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유전자 수 파리와 엇비슷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엇비슷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인간게놈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미 국립인간게놈
연구소
(NHGRI)의 프랜시스 콜린스 소장은 21일 런던에서 “당초 3만-3만5천개로 알려진 인간의 유전자 수가 인간 게놈지도에 대한 정밀 분석을 통해 이보다 1만개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10년 전만 해도 ... ...
"배아복제 연구 재개" 황우석 교수팀 美서 공식선언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연구팀에 대해 연구 허용 방침을 정했고 최초의 복제양 돌리를 탄생시킨 로슬린
연구소
이언 윌머트 박사에게도 곧 연구를 허용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면서 “일본도 허용 방침을 정했고 중국 등 기존 연구팀들이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한편 황 교수는 10월 13일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네이처’ 2002년 1월호에 발표했다.불안한 심리는 눈에서도 읽을 수 있다. 국립과학
연구소
는 조만간 눈동자 움직임(EOG)의 변화로 거짓말 여부를 가리는 검사장치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효택 실장은 “인체는 심리 변화에 따라 몸 상태도 함께 바뀌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면 어떤 종류의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치료가 가능할 수도 있다.2001년부터 가능성이 보이기 시작했다. 2001년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
의 토마스 투셀 박사(현재 미 록펠러대 교수)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서도 RNA 간섭현상을 효율적이고 특이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siRNA의 개발에 성공했기 때문이다.게다가 2001년과 2002년 암브로스 박사 ... ...
백두산만한 소행성 지구 스쳐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7.3일 등 2가지를 갖게 된 것으로 보고 있다.미 항공우주국(NASA) 단 요먼스 지구인접물체
연구소
(NEOPO) 소장은 “토타티스의 궤도는 매우 잘 알려져 있으며 이번과 같은 근접현상은 앞으로 5백년 후 다시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 ...
세계는 지금 곤충산업 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유전학을 접목해 유해물질을 감시하게 하는 연구도 추진 중이다. 미 샌디아국립
연구소
제프 브린커 박사 연구팀은 유해물질을 감시하는 환경감시원으로 바퀴벌레를 이용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바퀴벌레는 내성이 강하고 구석구석을 탐색하는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왔다.연구자들은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것,
연구소
에 들어온 것 모두 행운”이라며 “만약 대학에 있었다면 엄두도 못냈을 일도
연구소
에 몸담고 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또한번 환하게 웃는다.연구원 최고 연봉의 주인공2003년 문 박사에게 외국 과학자가 부러워했다는 우리나라 연구여건을 십분 활용할 기회가 찾아왔다. 표면과학과 ... ...
한국 정말 핵무기 개발하려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미래에너지를 확보하려면 핵관련 연구활동의 폭이 넓어져야 할 판이다. 신재인 전 원자력
연구소
소장(현 한국핵융합협의회 회장)은 “이번 일을 기회역전으로 삼아 우리의 핵관련 연구활동의 폭을 넓힐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연료전지보통 여러개의 연료전지가 겹겹이 쌓여있는 모습이다. (+)극과 (-)극 사이에 수소이온이 통과하는 전해질막(PEM)이 있다.최근 주목받는 원자력수소제조법원자력 ... 화학을 공부하고 89년 하이델베르크대학
연구소
소장대리, 90년 프라이부르크 대학 화학
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19 ... ...
자동차 대중화 시대 연 포드 '모델 T'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1908년 10월 미 포드사는 새로운 자동차 모델을 선보였다. 10년 후인 1918년 이 모델은 미국 전체 자동차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명실공히 자동차의 대명사로 자리잡았다. 실로 엄청난 성공이었다. 그 주인공은 바로 ‘모델 T’.모델 T는 기존 자동차에 비해 성능과 디자인이 향상돼 대중들의 ... ...
이전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