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기원
출처
연혁
근원
역사
원천
d라이브러리
"
유래
"(으)로 총 1,044건 검색되었습니다.
절대 터지면 안 되는 ‘열통 터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대소변이 쌓여 있을 때 그 속에서 메탄가스가 부글부글 끓어오르는 ‘열통’에서
유래
한 말이래. 몰랐지? 몰랐을 거야. 알았다면 그런 말을 썼을 리가 없지. 물론 요즘에는 화가 머리끝까지 차오를 만큼 격분한 상태를 일컫는 말이기도 해. 아니 뭐 그렇다고.근데 내가 재밌는 얘기 하나 해줄까? ... ...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자세히 알아보지 않고 맹목적으로 받아들여 확대해 퍼트린 결과다. 아이러니하게도 고추
유래
에 대한 지식뿐 아니라 한국을 대표하는 고유 음식인 김치나 장을 발효시키는 미생물에 대한 연구도 국내보다 일본에 더 많다. 권 박사는 “우리 고유의 식품을 세계화하려면 얼마나 맛있고 건강에 ... ...
식물에게 한 수 배우기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온√제곱해 x가 되는 수를 ‘제곱근 x’라고 한다. 제곱근의 기호 는 소문자 r에서
유래
한것으로 라틴어에서 뿌리를 뜻하는 radix에서 가져왔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천재 식물에게 배운다 식물의 운명은 숫자에서 시작해 도형이 제일 쉬웠어요나무그늘도 수학 실력 식물에게 한 수 ... ...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1 그 곳엔 항상 소수가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보낸 한 편지에서 어떤 수를 소수의 합으로 표현하는 문제에 대해 의논했다. 여기서
유래
한 것이 ‘골드바흐의 추측’이다. 골드바흐의 추측은 2보다 큰 짝수는 모두 두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가설이다.4=2+26=3+38=3+510=3+7 또는 5+5⋮작은 짝수는 간단히 덧셈을 해 보면 두 소수의 합으로 ... ...
죽음과 맞바꾸는 치명적인 맛 황복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독성을 제거한 복어를 양식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복어 독은 유독성 먹이로부터
유래
하므로 무독성 사료만으로 키우면 독성이 없는 복어를 양식할 수 있다. 입맛 까다로운 미식가가 아니라면 맛도 그다지 차이가 없다고 하니 기대해 볼 만하다.복사꽃 피어도 황복은 오지 않는다?황복은 서남해로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용어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땅의 여신 가이아가 낳은 거인 아들 ‘기가스’에서
유래
했다. 최근에는 기가보다 1000배 큰 테라 단위가 컴퓨터의 저장 용량에 쓰이기도 한다.한편 작다는 것을 나타낼 때는 나노라는 말이 자주 쓰인다. 나노는 소수점 아래로 9번째 자리에 1이 붙는 작은 수다. 나노라는 ... ...
올록볼록 공간도형의 세계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정사각형 하나와 삼각형 네개인 피라미드와 조금 다르다.tetrahedron은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
했으며, “4”를 뜻하는 tetra와 “면”을 뜻하는 hedra가 결합해 생긴 단어다. 조금 전에 나온 cylinder와 비슷하게 밑면이 다각형인 기둥 모양의 공간도형도 있다. 바로 각기둥으로 영어로 prism이다. prism은 ... ...
이중 암호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자란 뒤에 보내면, 받는 측에서 노예의 머리카락을 깎고 메시지를 읽도록 한 것에서
유래
됐다고 한다. 고대에는 군주가 보내는 비밀 문서, 전쟁 중의 작전지시와 보고, 첩자들과의 통신 등에 다양한 스테가노그래피가 사용됐다. 고대 로마인들은 과일주스, 우유, 소변과 같은 자연원료를 투명잉크로 ... ...
지진도 폭풍처럼 몰아친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게 대다수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이들은 “아이티 지진은
유래
없는 사상자를 낸 큰 지진은 맞지만 칠레까지 도달할 정도로 규모가 크지 않고, 규모 7.0의 지진(아이티)이 규모 8.8의 지진(칠레)을 유발하지는 못한다”고 설명한다.관련성을 규명하는 작업도 쉽지 않다. 서울대 ... ...
썩어도 특별한 맛 참돔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숨겨져 있을까. 참돔의 붉은 빛깔은 피부 세포 속에 들어 있는 카로티노이드계 색소에서
유래
했다. 카로티노이드는 식물에서 자외선을 차단하거나 빛에너지를 흡수해 광합성이 잘 일어나게 돕는 역할을 하는 색소다. 다른 동물 중에도 카로티노이드를 다량으로 함유하는 종류가 있다. 게나 새우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