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쉬움
간편
편리
d라이브러리
"
용이
"(으)로 총 671건 검색되었습니다.
6개의 별이 묶여 있는 카스토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그리고 지평선 근처의 시상은 절대 좋아질 수 없으므로 아무리 큰 망원경이 있어도 소
용이
없다.이러한 이유로 인해 보통사람은 물론이고 대부분의 아마추어 천문가들조차도 아직 수성을 보지 못했을 것이다. 코페르니쿠스도 수성을 보지 못했다고 한다. 올해는 수성을 볼 수 있는 기회가 6번 ... ...
2. 차세대 디스크 장치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데이터를 보존하지만 읽고 쓰는데는 빛을 이용한다. 이처럼 광자기디스크는 기억내
용이
자기적으로 보존되므로 데이터를 지우거나 고쳐 쓰는 것이 자유로우며 상온에서는 기록이 매우 안정되어 자석 등을 가까이 해도 데이터가 쉽게 파손되지 않아 10년 정도는 보존이 가능하다. CD와 LD가 발표될 ... ...
디스크와 파일의 중개인 디렉토리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그러나 조심해야 할 점은 CD는 내부명령이므로 부팅이 되고 나서 언제 어느 때나 사
용이
가능하지만 NCD.EXE는 당연히 현재의 작업디렉토리에 있어야 한다. 그런데 NCD.EXE는 아무 디렉토리에서나 사용해야 하므로 뒤에서 생각하게 될 PATH 명령어로 등록을 해두어야 한다. 일단 PATH 명령어로 등록을 ... ...
좋은 천체망원경을 고르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천체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적도의식과 자동추적장치가 필요하다. 고정
용이
아니라면 야외관측을 위해 건전지로 동작하지 않으면 곤란하다.□ 주변 액세서리는 충분하며 추가시 쉽게 구할 수 있는 표준규격인가?아이피스의 지름이 중요하다. 0.965"짜리는 일반적으로 사지 않아야 한다. 1.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440과 880 두 모델을 출시하고 있는데 440은 무게가 1㎏, 880은 2㎏ 정도에 불과해 휴대하기
용이
하다.이 신제품은 펜으로 통신내용을 적을 수 있어 편리하며 AT&T사의 전자우편서비스를 받게 돼 있다. 또 4시간 동안 배터리를 갈아끼우지 않고 계속 작동시킬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세계에서 가장 작은 ... ...
1 토양형성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한다면, 토양내에서는 유입된 물질과 에너지에 의한 구성물질의 변환과 이동작
용이
복합되어 나타난다. 변환작용으로는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거나 부식화되는 현상과, 풍화작용에 의한 광물의 입자크기 감소, 점토와 같은 2차광물의 형성, 토양입자의 재배열에 의한 토양구조의 형성 등이 ... ...
명령어와 파일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전혀 다르다. 잘못된 파일 전체를 지워버리는 것은 눈깜짝할 사이에 이루어지고, 수정도
용이
해 마음대로 지울 수 있다. 물론 흔적 같은 것은 남지 않는다. 더욱 놀라운 것은 같은 문서의 앞부분에 있는 내용을 잘라내 문서의 끝에 다시 붙여 넣고자 할 때(문서의 편집) 마치 가위와 풀을 이용하는 ... ...
3 작물개량과 육종의 첨병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씨감자는 종자와 같이 취급할 수 있으므로 기계파종이 가능하고, 종자의 확보와 수송이
용이
하기 때문에 보급이 많이 될 것 같았으나 아직은 씨감자 종자가격이 비싼 것이 흠이다.느타리버섯과 표고버섯의 융합 한편 세포융합기술은 감자와 토마토의 세포를 물리적으로 융합시키고, 이를 성숙한 ... ...
지름 12㎝원반에 책6백권 정보기억하는 전자책 CD롬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폭발적으로 늘고 있어 연말경에는 2천대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데이터베이스
용이
주류를 이룬다.국내 출판사들은 그동안 컴퓨터를 이용한 전자출판에는 관심을 기울였지만 CD롬에는 무지했던 편이다. 그러나 최근 미국 일본을 다녀온 사람이나 각종 전시회로부터 CD롬에 대한 정보를 ... ...
(4) 공룡 연구의 시작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깃털을 절연물로 사용한 반면 깃털이 없는 공룡들은 체구를 크게 함으로써 체온을 훨씬
용이
하게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점차 한랭해지는 환경에 새로 적응해 살아남는 방편으로써 점차 몸을 크게 변화시킨 것이다.이밖에도 1977년에 소련에서 발견된 테로사우르(pterosaurs ; 익룡류)의 화석은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