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교
합성수지
손가락
손까락
손꾸락
아크릴수지
아크릴
d라이브러리
"
수지
"(으)로 총 472건 검색되었습니다.
창조를 위한 모방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이것으로 교육용 모형을 대량생산하기는 적합지 않다. 이를 대체한 것이 합성
수지
나 깨지기 쉬워 모형소재로 장수하지 못했다. 최근에 개발된 것이 잘 깨지지 않고 조형성이 좋은 FRP. 공공장소나 레저시설 백화점 등에 설치된 인공바위 등은 모두 FRP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FRP는 화재위험성이 많고 ... ...
형상을 기억하는 「물 저장고」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수행하던 중 우연히 발견된 것이다.원래 연구는 "옥수수의 주성분인 전분에 석유화학
수지
인 합성고분자를 결합시키면, 일반 플라스틱의 기계적 물성과 뛰어난 가공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에서 시작됐다. 아울러 합성 플라스틱의 최대 약점, 즉 자연에서 스스로 분해되지 않는 문제를 ... ...
기상이변, 왜 일어나나?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토지이용과 삼림파괴는 지표면의 알비도 증발산량 조도를 변하게 해 대기의 열
수지
와 물
수지
를 바뀌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학자들은 사하라사막 주변의 반건조지대는 과잉방목 때문에 점차 사막화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또 해수의 오염도 대기와 해수간의 열과 수증기 교환을 변하게 해 ... ...
너무나 심각한 환경오염 우리는 이런 위험 속에 살고 있다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빠른 신장세를 보여 88년에는 전년도보다 21.6%나 늘어났다. 특히 중금속 폐유 폐합성
수지
등 독성이 강하고 처리가 어려운 특정 산업쓰레기는 지난 5년 동안 연평균 24.6%의 가파른 증가를 보였다. 지난해 특정산업 쓰레기는 하루 2만9t꼴로 배출됐다.산업쓰레기의 경우에도 불법매립에 의한 2차공해 ... ...
통신에 활용되는 빛의 「유도탄」 광섬유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일단 용광로에서 뽑힌 광섬유는 곧바로 실리카
수지
(silica resin)나 폴리머(polymer)종류의
수지
로 표면처리, 외부와 유리의 접촉을 단절시킨다. 이 표면처리는 매우 중요하다. 1백㎛구경의 유리섬유의 기계적 강도는 매우 약하여 부서지기 쉽기 때문이다. 표면처리가 잘못되면 케이블 형태로 만들기는 ... ...
80년대 사건과 과학자의 양심 용기, 비열, 얼버무림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식품영양학과)는 89년 3워 '국내외 랩의 성부분석에 대한 보고회'를 거처 "PE(폴리에틸렌
수지
)랩에 발암물질인 산화방지제 DLTP가 검출됐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가소제 첨가로 인해 열세에 놓여있던 PVC랩생산업체들은 PE랩에 대해 일대 반격을 폈다. 그후 PE랩 생산업체 크린랩측의 고소에 따라 ... ...
사마귀 치료, 냉동요법시대로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방법은 크게 두 갈래로 나눌 수 있다. 화학요법과 물리요법이 그것이다.산(酸) 포도필린
수지
칸타리딘 4%포르말린 등을 활용하는 화학요법은 부작용이 크고 재발이 잦아 점차 구시대의 유물로 취급되고 있다. 반면 전기소작법 냉동요법 레이저광선요법 초음파요법 등으로 분류되는 물리요법이 ... ...
북한의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가장 활발하나 현실문제의 해결방침에 주력하고 있는 느낌이다. 시멘트와 합성
수지
제조 무연탄 가스화 합성고무공업화 등 소위 '주체과학'의 대표적인 연구가 추진되고 있다. 최근 석유화학공업과 유기합성공업에 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이뤄지고 있다.이외에 최신과학분야로 세포공학 ... ...
빠르다 안전하다 쾌적하다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흡기다기관과 캠축을 포함한 중요 엔진부품을 고온의 플라스틱 페놀주조와 합성
수지
로 만들고 있으며,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캠축의 경우 무게가 기존의 주철제품보다 거의 50%, 고열 단조제품보다는 약 40% 감소된다. 플라스틱캠축은 강철 또는 주철로 된 것보다 회전시 생기는 소음을 엔진블으로 ... ...
인공장기 시대를 여는 신소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폴리에스터섬유(의류용 폴리에스터와 동일한 재료임)를 특수한 형태로 직조한 것과 불소
수지
(테플론)를 늘려서 가공한 것이 쓰인다. 이러한 인공혈관은 피가 응혈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최초에 형성된 응혈층이 유사 혈관내벽으로서 작용하여 응혈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구경이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