말은 가벼운 농담으로 받아쳐 보길 추천해요. 그리고 이 연구를 보면 털이 많다는 사실이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