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람
인류
휴먼
개인
인물
인격
중생계
d라이브러리
"
인간
"(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조류 독감 비상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이에 맞서 표면 구조를 끊임없이 바꿔 나간다. 또 간혹 가축 몸속에 들어간 바이러스와
인간
몸속의 독감 바이러스가 섞여 새로운 악성 변종이 생겨나기도 한다. 바로 이와 같는 ‘대변이’가 역사상 인류에게 대재앙으로 나타나곤 하는 것이다.한편 전세계적으로 독감 확산에 대한 위기감이 ... ...
전자파 잡음 없는 반도체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가져온 전자제품들이 지금까지 선보인 거의 유일한 부작용은 전자파다. 전자파로부터
인간
을 보호하는 수호천사로 김 교수와 그의 연구실의 활약이 앞으로 더욱 기대를 모으고 있다 ... ...
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회복시킬 수 있다. 세상 모든 것은 완전한 통제가 불가능한가보다. 시간치료법
인간
의 활동 시간대의 구분이 점점 모호해져가는 추세다. 미국의 최근 통계자료에 따르면 심야에 일하는 사람의 비율이 전체 경제활동인구의 약 20%에 이른다. 이들처럼 수면 휴식기인 심야에 인공조명에 오래 노출돼 ... ...
말라리아 퇴치, 미꾸라지가 나선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만들 따름이다.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살충제는 생태계를 파괴하고 일부는 독성이 있어
인간
과 야생동물에게 큰 피해를 준다.이런 가운데 모기의 천적으로 미꾸라지가 각광을 받고 있다. 미꾸라지가 강력한 모기의 천적으로 확인된 것은 1996년 전남 벌교읍 소재 유기농법을 실시하고 있는 논에 대한 ... ...
신나는 콘서트, 즐거운 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뇌의 기능과 사고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복잡성의 과학을
인간
의 뇌에 접목시켜 1조개의 신경세포를 갖고 있는 사람의 뇌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 각각의 기능들이 무엇인지를 밝혀내는 작업을 하고 있는 것이다. 뇌의 어떤 부분이 기억과 학습과 감정과 창조에 관련되는 일을 ... ...
인간
앞에 서면 작아지는 뿔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자랑하는 캐나다 큰뿔양이 강력한 천적을 만나 고생하고 있다. 이들의 천적은 다름 아닌
인간
.영국 셰필드대 데이비드 콜트먼과 그의 동료들은 캐나다 앨버타주의 램산에 서식하는 큰뿔양의 생태를 조사해 ‘네이처’ 지난해 12월 11일자에 발표했다. 이곳에서는 지난 1975년부터 1996년까지 57마리의 ... ...
광우병 내성 소 복제 성공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복제함으로써 감염이나 장기의 크기 문제를 해결했다. 거부반응은 돼지의 세포에
인간
면역억제유전자를 삽입해 차단했다.문제는 무균 돼지를 복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어서 어떻게 해야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지 아무도 알지 못한다는 점. 황 교수는“죽은 돼지들을 부검한 결과 폐에출혈이 있는 ... ...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물리학자와 천문학자는 어떻게 말할까. 이론천체물리학자인 서울대 이형목 교수는 “
인간
은 시간의 발견자”라고 말한다. 고대인이 해와 달이 뜨고지며, 계절이 반복되는 주기적인 천문현상의 관찰을 통해 시간을 발견했다는 것이다.시간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플라톤이 우주에 관해 쓴 ... ...
2003년 한국의 쿨한 과학상품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걸친 한국과학기술원과 산학헙력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한 첨단 골프화 버디. 2003년
인간
공학부분 우수디자인상품으로 선정됐다. 발의 운동으로 작동하는 자체 에어펌프가 들어있어 열기를 밖으로 배출하고 신발 속을 자연 통풍시켜 준다. 걸음걸이를 가볍게 하고 피로감을 줄이도록 독특한 ... ...
갈림길에 선 낙동강 하구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세력·먹이다툼을 위한 힘겨루기, 그러다 물속에 머리를 박고 물질을 하는 모습은
인간
이 살아가는 모습과 다를 바 없다.을숙도를 대표하는 새는 단연 고니다. 천연기념물 2백1호인 고니는 백조라는 일본 이름에 더 익숙한 새이다. 순백의 화사하고 우아한 자태로 새 중에 가장 사랑 받는 고니는 ... ...
이전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