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설"(으)로 총 1,955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나노세계 건설하는 두 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그래핀, 탄소나노튜브 등 종류와 활용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이다. 이 작은 세계를 건설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어떤 노력을 기울이고 있을까. 두 가지 키워드로 알아보자.나노스. 그리스어로 난쟁이라는 뜻이다. 10억 분의 1m에 불과한 나노 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아주 적절한 이름을 ... ...
- Part 1. 도시 역사와 함께 흐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타임머신을 타고 도시를 돌아다니면 시대마다 그 모습이 모두 다를 거예요. 도시의 모습은 계속해서 변해왔기 때문이죠. 무엇이, 그리고 어떻게 도시를 바꾸는 걸까요?8000년 동안 변하고 또 변한 ‘도시’도시는 정치와 경제, 교통, 그리고 문화 등이 발달한 곳이에요. 5000년 전 오늘날의 이라크 지 ... ...
- Part 5. 우주 도시 특명 또 하나의 지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제라드 오닐 박사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했어요. 우주 공간에 거대한 우주 정착선을 건설하는 아이디어였죠. 이 우주 정착선은 중력, 대기, 온도 등 모든 조건이 지구와 똑같게 만들어져 수만, 수백만 명이 살 수 있는 일종의 거대 ‘우주 도시’랍니다. 어떻게 하면 이 우주 정착선을 광활한 ... ...
- [과학뉴스] 록히드마틴, 화성 베이스캠프 제안과학동아 l2017년 05호
- NASA)의 2028년 유인 화성탐사에 필요한 베이스캠프를 국제우주정거장과 유사하게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제안했다. 이들이 제안한 베이스캠프는 화성 궤도에 위치하며, 6명의 우주인이 머무를 수 있는 거주지로 사용된다. 우주인들이 본격적으로 화성 표면으로 가서 탐사 하기에 앞서 10~11개월간 화성 ... ...
- [포토 뉴스]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인공태양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가장 큰 인공태양이 독일에 건설됐다. 독일항공우주센터(DLR)는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레주에 7킬로와트(kW) 출력의 제논 쇼트아크램프 149개로 이뤄진 인공태양 ‘신라이트(Synlight)’를 만들었다.독일은 태양광이 강하지 않아, 그간 강한 광에너지가 필요한 연구에 제한이 있었다. 신라이트를 구성하는 14 ... ...
- Part 3. 실내 공기는 깨끗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둥둥 떠다니고 있어요.실내 오염물질을 없애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환기예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는 30분 간 창문과 문을 열어 환기의 효과를 알아보는 실험을 했어요. 그 결과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의 양은 약 8분의 1, 일산화탄소는 약 5분의 1 등으로 크게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 ... ...
- [Future] 국내 최고 높이, 롯데월드타워는 바람에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그래서 건물을 짓기 전 풍동 실험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아파트·도시 건설에도 ‘바람’이 중요남쪽 지방 전주에는 거대한 풍동실험센터가 있다. 전북대 안에 위치한 이 실험센터는 2009년 총 85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만들었다. 설립된 이후 고층 건물과 교량 등 여러 건축물들의 안전성을 ... ...
- [포토 뉴스] 초고속 진공 열차 ‘하이퍼루프’ 테스트 현장 첫 공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지난 3월 8일까지 두바이에서 열린 ‘중동 레일 컨퍼런스 2017’에서 미국 네바다 사막에 건설 중인 하이퍼루프 테스트 시설 ‘데브루프’의 모습을 공개했다. 하이퍼루프는 스페이스X와 테슬라의 설립자인 일론 머스크가 2013년 처음 제안한 미래형 운송수단이다. 하이퍼루프의 기본 원리는 진공에 ...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과학동아 l2017년 03호
-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에서 채굴한 원유를 미국으로 운송하는 ‘키스톤 XL 파이프라인’ 건설 계획을 추진하는 행동명령에 서명하면서 전세계가 시끄러웠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5월 유세에서 ‘파리기후변화협정’에서 탈퇴할 것을 공언하기도 했다. 그런데 최근, 미국이 빠질 경우에도 지구에 ... ...
- [에디터 노트] 모두 다 생명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서울대 송준호 교수), 이번 호의 ‘시멘트 없는 콘크리트’ 연구(UNIST 오재은 교수)는 건설 공학이 최근 어떤 고민을 하고 있는지, 어떤 미래를 상상하고 있는지 알게 해줍니다.영감 어린 인터뷰 한 대목에 눈이 갔습니다. “야근 없는 연구실, 최고의 효율성을 향해서!” 산업사회의 패러다임이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