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수"(으)로 총 866건 검색되었습니다.
- 분자에 숨어 있는 수학 법칙수학동아 l201012
- 구분할 수 있는 선형이냐에 따라 이처럼 메틸기를 더할 때 만들어지는 분자의 개수가 크게 다름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탄소 10개로 이뤄진 선형분자(데케인)에 메틸기 2개를 붙일 경우 몇 가지 분자가 만들어질까. 너무 복잡하다고? 헥세인에서 쓴 방법대로 해보면 25가지임을 금방 알 수 있을 ... ...
- 바르바리 해적수학동아 l201011
- 수는 없을 것 같고, 이 중 몇 개만을 골라 넣어야 하니까…. 상자 바닥에 새겨진 무늬 개수에 맞게 열쇠를 배치하면 될 것 같아. 그래, 숫자 2를 나타내는 열쇠 바닥에는 무늬가 2개 있어야지.”4 출항“왼쪽부터 6354가 되는군. 일단 모든 조건이 준비됐으니 출발하기만 하면 되겠어. 이 녀석들도 함께 ... ...
- 제1게임 먼저 두는 사람이 유리한 오목수학동아 l201011
- 수씩 두는 방식이라 흑이 주도하여 경기를 끌고 갈 수 없다. 서로 수를 둘 때마다 한 돌씩 개수가 앞서기 때문이다. 육목은 바둑판에서 두기 때문에 경우의 수가 (19×19)!= 361!로 약 10172이다. n!은 n(n-1)(n-2)…3·2·1이다.오목의 게임방식은 변화 중국제대회에서는 오목 게임을 어떻게 하는지, 오늘 멋진 ... ...
- 제4게임 짝수를 만들어야 이기는 님 게임수학동아 l201011
- 그런데 아이유 선수, 칩을 가져가기 전에 종이에 무언가 적습니다. 더미 칩의 개수를표에 이진법으로 나타냈군요. 대체 어떤 전략을 가지고 나왔기에 이런 방법을 사용하는지 모르겠습니다.이때 아이유 선수, 세 번째 더미에서 칩 1개를 가져갑니다.그리고 또다시 표를 그리는 아이유 선수. 이때 ...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과학동아 l201011
- 나머지 꼭짓점들은 모두 삼각형 ABC의 내부에 있다. (나) 각 꼭짓점에 모이는 변의 개수는 모두 같다. (다) 꼭짓점은 모두 삼각형의 변의 양 끝에만 위치한다. 1) 7개의 삼각형으로 분할한 모양을 그리시오.2) 19개의 삼각형으로 분할한 모양을 그리시오.3) 위의 조건에 따라 삼각형 ABC를 분할한다면 최대 ... ...
- 변화무쌍 수조 진짜 남극바다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011
- 캐비테이션 정도에 따라 프로펠러의 추진효율도 달라지기 때문에 프로펠러 날개의 개수, 모양, 크기를 설계할 때는 반드시 캐비테이션을 고려해야 한다.그런데 캐비테이션 특성을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배가 움직이는 것보다 배를 가만히 두고 물을 흘려보내는 것이 유리하다. 수조 실험은 ... ...
- Part 2. 두 번째 조합으로 만든 한글 글자는 몇 개일까?수학동아 l201010
- 글자는 소리가 ㅣ로 나므로 18×1×8=144개도 빼야 해. 따라서 한글로 만들 수 있는 소리 개수는 19×21×8=3192에서 144를 두 번 뺀 2904개야. 만약 사라진 자음과 모음 4개가 더 있었다면 글자와 소리는 이보다 더 많았겠지. p.s)원래 세종대왕이 처음으로 한글을 만들 때는 17개의 자음과 11개의 모음으로 ... ...
- 인생의 갈림길, 선택과 책임은 내 몫과학동아 l201010
- 3. 영어 성적이 중하위권인 이유는 어휘력이 부족해서다. 단어집을 사서 하루에 정한 개수만큼 단어를 외운다. 단어를 충분히 외운 후 문법, 독해 순으로 공부를 전개한다. 특별 이벤트 과학동아 ‘도전 1% 클래스’에서는 독자 여러분을 대상으로 입학사정관제를 준비하기 위한 진로·진학 상담을 ... ...
- 태양 쓰나미가 몰려온다과학동아 l201010
- 년 4월까지만 해도 다음 태양활동 극대기의 시기와 규모에 대해 2011년 하반기쯤에 흑점의 개수가 140개가 넘을 것이라는 안과, 2012년 8월에 80개 정도가 될 것이라는 안이 있었다”며 “지난해 5월까지 태양활동을 지켜본 결과, 140개가 넘을 거라는 안이 쏙 들어갔다”고 말했다. 다음 극대기는 ...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과학동아 l201010
- 교수는 란다우 교수가 버렸던 계산식을 그대로 살린 채 일정한 공간에 있는 음이온의 개수를 나타내는 함수를 적분해 평형 상태에 이른다는 사실을 보였다. 완벽한 증명은 아니지만 란다우의 계산보다 한 걸음 더 나간 것이다.스미르노프 교수는 삼각격자 위에서 침투이론을 설명했다. 침투이론은 ... ...
이전3839404142434445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