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만족"(으)로 총 1,978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진화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위 세 조건은 2000년대 초반에 거의 확립됐다. 이를 모두 만족하는, 외계 문명이 있을 법한 행성을 골디락스 행성이라고 부른다. 그렇다면 골디락스 행성은 우주에 얼마나 많이 존재할까. 초신성 폭발 영향 그리 크지 않을 수도최근까지 골디락스 행성의 분포에 관한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여러 해 동안 가르치고 의견을 나눴던 니샤의 반응을 천천히 살핀 다음 그녀의 자제력에 만족하며 대답했다.“맞아요. 그걸 올리자는 결정에 나도 참여했어요.”“영상이 퍼지면서 하루 동안 아주 많은 글이 올라왔어요. 지금은 거의 모든 사람들이 그 얘기만 하고 있죠. 이상한 건 말이죠. 처음에는 ... ...
- [지식] 달콤 쌉쌀한 진실, 공평하게 케이크 나누기수학동아 l2016년 09호
- 100원이라고 말하고, 다른 아이는 2000원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모두가 만족하도록 케이크를 나눠 먹으려면 각자 입장에서 자기가 받은 케이크의 값어치가 다른 아이가 받은 것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를 게임이론에서는 ‘envy-free하다’, 즉 ‘질투심이 생기지 않게 할 수 있다’라고 ... ...
- [News & Issue] 얼굴 전체로 맛을 느낀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매력이 생긴다. 향은 기름에 농축되고 맛 성분은 물에 농축되기 때문이다. 이 모든 것을 만족하는 초콜릿은 정말 짜릿한 음식!소리크래커의 바스락!소리도 맛을 지배한다음식을 먹을 때 바삭거리는 소리는 조직 내에 공기방울이 100분의 1초 안에 순식간에 방출되면서 나는 소리다. 스낵 제품에서는 ... ...
- [News & Issue] 허수의 실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직교한다. 허수 축과 실수 축이 만든 평면을 복소평면이라고 부른다. 허수라는 이름이 불만족스러웠던 가우스는 허수 대신, 측면 수(lateral number)라고 부르자고 제안하기도 했다.복소수가 쏘아 올린 새로운 수학의 시대방향과 크기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복소평면은 어떤 현상을 수학적으로 ... ...
- [Career] 미래 기술 예측하는 ‘첨단 경영’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좌지우지했다.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할 필요를 느낀 기업들은 선호도나 만족도 등 지표를 조사하고 측정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제는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해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경영의 새로운 트렌드가 됐다. 이런 변화를 반영해 UNIST는 올해 경영공학부를 신설했다. 경영의 ... ...
- [지식] 오감만족 수학체험, 포켓몬 잡듯 수학 잡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책에서, 칠판에서만 봤던 수학이 때로는 ‘포켓몬 고’ 게임처럼 때로는 한 편의 영화처럼 우리의 오감을 자극한다면 믿겠습니까? 지난 7월 20일부터 23일까지 사흘간 독일에서 열린 2016 베를린 이매지너리 콘퍼런스에서 세계 각국의 수학 대중화 전문가들이 모여 좀 더 짜릿하고 좀 더 재미있는 수 ... ...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앉아서 ‘사랑의 작대기’ 게임을 하는 경우에 비유할 수있다. 1대 1로 매칭되면 모두가 만족한다.물리학적으로는 에너지가 낮은 상태(안정)가 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어디에선가 꼭 작대기가 어긋나고, 짝을짓지 못한 사람들은 불안하다. 물리학적으로는 에너지가 높아 불안정한 상태다 ... ...
- [수학뉴스] 200테라바이트짜리 수학문제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때, 세 수가 모두 같은 색을 나타내지 않게 만들었지요.예를 들어 피타고라스 정리를 만족하는 세 자연수 쌍(3, 4, 5)에서 3과 4를 파란색으로 나타냈으면, 5는 반드시 빨간색으로 나타내야 합니다. 연구팀은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1부터 7824까지의 수를 이 조건에 맞게 나타냈습니다.또 1부터 7825까지 ... ...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수학자 피에르 드 페르마가 처음 제시한 것으로 ‘a,b,c가 양의 정수일 때, an+bn=cn을 만족하는 3 이상의 정수 n은 없다’라는 정리다. 페르마는 본인이 증명했지만, ‘책의 여백이 충분하지 않아 증명 내용을 적을 수 없다’고 주석만 달아 놓았다. 이후 수백 년간 풀리지 않던 이 문제는 350년이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