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북
각
hadj
haji
d라이브러리
"
하지
"(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2. 우리가 만들어야 할 홈웨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일기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런 작업은 최신의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해서도 가능
하지
만, 어린이가 하기에는 너무 복잡한 일이다. 역시 어린이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소프트웨어가 있어야 한다.글자 그림 사진 소리 비디오 등의 정보를 직접 입력하거나 조합해 무엇인가를 만드는 종류는 창작용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낳는 알의 수는 최대 1억5천만개. 가끔 차세대 군락을 세울 여왕개미들과 숫개미들도 발생
하지
만 거의 대부분은 일개미로 태어난다.이처럼 많은 알을 낳기 위해 여왕개미는 혼인비행 동안 여러 마리의 숫개미들과 교미, 적어도 2억개 이상의 정자를 받아들인다. 여왕개미는 이를 저정낭(spermatheca ... ...
치아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빠진 치아 부위와 양옆 치아에 끼운다. 앞니를 1-2개 뽑은 경우 같은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지
만, 눈에 금방 띄어 보기에 흉하다. 때문에 금속 위에 흰색의 도재(도자기 원료)를 입혀 보통 치아와 비슷한 색깔과 모양을 만든다.최근에는 빠진 치아 부위의 턱뼈에 구멍을 뚫어 인공치아를 심는 방법이 ... ...
평생비서 오!K vs 오거나이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일정관리 기능을 이용해 일정을 입력할 때는 시작시간과 끝 시간의 입력을 키보드에 의존
하지
않고 시간 간격 조절바를 이용한다. 또한 약속시간을 정할 때는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미 약속이 잡힌 시간대를 다른 색깔로 표시해준다. 일정이 아니지만 특정일에 해야 할 일이 있는 경우도 있을 ... ...
공룡은 암에 걸려 멸종됐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발생하는, 비교적 덜 격렬한 별의 폭발을 찾기 시작했다.중성미자는 물질과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만일 땅을 뚫고 충분히 통과한다면 그중 몇은 생물체를 이루는 조직의 원자 핵과 충돌할 수 있다. 이 일이 일어나면 핵은 충돌로부터 되튀겨나온다. 콜라 박사는 이같은 ... ...
뛰면서 하는 건강진단 스포츠의학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대해 각별히 주의할 것을 지적한다.특별한 질병이 없는 사람들도 충분한 준비운동을
하지
않거나 자신의 체력한계를 넘는 운동을 할 경우 큰 탈을 입을 위험이 있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하듯, 작년 국내 보험회사들은 테니스 탁구 볼링 수영 등 일반화된 스포츠 활동 중에 다치거나 사망한 경우에도 ... ...
컴퓨터로 그리는 아이들의 세상 "나도 피카소가 될래요"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많이 등장하고 있다. 아이들이 사용할 소프트웨어를 고를 때에는 교육 효과도 중요
하지
만 무엇보다도 아이들이 꾸준히 관심을 갖고 사용할 수 있도록 흥미로워야 한다. 이 흥미요소는 연령층마다 다르기 때문에 연령에 맞는 흥미거리를 넣은 제품을 고르는 것이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학습효과도 ... ...
3. 일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대체로 점모양의 중력원에 의해 빛을 굴절시키기 때문에 완벽한 광학렌즈의 구실을
하지
못하고 하나의 상이 두 개로 보인다든가 또는 고리 모양으로 비친다. 특히 우리은하로부터 멀리 떨어진 퀘이사와 같은 천체들은 그 사이에 놓여 있는 은하나 은하단 때문에 쌍둥이 케이사로 보여지는 경우가 ... ...
제5회 신나는 과학놀이마당 솜사탕도 만들고 DNA도 배열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않는다. 에틸 알코올과 아세트산칼슘을 섞어 만드는 방법이 있는데, 이것은 화력이 약
하지
만 오래간다…." 또렷한 목소리로 고체연료를 만드는 법을 설명했던 학생들은 이번 행사에서 가장 나이어린 국민학교 6학년이었다.올해 중학교에 입학하는 이들 중 2명은 긴장한 나머지 아침부터 배탈이 나 ... ...
3. 세계톱10을 준비하는 KAIST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우리나라의 과학과 기술을 선도하기 위한 교육방향의 선구자적 개척과 제시는 거의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그렇다면 KAIST가 지향해야 할 방향은 어디인가. 첫째 이제부터는 미래지향적인 체계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앞으로 KAIST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기초로 한 체계적인 ... ...
이전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