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법
양식
스타일
형식
수단
방책
규범
d라이브러리
"
방식
"(으)로 총 6,22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초 단원자 트랜지스터 개발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분자와 원자 간의 상호작용으로 전류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의 전자 조절
방식
에 자기적 성질이 추가됐음을 의미한다. 이로써 트랜지스터의 전류 흐름을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네이처지는 이 연구에 대해 “원자 하나가 트랜지스터가 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며 “당장 ... ...
PART4 전자 하나로 작동되는 트랜지스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대량으로 제조하는 일이 관건이다.실리콘 기술의 한계를 궁극적으로 극복할 바텀-업
방식
의 소자들은 아직 초보단계에 머물러 있다. 대개 초보단계는 대학 중심으로 연구개발이 이뤄지지만, 나노전자소자는대학뿐 아니라 현재의 반도체사업을 주도적으로 이끄는 기업들도 적극적으로 연구개발에 ... ...
Ⅱ 붉은악마 열광시킨 대형 전광판 LED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간단한 구조를 가진 LED는 기존의 전구 필라멘트가 가열되며 얻어지는 빛과는 다른
방식
으로 빛을 낸다.즉 전기가 직접 반도체를 통해 빛으로 바뀐다. 따라서 효율이 높다. 또한 반도체의 종류에 따라 발광하는 빛의 색깔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다.왜 반도체에서 빛이 나오는 것일까. 그리고 어떻게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로봇의 제어
방식
이 입력되는 부분으로 인공생명 로봇의 핵심이다. 여기에 입력되는 제어
방식
은 크게 진화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과 강화학습(Reinforcement Learning), 그리고 인공면역계(Immune Networks)가 있다. 새로운 진화 개념 면역시스템진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자율분산 로봇으로는 스위스에 ...
내 휴대폰 외국에서도 잘 터진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을 여러개 지정해 두면 된다. NAM은 주파수 채널을 의미한다. 일본의 경우는 주파수 사용
방식
의 차이에 따라 특정 단말기가 있어야 가능하지만, 그 이외에 주파수 대역폭을 함께 사용하는 CDMA 지역의 경우 단말기 메뉴에서 간단한 키조작으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NAM을 등록하게 되면 고객의 단말기 ... ...
공각 기동대 vs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알 수 있었다.공각기동대의 다이브는 국민 게임이 되어버린 스타 크래프트의 게임
방식
과 똑같다.스타 크래프트의 플레이어가 첫번째로 해야 하는 일은 인터넷에 접속한 뒤 내 컴퓨터 안에 방을 만드는 것이다. 방을 만들고 기다리면 내 컴퓨터에 나와 게임을 하고 싶어하는 다른 플레이어들이 ... ...
위조방지기술의 결정체 화폐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보면 총 1천5백47장의 위조지폐가 발견됐다. 위조 방법도 과거 종이에 그리던 단순한
방식
이 아니라 컴퓨터 스캐너 등 성능이 우수한 컴퓨터 관련기기를 이용한 것이었다. 또한 1만원권뿐만 아니라 5천원권 위조지폐가 크게 늘어나 2000년 71장에 불과했던 5천원권 위조지폐가 2001년 중에는 2백35장이나 ... ...
2. 태초에 수소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그야말로 하나를 주고 하나를 받는 공평한 거래다. 후일 미국의 랭뮤어는 이런 결합
방식
에 ‘공유결합’이라는 이름을 붙여서 전세계의 중·고등학생이 빅뱅 우주에서 처음 시도된 지혜로운 결합의 원리를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다.이런 상생의 원리는 모든 인류의 스승이 스스로 실천하고 가르친 ... ...
왜 허준의 행적을 들춰내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높아졌다. 몇몇 영웅의 역사가 아닌, 몇몇 기관과 제도의 변천이 아닌, 보통사람들의 생활
방식
에 대한 역사가 진정한 역사라는 인식이 널리 퍼져있다.의학의 역사 연구는 이런 일상생활사적 관심에 가장 부합되는 분야다. 왜냐하면 의학사가 바로 생로병사를 다루고 있으며, 생로병사가 바로 가장 ... ...
물리학 안경으로 통합되는 생명현상 생물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생물학자의 공동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분야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언어적 코드나 접근
방식
이 너무도 다른 두 분야의 학자가 제대로 의사소통을 하기란쉽지 않다.해외 대학에서는 물리학과 생물학의 다리를 이어주려고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두 분야에 대한 이해가 이뤄지도록 학제간 ... ...
이전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4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