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꽃"(으)로 총 1,9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위대한 수학자의 발자국, 괴팅겐을 걷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낙엽이 떨어져 있었어요. 엇, 그런데 재미있는 걸 발견했어요. 가우스의 손에 술병과 꽃이 들려있었거든요. 이는 학생들이 장난을 친 거라고 해요. 위대한 수학자 가우스에게 이런 장난을 칠 수 있다니! 그만큼 괴팅겐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은 가우스를 친근하게 느끼고 있다는 게 아닐까요 ... ...
- [수학공작실] 합동과 대칭을 이용해 만든 나만의 하트 무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팔각형 또는 둥근 모양이다. 반짇고리에 있는 장식을 자세히 살펴보자. 합동인 꽃이나 새 장식, 대칭인 십장생 무늬를 조각해 칠하거나 자개를 덧붙여 화려하게 만든 장식에서 합동과 대칭의 원리를 찾을 수 있다. 합동은 두 도형이 모양과 크기가 같아서 포갰을 때 완전히 겹쳐지는 것을 의미한다. ... ...
- [식물 속 동물 찾기] 복슬복슬 꼬부랑, 다람쥐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식물로 자라날 수 있지요. 따라서 다람쥐꼬리에는 수정을 하기 위해 필요한 기관인 꽃이 없답니다. 줄기의 맨 윗부분에도 번식을 위한 ‘막눈’이 있어요. 막눈은 원래 식물의 잎 겨드랑이에서 생기는 눈이 다른 곳에서 나는 것을 뜻해요. 다람쥐꼬리는 줄기 맨 꼭대기에서 막눈이나며, 이 막눈이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후두둑, 비듬을 닮았다?! 꿩의비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알록달록 물들기 시작하는 가을 산에서 유독 흰색 바탕에 붉은빛을 띠는 꽃이 있어요. 작은 꽃 수십 개가 뭉치를 이루고 있어 별이 내 ... ‘세잎꿩의 비름’이나 ‘둥근잎꿩의비름’인 경우가 많답니다. 꽃집에서 별을 닮은 꽃에 다육질 잎을 가진 식물을 만나면 이름을 꼭 확인해 보세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꿈을 위한 소중한 만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자료를 더 찾아봤어요. 사구아로 선인장은 뜨거운 낮을 피해 밤에만 꽃을 피우고, 꽃가루는 ‘넥타박쥐’가 옮겨 줘요. 추위나 더위로부터 동물이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주고, 죽고 나서도 개미나 뱀 등의 안식처가 된다고 해요. 살면서 또 죽어서도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사구아로 선인장의 ... ...
- Part 2. 똥냄새도 전략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암나무에서 암꽃이, 수나무에서 수꽃이 펴요. 이렇게 꽃이 필때 수나무의 정충이 암꽃의 밑씨에 붙는 수분이 일어나요. 이후 정충이 밑씨에 붙어 있는 채로 기다렸다가, 가을이 되어서야 열매 속에 있는 난자와 만나 수정이 된답니다. 그 결과 가을이 되면 암나무에 은행 열매가 열려요. 초록색이던 ... ...
- [식물 속 동물 찾기] 뚱딴지 같은 꽃과 줄기를 가진 돼지감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것으로 추정돼요. 외국에서 들어온 뒤 우리나라에 적응한 ‘귀화식물’이죠. 노란 꽃이 지고 땅의 온도가 17℃보다 떨어지는 11월 즈음부터 덩이줄기가 크게 자라기 시작해요. 길을 지나다 돼지감자가 보이면 줄기를 젖히고 땅 아래 덩이줄기를 확인해 보세요 ... ...
- Part 1. 똥냄새는 2억 8000만 년 전부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일본의 아마추어 과학자인 사쿠고로 히라세 씨예요. 그는 1896년, 현미경으로 관찰하던 중 꽃가루에 달린 꼬리를 발견했어요. 정충이 수천 개의 섬모를 움직여 앞으로 헤엄치는 모습도 관찰했지요. 또한 4월과 5월초 사이에 수분이 이루어지고, 수정은 9월 말에서 10월 중순 사이에 일어난다는 사실도 ... ...
- Part 3. 똥냄새 줄일 수 없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어린 묘목일 때는 암수를 구별할 수 없다는 거예요. 암수를 구별할 수 있는 은행나무의 꽃은 묘목을 심은 뒤 최소 20~30년이 지나야 피기 시작하거든요. 국립산림과학원은 지난 2011년 은행나무의 DNA를 분석해 암수를 구별하는 방법을 개발했어요. DNA에는 식물의 키와 잎 모양, 색깔 등을 정하는 유전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파리를 죽이는 유독식물 파리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효과도 있어서 파리풀 전체를 빻아 벌레 물린 곳에 바르기도 했답니다. 9월엔 파리풀 꽃이 서서히 지면서 열매가 맺히기 시작해요. 이때 열매는 가시처럼 생겨 사람이나 짐승의 털에 아주 잘 달라붙지요. 그러면 열매가 더 멀리까지 이동해 다른 곳에 씨를 뿌려 번식할 수 있답니다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