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민
국민
주민
도시민
백성
민중
대중
d라이브러리
"
시민
"(으)로 총 635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로 세계를 묶은 인터넷
과학동아
l
199912
대해 이렇게 말했다. 오늘날 지구촌에서 살고 있는 인간들을 네티즌이라는 하나의
시민
으로 묶고 있는 인터넷은, 지금으로부터 40여년 전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1957년 10월 러시아(옛소련)가 스푸트니크 1호를 쏘아올리자 이와 맞서고 있던 미국은 두려움에 떨지 않을 수 없었다. 지구를 도는 ... ...
4. 위기의 지구
과학동아
l
199911
모습을 바꾸게 될 것이다. 해양 도서 국가들의 일부는 침몰 직전에 몰리고 그 지역의
시민
들의 대부분은 이주해야할 것이다.1990년 7월에 브라질의 리우에서 세계 주요 정상들이 모여 유엔 기후변화협약을 체결했고, 그 이후에 베를린 교서, 1998년 10월 초에 교토 의정서 등이 잇따라 나왔다. 주요 ... ...
인간 유전자에 특허 매겨진다
과학동아
l
199911
신청을 철회해야 했다.그러나 몇달 후 미국 정부는 솔로몬군도와 파푸아뉴기니 출신
시민
에게 얻어낸 비슷한 능력을 가진 바이러스에 대해 미국과 유럽에 특허를 신청했다. 1995년 3월 미국 특허청은 파푸아뉴기니 사람으로부터 추출된 바이러스에 대해 특허를 승인했다. 그러자 남태평양 군도 ... ...
인간배아 복제 허용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910
점이 반대를 꺼리게 만들었다. 그렇다고 선뜻 찬성을 하기에는 뭔가 문제가 있는 듯했다.
시민
모두는 이런 갈등을 겪으며 수없이 판단을 거듭해야 했다.마침내 보고서 작성에 들어가기 직전 마지막으로 찬반거수를 실시했다. 전반적으로 반대 분위기가 우세했다. 복제 자체를 반대하는 사람이 6명, ... ...
99대한민국 과학축전
과학동아
l
199909
주저함이 없는 관람객, 기쁜 마음으로 설명하는 참가자. 이들의 의사소통을 통해 미래
시민
의 덕목이 될 과학적 소양이 무르익고 있었다.“아빠! 여기 당구대 있어요. 한번 쳐보세요”하며 아빠의 팔을 잡아끄는 딸아이, 못이기는 척 하며 큐를 잡는 아버지. 어느 방향으로 치더라도 초점에 놓인 미니 ... ...
화성생명체를 찾아나선 바이킹
과학동아
l
199909
진행하는 라디오 드라마 ‘우주전쟁’이 방송되자 미국 전역에서 큰 혼란이 일어났다.
시민
들이 화성에서 우주인들이 침공한 줄 알고 1백만명이나 집을 버리고 피신했던 것이다. 1949년 2월 13일 에콰도르에서도 같은 일이 벌어졌다. ‘우주전쟁’이 방송되자 폭도들이 방송국을 습격해 불을 지르는 ... ...
우리나라 공룡알 산란지
과학동아
l
199908
봄 경기도 화성군 시화호에서 해양연구소의 정갑식박사와 ‘희망을 주는 시화호 만들기
시민
연대’의 최종인회장은 이상한 구형의 화석을 발견해냈다. 시화호 남쪽 약 2백만평의 간석지 지층을 조사한 결과 놀랍게도 시화호 내에는 최소한 3종류의 공룡알 화석이 3-12개(지름 11-15cm)씩 모여 수많은 ... ...
다이옥신
과학동아
l
199907
이미 많은 음식물에 포함돼 있을지 모른다. 한 예로 얼마 전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
의 모임’은 미국에서 수입된 돼지고기도 다이옥신에 심하게 오염돼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미국산 축산물의 오염도는 일반적 수준이라고 해명했지만, 과연 그럴지에 대해서는 의문이다 ... ...
아우슈비츠와 731부대
과학동아
l
199906
. 이를 통해 미국은 1955년까지 7백60여명의 과학자들을 흡수했다. 물론 이들에게는 미국
시민
권이 주어졌고, 동시에 나치스에 협력했던 경력을 말끔히 씻어주었다.페이퍼클립 계획을 통해 미국으로 건너간 대표적인 사람은 로켓과학자인 폰 브라운(1912-1977)과 항공우주의학의 선구자인 슈트루크홀트(? ... ...
① 화면에 옮겨놓은 축소된 현실
과학동아
l
199906
마삿치오였다. 그의 ‘성 삼위일체’(3)라는 작품을 보자. 15세기 이탈리아의 피렌체
시민
들은 이 그림을 보고 깜짝 놀랐다. 그림이 너무나 사실적으로 표현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십자가에 못박혀 죽은 그리스도의 뒤로 보이는 배경공간에 주목해보라. 이 그림의 배경공간은 ‘이피게니아의 ... ...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