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
재산
재물
권
자산
부다페스트
페스트
d라이브러리
"
부
"(으)로 총 1,50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들이 재미없는 영화를 끝까지 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직역하면 ‘선사 생명체 완전 가이드’이지만 그 가운데 가장 눈길을 끄는 공룡을
부
각해 번역판의 제목으로 택했다. 영국 BBC방송의 과학 프로그램 제작자인 팀 헤인즈와 고생물학자 폴 체임버스 박사의 공저다. 5억 4300만년 전 캄브리아기에서 1만년 전 플라이스토세까지 살았던 동물 112종의 화석과 ... ...
케이크에 미친 네 남자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서울대 의대를 졸업한 뒤 2006년
부
터 가정의학과 전문의로 활동하고 있다. 어린 시절
부
터 꿈이었던 영화와 드라마 시나리오를 쓰는 작가이기도 하다. 지난해 방송된 SBS 의학드라마 ‘외과의사 봉달희’의 보조작가로 활동하며 유명세를 타기 시작했다. 현재 대한의학회에서 건강정보심의위원회 ... ...
녹차밭의 곡선미와
부
산항의 역동성 공존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1999년 ‘하늘에서 본 지구’라는 책으로 결실을 맺었다. 30개 언어로 번역돼 350만
부
가 판매되는 기록을 세우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2004년 시작한 ‘하늘에서 본 한국’ 프로젝트로 우리나라에 남다른 애정을 느낀다고 ... ...
별의 전령사, 갈릴레이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정한 일도 갈릴레이에게는 위로가 됐으리라.갈릴레이가 스케치한 달1609년 11월 30일
부
터 12월 18일까지 달이 차고 이지러지는 모습을 관찰하며 8장의 그림을 남겼다. 이 가운데 달 중앙 아래쪽에서 원 모양의 구덩이(알바테그니우스 크레이터)를 강조해 그렸다.우주론에 따라 다르게 예측된 금성의 ... ...
우리가 쏘아 올릴 작은 별, KSLV-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높이 33m에 무게가 140톤이나 돼요. 과학기술위성 2호를 164㎞까지 보내는 1단 로켓과, 그 뒤
부
터 우주 궤도까지 올리는 2단 로켓으로 이루어져 있지요. 1단 로켓은 러시아와 공동개발 중이지만, 2단 로켓과 과학기술위성 2호는 순수 우리기술로 만들어 그 의미가 더욱 커요.내년 초 발사에 성공하면 ... ...
진화를 배우자! 다윈을 만나자! 탄생 200주년 다윈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맞는답니다. 그래서 전 세계는 지금 다윈 열풍! 이웃 일본의 도쿄에서도 지난 3월 18일
부
터 6월 22일까지 다윈의 생애와 업적을 소개하는 특별전시회가 열렸어요. 함께 찾아가 봐요. 특별 전시회‘다윈전’은 2005년 11월 미국 뉴욕의 자연사박물관에서 처음 열렸어요. 당시에 관람객이 40만 명이나 ... ...
논문 쓰고 명문대 유학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www.kisg.org)에서 확인할 수 있다. 논문은 기본적으로 파일을 e메일로 보내고 인쇄본 3
부
를 우편으로 보내 접수한다. 접수기간은 따로 없으며, 1년간 상시 접수할 수 있다. 좋은 논문을 학술지에 발표하고 명문대에 진학하는 길은 항상 열려 있는 셈이다 ... ...
이제는 보살핌의 본능 일깨울 때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괴로워’가 보여주듯 성형수술은 행복을 가져다주는 강력한 힘을 갖고 있지만 그
부
작용도 만만치 않다. 성형수술하면 떠오르는 ‘마이클 잭슨’의 이야기에 한 장을 할애했다 ... ...
전기장으로 잠자는 유전자를 깨운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신의 입자 ‘힉스’의 실체가 밝혀질까. 입자물리를 전공하고 현재 고등과학원 물리학
부
에서 연구원으로 있는 저자는 LHC에서 일어나는 일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펼쳐 보인다.그것은 뇌다다니엘 G. 에이멘 지음 | 안한숙 옮김 | 브레인월드 | 445쪽 | 1만 5000원현대사회의 긴장이 높아지면서 최근 ... ...
KSTAR 최초 플라스마 발생 실험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차폐체, 삼중수소 저장·공급시스템 등 핵심설비와
부
품을 개발해 공급하기로 했다. 오
부
장은 “KSTAR의 실험 결과가 좋을수록 우리나라가 ITER 프로젝트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