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여
간섭
참견
가입
관계
개입
d라이브러리
"
관여
"(으)로 총 1,134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민타파! 키에 대한 모든 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알겠지?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성장판에서 뼈를 자라게 할 수 있을까? 여기에 중요하게
관여
하는 물질이 바로 ‘성장호르몬’이란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성장을 하게 만드는 호르몬이라서 성장호르몬이지.성장호르몬의 고향은 뇌하수체성장호르몬은 머릿속의 뇌하수체라는 곳에서 나와. ... ...
감각이 일어나는 경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감각 정보를 대뇌에 전달하고 시상하부는 몸의 항상성 조절을 위한 호르몬 분비에
관여
한다. 또 대뇌 반구에서 소뇌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뇌간은 연수와 뇌교로 구성되며 호흡과 심장박동을 조절하는 중추다. 뇌 중심부에는 변연계가 있어 감정, 욕구, 기억을 관장하는데, 편도체는 공포감을 ... ...
개화유전자 FT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보고했다. 이 연구팀은 FT 단백질과 함께 FT mRNA도 식물에서 꽃을 피게 하는 신호의 전파에
관여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과연 이 연구팀이 제시한 결과처럼 FT 단백질뿐 아니라 FT mRNA도 이동할까. 꺼져가는 불씨를 되살리며 새로운 불을 지피는 연구결과가 될지, 헛발질을 한 결과가 될지는 좀 더 ... ...
상상을 초월하는 별난 동물 이야기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들었다. 또 노래를 부르면 인간관계에서 신뢰감을 형성하는 데
관여
하는 신경화학물질(옥시토신)이 분비된다는 점도 꼽았다.물론 저자는 사람이 음악적으로 진화했음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는 일도 잊지 않았다. 인간의 대뇌피질에 위치한 전전두엽의 진화는 인간을 언어와 ... ...
얼굴 기억 못하는 건 조상 탓?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바로 얼마 전 새로 만난 사람의 얼굴이 기억나지 않는다면? 텔레비전에 나오는 두 사람의 얼굴이 계속해서 헷갈린다면? 타인의 얼굴을 잘 기억 ... 떨어지는 것은 지능과는 상관없는 유전적 요인 때문”이며 “어떤 유전자가 얼굴 인식에
관여
하는지 밝혀내는 것이 다음 목표”라고 설명했다 ... ...
마음도 음양의 조화가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우리를 기분 좋게 만드는 호르몬이다. 세 번째는 뇌의 인지기능 중에서 실행력에
관여
하는 동작성 지능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당연히 실행력도 높아지고 창의성도 꽃피어나게 마련이다.긍정주의자가 되기 위한 첫 번째 방법은 자기 자신을 믿는 것이다. 맹자는 “만물이 내게 갖춰져 ... ...
아빠 없는 쥐 더 오래 산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새끼 쥐를 태어나게 하는 데 성공했다.당시 연구진은 난자의 유전자 중 단위생식에
관여
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유전자(h19)를 제거한 뒤 이를 정상 난자에 이식해 수정란을 만드는 방식으로 새끼 쥐를 태어나게 했다. 연구팀은 이들 쥐들의 평균수명을 조사한 결과 일반 쥐보다 평균 186일, 약 30% ... ...
유전자 쏙 빼니 암컷이 수컷으로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난소가 남성 호르몬을 분비하는 정소로 변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FOXL2는 정소의 발생에
관여
하는 SOX9 유전자의 활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이이 유전자를 제거하자 그간 작동하지 않던 SOX9 유전자가 발현되면서 3주 후에 테스토스테론(남성호르몬)이 생성되기 시작했다. 성별이 바뀐 ... ...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경우도 많다. 냄새 분자가 후각 수용체 단백질과 결합할 때 서로 거울상인 부분이 별로
관여
하지 않아서일 것이다. 달콤한 장미향인 로즈 옥시드, 좀약 냄새가 나는 캠퍼, 치약에 널리 쓰이는 상쾌한 향의 멘톨이 그런 분자다.흥미롭게도 꿀벌의 경우는 사람과 비슷한 패턴을 보이지만 사람이 ... ...
벌거숭이두더지쥐는 암에 걸리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세포층이 표면을 덮으면 더 이상 증식하지 않는 이유다. 이 과정에는 p27이라는 유전자가
관여
한다. 한편 p53 같은 항암유전자가 고장 나면 p27의 발현이 낮고 접촉 저지 메커니즘이 약화된다.연구자들은 벌거숭이두더지쥐의 세포를 배양하면 증식속도가 느릴 뿐 아니라 세포 밀도가 훨씬 더 낮을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