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문화
정신문명
물질문명
개화
교양
문화도
근대화
d라이브러리
"
문명
"(으)로 총 1,215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생 130주년 따스한 백열전구 역사 속으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한국도 백열전구를 새로운 LED 조명으로 대체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한때는 근대
문명
을 선도했던 백열전구가 환경의 시대를 맞아 조용히 퇴임을 맞고 있다 ... ...
Part 3. 끝없는 달력의 도전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문명
인 마야와 아즈텍
문명
에서는 다른 곳보다 훨씬 복잡한 달력을 만들었습니다. 마야
문명
에는 일 년이 260일인 종교달력과 농사에 365일짜리 달력, 그리고 세상의 탄생과 종말을 나타내는 달력이 따로 있었습니다. 최근에는 마야의 달력에 따라 2012년에 세상이 끝난다는 내용을 담은 영화가 개봉해 ... ...
뉴욕에서 서울까지 아이 러브 지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태워야 하는지 생각해 보았어.도시가 사라진다고?!전시를 보면서 불과 100년 사이에 지구
문명
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는 걸 알 수 있었어. 1900년에 18억 명이었던 세계 인구는 이제 60억 명이 되었대! 게다가 1900년에 대량 생산되기 시작한 자동차가 이제는 매우 당연한 교통수단이 되었지. 편리한 생활을 ... ...
만화가와 천문학자가 만나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빠진다. 5만 년 전에 사람이 달에 갈 수 있었을까? 혹시 과거 지구에 우리가 모르는 고대
문명
이 있었던 걸까? 지난 5월 19~21 경상북도 영천시에 있는 보현산 천문대에서 ‘만화작가, 천문학자를 만나다’라는 워크숍이 열렸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에 ‘녹색전사 에코’를 연재하는 홍승우 ... ...
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나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세티 연구소가 창립된 지 25년이 되는 해이다. 게다가 혹시 있을지 모를 외계인에게 지구
문명
의 요점을 날려 보낸 ‘아레시보 메시지’가 구상성단 ‘M13’으로 향한 지 35년이 되는 해이다. 무엇보다 세티앳홈 프로젝트가 시작된 지 10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하지만 세티 연구 분야에서 가장 특별한 ... ...
세티, 외계인과의 ‘콘택트’에 도전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합리적인 측정 대상”이라고 강조했다.쇼스타크 박사에 따르면 인류는 1974년 지구의
문명
을 설명하는 메시지를 담은 전파를 헤르쿨레스자리에 있는 구상성단 ‘M13’에 보내기도 했다. 지구에서의 거리는 2만 5000광년. 전파를 받기만 하던 자세에서 보내는 쪽으로 능동적인 행동을 보인 것이다. ... ...
열 나는 반도체, DNA로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높이려면 선폭을 줄이는 것 외에 특별한 대안이 없는 게 실리콘 반도체다. 현대 기술
문명
을 지속하려면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셈이다.황 교수는 바로 이 같은 반도체 분야의‘구원 투수’다. 그는 실리콘으로 만든 나노와이어에 DNA분자를 붙이는 방법을 연구 중이다. ‘땅(실리콘 나노와이어 ... ...
Part 3. 수학을 알면 세상이 즐겁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사회는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발전을 이뤄 냈다. 그런데 역설적으로 이와 같은
문명
의 이기때문에 오히려 사람들의 수학 능력이 쇠퇴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인터넷이나 휴대전화처럼 빠른 속도로 이뤄지는 미디어 문화에 젖어 한 가지 문제를 깊게 생각하는 능력이 예전에 비해 ... ...
2014년 국제수학자대회 유치의 기적을 일구어 낸 수학자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증권사의 금융 상품도 수학이 없으면 만들 수 없어요.”박 교수는 수학이 이렇게 현대
문명
에 기여하고 있는 바를 알려 학생들이 수학을 공부하고, 수학자가 되는 것을 자연스럽게 여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수학동아의 창간이 반가운 이유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입시 때문에 ... ...
오디오 잡음, 휴대전화 혼선 잡는 단결정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단결정 덕분인 셈이다. 이 밖에 작은 가전제품부터 대형 최첨단 장비까지 단결정은 현대
문명
이 낳은 대부분의 전자기기에 들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산업계에서 쓰이는 단결정은 거의 실험실에서 인공적으로 만들어낸 것이다. 자연에 존재하는 금속이나 광물은 대부분 내부 구성성분이 오랜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