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뉴스
"
일자
"(으)로 총 5,220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로 빛 출력 조절하는 그래핀-광섬유 소자 개발
2015.04.28
흡수율을 전기 신호로 조절하는 소자를 만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1
일자
에 발표했다. 탄소 원자 1개 층으로 이뤄진 그래핀은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기를 잘 흘려보내고 강철보다 200배 이상 강도가 세다. 하지만 투명하고 빛 흡수율이 2.3%밖에 되지 않아 고효율 ... ...
이렇게 얇을 수가! 원자 5개 두께 반도체 소자 개발
2015.04.28
10배 이상 빠른 차세대 반도체 소자를 개발하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27
일자
에 발표했다.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주목받는 이황화몰리브덴은 원자 한 층 두께로 2차원 평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전자가 평면 방향으로만 이동하기 때문에 현재 쓰이는 3차원 반도체 소재보다 전하 ... ...
‘장군’은 뒷 머리, ‘멍군’은 앞 머리로 판단한다
2015.04.27
전략을 짜는 과정을 규명하고 그 결과를 ‘네이처 뉴로사이언스(Nature Neuroscience)’ 20
일자
에 발표했다. 다나카 케이지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연구원 팀은 쇼기를 하는 선수들의 뇌를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촬영해 어느 부분이 활성화 되는지 관찰했다. 실험에 참가한 선수들은 상위 1 ... ...
나노 물질 제대로 사용하는 길 열렸다
2015.04.26
높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그 결과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3
일자
에 발표했다. 실제로 나노구조의 물질을 전자기기 등에 적용하려면 그 구조를 3차원 덩어리(벌크) 형태로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까지 부피가 큰 물질로 만든 나노물질은 구조적 불안정성 때문에 ... ...
우리 뇌는 ‘투명인간’을 받아들일 수 있나
2015.04.26
느낄 때 일어나는 반응에 대해 ‘네이처’ 온라인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23
일자
에 발표했다. 사람들은 자신의 몸이 투명해졌음을 받아들일 수 있음은 물론, 투명인간인 채로 낯선 사람들을 만났을 때 더 편안함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가상현실 체험장비를 이용해 실험 ... ...
“시끄러운 바다에서는 돌고래도 목소리 높여”
2015.04.26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홀트 연구원은 이같은 연구 결과를 ‘실험생물학저널’ 7
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산타크루즈 캘리포니아대(UC산타크루즈) 연구팀과 공동으로 돌고래가 높은 목소리를 낼 때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훈련 받은 돌고래를 대상으로 실험을 ... ...
“등뼈 넓으면 수컷, 좁고 뾰족하면 암컷”
2015.04.23
동물의 경우 암수가 외양에 따라 다른 경우가 많다. 사자는 수컷이 갈기가 있고, 공작도 수컷이 화려한 꼬리깃털을 갖고 있다. 이미 멸종한 공룡도 동물처럼 암수 모습이 다르다는 ... 증거가 발견되면서 그런 사례가 더 늘어난 것이다. 연구 결과는 ‘플로스원’ 22
일자
에 실렸다. ... ...
휘어지는 투명 스마트폰, 도장 찍듯 ‘꾹’ 찍어 만든다
2015.04.22
이광희 교수(가운데)는 김나라 연구원(왼쪽), 강홍규 박사(오른쪽)와 함께 도장을 찍듯 간단히 만들 수 있는 투명전극을 개발했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 제공 유 ... 기술”이라고 말했다. 연구성과는 재료공학분야 권위지인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8
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2011학번 화학과 동기 셋, ‘일’ 냈네
2015.04.22
혈액에 일산화질소(NO)를 공급하는 물질을 합성하고 연구 결과를 ‘미국화학회지(JACS)’ 6
일자
온라인판에 게재했다. 일산화질소(NO)는 혈관의 청소부 역할을 하는 생체물질로 나이가 들면 생성능력이 떨어져 동맥경화와 뇌졸중 같은 심뇌혈관계 질환에 취약해진다. 발기부전치료제로 잘 알려진 ... ...
발암물질인 줄 알았더니 줄기세포 핵심 물질
2015.04.22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교신저자, 왼쪽)와 부경진 박사(제1 저자). - 서울대 제공 암 발생과 전이에 관여하고 특히 전립샘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유전자가 줄기세포의 ...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0
일자
에 실렸다 ... ...
이전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