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톱니바퀴
변동기
트랜스미션
전동장치
변속 장치
gear
d라이브러리
"
기어
"(으)로 총 459건 검색되었습니다.
독특한 철학과 프로그램공개로 성공한 새로운 운영체계「유닉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액셀러레이터를 밟으면 가고 브레이크를 밟으면 서게 되며 적당한 힘을 얻기 위해서
기어
를 사용한다는 사실만 알고 있으면 모든 자동차를 운전할 수 있듯이, 컴퓨터에서도 종류에 따라 내부는 달라도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운영체계의 사용법은 어느 컴퓨터에서나 같다. 따라서 같은 운영체계 위에 ... ...
자성유체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생기고 발열이 적다는 장점을 갖는다.그리고 볼 베어링의 윤활유 고갈을 방지하고
기어
박스의 윤활유 수준을 유지시켜주는데도 활용되고 있다.둘째로 자화(磁化)의 결과로 발생하는 뜨는 힘을 활용할 수 있다. 불균일한 자기장 내에 강자성유체를 두면 겉보기에도 매우 비중이 큰 액체가 된다. 이 ... ...
컴퓨터로 실제상황을 재현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엔진제어장치와 조타(操舵)장치. 엔진제어장치는 자동차의 가속기(액셀러레이터) 및 변속
기어
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이들 선박조종 장치들은 선박의 사령탑인 선교에 위치한다.선박은 얼핏 보기에 조종하기가 쉬운 듯하지만 결코 그렇지 않다. 망망대해를 항해하지만 항로가 따로 있고 파도와 조류 ... ...
PART 4 몸 안으로 들어가는 마이크로 로봇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있다. 훨씬 작은 로봇을 추구하고 있다. 미생물만한 크기 또는 그보다 조금 더 큰
기어
다니는 로봇에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와 같이 작은 기기의 기억소자들을 만드는 기술은 앞으로 여러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우주선의 소형하드웨어나 미소한 외과용 장치들 그리고 눈에 ... ...
지구가 너무 덥고 추웠을 때 When The Earth Was Too Hot and Too Cold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천5백만년 전이었는데 이때에는 초기의 파충류(공룡과 우리들 자신의 선조들)가 지상을
기어
다니고 있을 때였다.판게아를 상상해 보라! 그것은 아시아대륙 크기의 세배나 되는 것으로 하나의 땅 덩어리였던 것이다.판게아의 중앙부는 아마 대양에서 2천마일은 떨어져 있었을 것이며 오늘날은 어떤 ... ...
신소재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경량의 복합재료 및 초소성합금이 개발대상이다. 엔진용으로는 니켈계 초내열합금, 랜딩
기어
용인 초고장력강의 국산화가 시도될 것으로 기대된다.에너지산업용으로는 최근 연구가 활발한 산화물계 고온초전도체의 실용화, 무공해 수소에너지를 활용하는 수소저장합금, 원자력발전용의 방사능 ... ...
연구활동에 컴퓨터는 필수도구로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상호대화를 거친다.천문학에서의 시뮬레이션 역사는 더 오래전부터 시작됐다. 18세기
기어
를 이용해서 태양계의 별과 위성들을 서로 움직이게 하는 기계몽형이 만들어졋다. B.C. 1게기 경 그리스해역에 침몰했던 배에서 나온 금속 덩어리는 고대인들도 태양계의 모형을 만들어 이용했음을 보여준다. ... ...
빠르다 안전하다 쾌적하다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컴퓨터가 부착되어 있어 전자센서가 변속기의 출력속도, 엔진의 부하, 엔진속도 선택
기어
레버의 위치, 그리고 다른 조정 스위치의 위치를 감지하면 미리 입력된 데이터와 전자센서에 의해 얻어진 동력전달장치의 데이터와의 차이가 자동으로 계산되어 새로운 신호가 엑츄에이터(actuater)로 ... ...
1억5천만년 동안 지구를 지배한 공룡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이 공룡과 가장 닮아 있다. 이 옛날도마뱀은 그다지 빨리 달리지는 못하나 땅을
기어
다니며 곤충이나 벌레를 잡아먹고 산다. 이는 몸이 둔하기 때문에 포유류나 다른 경쟁자가 있었다면 현재까지 살아 남지 못했을 것이다. 뉴질랜드는 그들의 비호소(asylum)가 된 것이다.포유류(mammal)는 공룡으로부터 ... ...
홍도의 식물생태계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모습에 감명을 받았음인지 경사가 60도도 넘어 보이는 '준'(準)절벽을 숨을 몰아 쉬며
기어
올라갔다. 또 가다가 의문이 나는 식물이 있으면 채집, 이교수에게 보이고 자문을 구했다. 노방에 깔린 하찮은(?) 풀한포기의 이름은 물론 그 생리나 용도까지 '좔좔'외는 이교수는 '걸어다니는 식물도감'으로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