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연혁
유래
역사책
과정
역사학
역사과학
d라이브러리
"
역사
"(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말썽많던 KAIST 연구부·학사부로 갈라진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당시에는 '에너지수급에 관한 타당성 조사'라든가 '포항제철 설립 타당성 조사' 등 조사용
역사
업을 주로 하였고 70년대 이르러서는 해외 유치과학자를 중심으로 외국기술을 도입하여 개량 소화하고 이를 산업계에 전파하는 기술전도를 충실히 수행했다. 80년대에 들어서는 독자기술개발에 연구력을 ... ...
PART3
역사
상의 거선(巨船)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배의 길이는 가히 5백척(尺)내외가 될 것으로 고증되고 있다.이 거대한 타간은 현재 중국
역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이 박물관은 북경의 한복판, 천안문 광장의 바로 동쪽에 인민대회당을 마주보며 위치하고 있다.■빅토리호/낼슨의 기함서양의 배와 조선술이 급진적으로 발달하고 동양을 ... ...
소련·루마니아·불가리아 과학기행 특색있는 제도와 내용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자격이 주어진다.루마니아에는 15개의 공과대학이 있다. 나는 이들중 1854년에 창립,
역사
가 1세기가 넘은 부카레스트(Bucharest)국립공대를 둘러보았다. 이 대학에서 나는 교수와 연구원을 상대로 6개월간 특별강의를 하였는데 청강자가 50여명에 달했고, 질문도 비교적 많았다.부카레스트공대에는 ... ...
떨어져나간 팔을 재결합시켜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예전처럼 움직일 수 있게 되었으며, 근육 신경 뼈들이 제 기능을 되찾았다. 이 수술은
역사
상 두번째 시도된 것이었는데, 최초의 수술은 유고의 의사 마르코스 고디나씨에 의해 1986년에 수행 되었다 ... ...
제2세대 우주왕복선과 극초음속 여객기개발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1996년에는 서울과 뉴욕을 2~3시간에 비행할 수 있을 것이다.하여튼 이 X-30 계획은 미국
역사
상 가장 큰 비행기 연구개발 계획이기 때문에 미국의 큰 항공사들은 모두 참여하여 극비리에 연구개발을 진행시키고 있다.연구개발의 기본 목표는 다음과 같다.①수평으로 이착륙②극초음속(음속 6이상)으로 ... ...
개관 1년 앞둔 제2국립과학관 한국과학기술사를 재현한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108) 기술(79) 기타구조물(6) 등 총 3백22개 항목이 전시된다.자연사분야는 지구와 우주의
역사
를 시대순으로 나눠 대표적인 자연사물 (화석 등)을 전시하게 되는데 실외자연사공원도 조성할 계획이다.전시면적은 4백48평, 전시장소는 3층.해시계 화포 등 우리 과학기술의 상징적인 유물들을 실물크기로 ... ...
한반도 거의 전역에 구석기인 살아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관심이 좀더 커져야 하고 이를 뒷받침할 기구가 생겨야 한다. 최소한 선사문화연구소와
역사
고고학연구소가 세워져야 하는 것이다. 최근 대만에서는 중화민국 선사박물관을 만들기위해 매우 많은 예산을 배정했다고 보도하고 있다 ... ...
TDX-1B개통을 계기로 본 국산 전자교환기의
역사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외제 전자교환기의 대량도입은 심각했던 전화적체현상을 일거에 해소했다. 한편 통신기술자립화를 위한 국산전자교환기 TDX개발은…어릴때 시골에 가면 전화있는 집도 몇군데 되지 않지만 전화거는 폼을 볼라치면 한손으로 전화기를 잡고 다른손으로 수동식전화기의 손잡이를 힘껏 돌려서 교환을 ... ...
우리 귀에 들리지 않는 곳에서 맹활약한다 초음파의 세계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발생시키는 방법도 알려지고 있다. 수심측정기에서 소나(SONAR)까지초음파의 응용중 가장
역사
가 오래된 것은 수심측정기이다. 수심측정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초음파 변환기를 써서 강이나 바다의 바닥방향으로 초음파 펄스를 발사시키고 그것이 되돌아 오는 시간을 측정, 바닥면의 거리를 ... ...
동양·중국 전통과학의 한계 왜 제자리 걸음만 했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것보다 "왜 서양에서 근대과학이 출현했나?"를 묻는 것이 옳다는 주장이 그것이다.어떤
역사
적 사건이 어디서나 당연히 일어나야 할 성격의 것이 아닌 한, 왜 그 사건이 일어나지 않았나를 묻는 것은 잘못이라는 것이다. 아울러 서양에 근대과학을 성립시킨 16 17세기의 과학혁명이 어느 문화권에나 ... ...
이전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