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스페셜
"
시작
"(으)로 총 4,790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섯 번째 DNA염기 존재하나?
2015.06.29
10%가 메틸화돼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6mA의 기능이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
했다. 이번에 ‘셀’에 실린 논문 세 편은 각각 클라미도모나스와 예쁜꼬마선충, 초파리의 게놈에서 6mA의 분포를 분석하고 있다. 먼저 상대적으로 6mA의 빈도가 높은 클라미도모나스의 결과를 보면 이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구입할 수 있을 뿐이다. 책은 현미경을 발명해 미생물을 처음 본 안톤 반 레벤후크로
시작
해 각 장 별로 미생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소개하고 있다. 이 가운데 로베르트 코흐의 이야기가 특히 감동적이다. 1866년 23세에 독일 괴팅겐대 의대를 졸업하고 시골에서 개업의로 바쁘게 지내던 코흐는 ... ...
[신기후체제와 원자력①]기후변화에 대한 국제적 대응, 어디까지 왔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22
IPCC도 바로 이런 노력의 결실이다. 지구온난화에 대한 국제 사회의 노력은 1979년
시작
됐다. 제1차 국제기후총회에서 세계 여러 나라를 대표하는 기후학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기후변화 문제의 심각성을 논의했다. 세계기상기구(WMO)와 유엔환경계획(UNEP)은 기후변화가 전 세계 곳곳에 사는 ... ...
무분별하게 자원 낭비한 나우루의 비극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19
언젠가 고갈되기 마련이다. 나우루의 인광석은 1990년쯤부터 슬슬 바닥을 드러내기
시작
하고 채굴량도 급감했다. 수입이 줄어든 국가는 다급해졌다. 해외 자산을 매각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강구했지만 한 번 줄어든 자원은 다시 늘어날 줄 모르니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였다. 국민들은 더 절박한 ... ...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
2015.06.08
학위를 받고 이듬해 소크연구소 레나토 둘베코 박사의 실험실에서 박사후연구원 생활을
시작
했다. 포유류에 감염해 암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연구하던 둘베코 박사는 이 업적으로 1975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사람이다. 일류 연구소에서 꿈꾸던 생활을 하던 도네가와는 그러나 고민거리가 ... ...
기후변화로 수몰위기에 처한 섬나라들의 대책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04
가장 먼저 사라질지도 모르는 나라 중 하나로 꼽힌다. 수도인 푸나푸티는 이미 침수가
시작
되고 있다. 해수면 상승으로 가장 큰 피해를 입게 될 국가는 바로 남태평양의 아름다운 섬나라 투발루다. 여의도의 약 3배 면적(26km²)에 약 1만 명이 사는 투발루는 원형 산호초 섬들로 이뤄져 있다. 이 ... ...
SF에 나타난 원자력 에너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5.29
일어난다는 사실로부터 인간에게 초능력이 생기도록 한다는 이야기들이 선보이기
시작
한 것이다. 대표적인 예로서 슈퍼히어로 영화의 주인공으로 유명한 ‘헐크’나 ‘스파이더맨’의 탄생 배경에는 방사성 물질로 인해 유전자가 변형된다는 설정이 있다. 1962년 8월에 발간된 스파이더맨의 첫 ... ...
바다가 품기엔 너무 벅찬 쓰레기
KISTI
l
2015.05.26
되돌려주는 순환 고리를 형성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점차 상황은 악화되기
시작
했다. 세계화에 따른 잦은 장거리 이동으로 선박 운행에 따른 쓰레기 배출량 자체가 늘어난데다가, 늘어난 인구가 살 자리가 비좁아지자 육지에서 만들어진 쓰레기마저도 바다에 투기하는 사례가 많아진 ... ...
홍역백신, 없어서 못 맞히고 있어도 안 맞히고
2015.05.18
확인했다는 논문을 발표했다. 이때부터 본격적인 백신접종 반대운동이 벌어지기
시작
했고 언론도 기름을 부었다. 아기를 위해 백신을 맞혔는데 아기가 자폐증에 걸려 통한의 눈물을 흘리는 부모들의 사연이야말로 가독성 높은 뉴스거리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그해 12월 당시 총리였던 토니 ... ...
에너지 갈등, 해법은 무엇인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5.15
시설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을 최대한 줄이려면 바로 그 소통방법론을 찾는 일부터
시작
해야 할 것이다. * 본 기사는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의 아톰스토리(http://atomstory.or.kr)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이전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