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임무
구실
노릇
직무
직분
역활
기능
d라이브러리
"
역할
"(으)로 총 7,338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리우스 커플의 빛나는 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대단히 작다. 백색왜성의 존재는 별의 성장을 해결해 주는 열쇠가 돼 천문학 발전에 큰
역할
을 담당하게 된다. 낮에도 보이는 시리우스해가 뜬 대낮에는 별이 보이지 않는다. 물론 별이 사라져서 안보이는 것이 아니라 태양빛이 너무 밝기 때문인 것이다. 우리는 경험으로 이 사실을 잘 알고 있다. ... ...
바이러스는 이유 있는 심술꾸러기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말도 심심치 않게 붙는다. 이 교수는 “생태계 입장에서 보면 바이러스는 조절자
역할
을 한다”고 설명했다. 누군가가 지나치게 늘어나지 않도록 조절하는 힘이 바이러스에 있다.69학번인 이 교수는 경기고를 나와 서울대 농대에 진학했다. ‘살아 있는 것을 무지하게 좋아 한’ 그는 특히 움직이는 ... ...
인간과 침팬지 차이는 엔도르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서로 공통조상에서 갈라져 나온 뒤 이 유전자의 변화가 사람에게 진화의 중요한
역할
을 했을 것”이라고 결론지었다.이 연구는 ‘생물학 공중도서관’(PloS Biology) 12월호에 발표됐다 ... ...
디지털 주얼리(Digital Jewelry)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일조할 것으로 보인다. 무거운 노트북이나 빔프로젝터를 들고 다닐 필요 없이 모니터
역할
을 하는 선글라스나 팔찌, 마우스 반지만 착용하면 그만이기 때문이다.한편 차가운 금속성 장신구에 싫증이 났다면 노키아의 ‘메달리온’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핀란드 정보통신체인 노키아는 ... ...
나선이 지그재그를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이용할 용도를 진화과정에서 분명히 찾아내었을 것”이라고 말했다.현재 밝혀진 Z형의
역할
은 유전자의 발현과정(단백질을 만드는 과정)을 조절하는 것이다. 전사 과정, 즉 DNA에서 RNA가 만들어질 때 ‘네가티브 슈퍼코일링’이라는 높은 에너지 상태가 나타나고 Z형을 만드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 ...
1. 과학은 주가도 춤추게 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교수는 “주가 변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해 신상품을 개발하는 게 금융공학의
역할
”이라며 “실제로 외국에는 날씨나 천재지변에 따른 파생상품도 있다”고 말한다.금융공학이 발달하면서 ‘콴트’(Quantative Analyst)라는 신종 직업이 등장했다. 일반적인 증권 애널리스트는 산업동향을 ... ...
디지털 지휘봉과 뮤지컬 재킷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수동 입력 세션에서는 컴퓨터가 사람의
역할
을 대신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 고유의
역할
을 그대로 하고 있다. 디지털 지휘봉에서 컴퓨터가 사람의 악기 연주를 좀더 정확하게 하는 것이라면 수동 입력 세션에서는 컴퓨터가 실제에서는 불가능한 디지털의 세계를 그리고 있고, 더욱이 실제 세계의 ... ...
뇌는 블랙박스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옮겨놓아 우리나라에서도 내려받기가 가능하다.애초에 어린 뇌가 부분별로 서로 다른
역할
을 수행하기 위해 기능유닛으로 조직될 때 평면에서 좌우 각각 40여개의 유닛을 만들었다고 치면, 이 평면 뇌를 잘 구겨 접어서 두개골 속에 넣은 것이 뇌라 할 수 있다. MRI로는 구겨진 생김새에 따라 ... ...
Smart D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점을 빼지 않은 fi가 정상이 된 것이다.Smart ı의 개발은 fi를 다시 fı로 회귀시키는
역할
을 했다. ‘저항적인’ 세력들은 f 뒤에 오는 모든 영어 알파벳 i를 Smart ı로 대체하는 프로그램을 썼다. Smart D사 인공지능이 이제는 difficult 같은 단어를 못 읽게 된 것이다. 이로 인해 Smart D사 인공지능의 텍스트 . ...
세상의 모든 아픔 치유할 '약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캅사이신 유사 물질이 결합하면 열리면서 통증을 감지할 뿐 아니라 체온을 낮추는
역할
도 하기 때문이다. 결국 먹는 진통제 개발은 불발로 끝났고, 지금은 일부에서 연고만 사용되고 있다.“그래서 우리는 반대로 생각했어요. 캅사이신채널을 여는 게 아니라 통증 전류신호를 전달할 수 없게 아예 ... ...
이전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4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