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른쪽"(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지] 제주항공우주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주는데, 이 아이템 위를 지나가면 미사일이나 보호막 등을 얻을 수 있답니다. 또 핸들의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번개맨처럼 번개 미사일을 쏠 수도 있어요. 이 미사일을 맞은 상대 참가자는 3초 동안 움직이지 못하지요. 이 때문에 현실 속 ‘카트라이더’라 불리기도 한답니다. 따뜻한 봄, ... ...
- Part 5. 수학으로 새 옷 입은 초고층건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높은 상상 5] 수직 묘지인구가 증가하면서 묘지를 만들 공간이 부족해지고 있다. 오른쪽은 초고층건물의 공간 활용성을 이용해 이를 해결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로 만든 수직 묘지다. 소중한 사람들을 안락하게 보살필 수 있는 미래의 묘지 형태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 ▼관련기사를 계속 ... ...
- [Tech] 모델명 ASUS ROG Centurion 7.1, 게이밍 헤드셋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들어있어 전류를 흘리면 진동판이 진동하며 소리를 냅니다. 이런 유닛이 왼쪽과 오른쪽에 각각 다섯 개씩 박혀 있었습니다. 7.1 채널 오디오로 방향감, 거리감 살려짐작하셨겠지만 드라이버 유닛은 헤드셋의 가장 중요한 부품입니다. 소리의 감도와 입체감(방향감, 거리감, 공간감 등)을 좌우하기 ... ...
- [이투스교육] 경이로운 생명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크릭에 의해서 제안됐으며, 이후 수많은 과학자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입증했다. 오른쪽 위 그림은 분자생물학의 중심원리에 의해서 단백질이 합성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렇게 합성된 다양한 단백질에 의해 다양한 형질이 나타난다. 코드, 트라이플렛코드, 코돈DNA가 갖는 염기서열을 ... ...
- [Issue] 과학으로 카운트다운, 6·13 지방선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일련번호가 찍혀 있습니다. 올해는 일련번호가 찍힌 위치와 절취하는 절취선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바뀌었습니다. 투표지 분류기의 종이 걸림현상(잼)을 줄이기 위해서랍니다. 이번 지방선거에는 1분에 340매의 투표용지를 분류하는(후보자 6인 기준) 분류기 총 2558대가 투입될 예정입니다. [D-day] ... ...
- 네 마음을 알고 싶어! 마스터마인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31을 1213과 비교하면 두 번째 2의 위치와 숫자가 같고 1과 3은 숫자만 같으니 1R2W가 됩니다. 오른쪽 표를 보면 각 경우에 어떤 핀이 꽂히는지 잘 정리돼 있어요. 1213을 시도해서 나온 경우의 수 16가지 중 빨간 핀 1개, 흰색 핀 2개를 꽂은 경우(1R2W)를 생각해볼게요. 이 경우 암호가 될 수 있는 수는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6호
- DNA 메틸화는 정상과 다를 바 없는 염기서열에 핀 하나를 꽂는 상황과 유사합니다(위 오른쪽 그림). DNA에 더해진 ‘메틸’이라는 작은 물질을 핀에 빗댈 수 있습니다. DNA 메틸화는 유전자 발현 억제 기작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유전자가 발현되려면 이를 도와주는 단백질이 유전자 앞에 붙어야 ... ...
- Part 4. [2D 어드벤처] 클라인 병이 사각형?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언제나 똑바로 걷게 돼 있어요. 그런데 왼쪽 변과 만나면 오른쪽 변으로 나오고 오른쪽 변과 만나면 왼쪽 변으로 나와요. 세로로는 항상 대각선으로 걷게 돼요. 윗변으로 들어가면 마주보는 대각선 아랫변으로 나온답니다. 클라인 병 위를 한 바퀴 돌고 나면 개미인간은 주변과 비교해 좌우가 ... ...
- 도넛 위에서 게임을? 틱택토의 무한변신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수 있는 모양이 총 12개입니다. ×가 일렬로 놓여있지 않은데, 어떻게 삼목이냐고요? 아래 오른쪽 그림처럼 게임판을 복사해서 상하좌우에 붙였다고 생각해 보세요. 처음엔 엇갈려 있던 ×가 이어져 대각선 방향으로 삼목이 됩니다. 쉽게 떠올리기 어려우면 게임판의 가로 또는 세로줄 세 개를 다시 ... ...
- [Issue] 청년실업 문제, 어쩌다 여기까지 왔을까?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일등 국가인가?’는 꽤 중요한 힌트를 준다. 인용 문구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는 오른쪽 그래프가 도움이 된다. 4년제 대졸자들을 소득 분위 별, 다시 말해 소득 상위 10% 혹은 하위 20% 등으로 나눠서 고등학교 졸업자에 비해 얼마나 많은 소득을 얻고 있는지 나타낸 그래프다. 즉 대학교 졸업에 따른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