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약품
약제
의약품
약물
의약
꽃밥
의약제
d라이브러리
"
약
"(으)로 총 10,71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하나다(암흑에너지에 대해서는 2013년 12월호 특집 참조).이런 이유 때문에 표준모형은 (만
약
그런 것이 있다면) 물리학의 궁극적인 이론 또는 최종이론과는 거리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힉스 입자의 발견에 과학자들이 열광하는 이유는 그 자체가 ‘세상은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라는 2500년도 ... ...
생물처럼 말랑말랑한 ‘소프트 로봇’ 나온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소프트 로봇을 제작하는 데 활용할 계획이다.우리 몸 안에 들어가 암 세포에 직접
약
을 배달하거나 가까운 상처를 치료하고 막힌 혈관을 뚫는 마이크로 의료 로봇은 새로운 개념은 아니다. 그러나 이런 마이크로 의료 로봇은 사람의 혈액을 타고 떠다니기 때문에 원하는 장기까지 정확하게 가도록 ... ...
비트코인도 털린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해독한 사람에게 상금으로 일정량의 비트코인을 준다. 아무나 참여할 수 있으며, 만
약
여러 사람이 힘을 모아서 해독했다면 기여도에 따라 나눠 갖는다.비트코인이 서서히 알려지면서 사람들이 하나둘씩 합류했다. 이들은 암호 블록을 해독하는 작업이 마치 금광에서 금을 캐는 것 같다며 ‘마이닝 ...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단백질 결정을 찾기 위해 로또 당첨에 가까운 확률에 도전하고 있다. 인간의 몸에는
약
2만 5000개에 달하는 단백질이 있지만 실제로 그 구조가 발견된 것은 10%도 채 안 된다. 단백질 결정을 만드는 과정이 아직도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단백질 용액을 수천 종류의 결정화 용액과 섞어 온도와 산성도를 ... ...
미래는 컴퓨터에게서 노인의 지혜를 얻는 세상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꼭 필요합니다. 환자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30억 개 염기 서열을 분석해야할 뿐 아니라
약
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300억 개~3조 개에 이르는 정보를 분석하기 위해서죠. 엄청난 양의 정보 중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알기 쉽게 정리하는 일, 시스템을 구축하고 프로그램을 ... ...
옥토끼, 달에 중국 국기를 꽂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이번에 창어3호와 위투호를 달에 무사히 보낸 창정3B호는 지구 저궤도까지 운반 능력이
약
12t이나 된다. 이 힘으로 달에 착륙하는 순간까지 쓸 연료 등을 모두 싣고 떠날 수 있었다.중국은 벌써 창정11호까지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활발히 연구 중이다. 이를 발판으로 독자적 우주정거장, 독자적 GPS ... ...
말나라 아나운서 ‘말마라 마리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미션2 말은 얼마나 클까?“두 번째 퀴즈입니다. 사람은 성인 남성의 평균 키가
약
175㎝입니다. 말과 다른 동물들이 얼마나 클지 궁금하시죠?”사회자 ‘말마라 마리아’가 두 번째 퀴즈를 냈다.“그럼 다음의 날씬(?)하기도 하고 통통(?)하기도 한 동물들을 몸길이가 가장 긴 순서대로 줄을 세워 ... ...
2014 결정학의 해 물질의 비밀 푸는 열쇠, 결정!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다양한 실험은 물론 이 단백질에 딱 맞는
약
도 디자인하는 거지요. 어려운 실험 없이도 신
약
을 만들 수 있다니 정말 놀라운 일이죠?결정 만들기로 결정!결정 씨앗으로 결정을 만든다고?집에서 크고 아름다운 결정을 만들 수 있다는 거 아니? 멋진 결정을 만들고 싶다면 결정 씨앗을 이용하면 된대. ...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여행 0을 찾아서!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발견된 0과 무한은 오늘날 어떤 활
약
을 하고 있을까? 우주부터 실생활까지 다양하게 활
약
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를 살펴보자1. 우리는 컴퓨터가 없는 세상을 상상하기 어렵다. 그런데 0이 없었다면 0과 1로 이루어진 수로 연산하는 컴퓨터는 물론 스마트폰도 개발되지 못했을 것이다.2. 아인슈타인의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밝혀져 있었다. 하지만 강한 핵력에서는 관측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깨진 정도가 아주
약
해서 거의 깨지지 않는 것이나 다름 없어서인데, 이것은 표준모형과는 맞지 않았다. 그 해에 로베르토 페체이와 헬렌 퀸 박사는 또다른 대칭(나중에 페체이-퀸 대칭으로 불리게 됐다)을 도입하면 CP대칭이 ... ...
이전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4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