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d라이브러리
"
속
"(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달라진다. 띠의 모양은 띠의 각 지점의 에너지 분포에 따른 결과다.▼관련기사를 계
속
보시려면?Intro. 화장실로 간 수학자Part 1. 뫼비우스의 띠가 남긴 숙제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Part 3. 벽과 바닥에 숨은 ... ...
오감만족 수학 놀이터 군포수학체험관에 가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미끄럼틀 위에서는 공의 가
속
도가 비교적 조금만 줄어든다. 그 결과, 곡선 위에서 공의
속
도가 점점 커져서 공이 더 빨리 도착하게 된다.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수학의 재미여러 실험을 마친 독자기자들은 여러 가지 색깔의 실로 작품을 만드는 ‘스트링아트’와 ‘678클라인병 만들기’에도 ... ...
만화로 창의력 쑥쑥! 가족 사랑 퐁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안녕하시옵니까? 청이옵니다. 지난 4월 25일 기자단에서는 저를 만들어 주신 조재호·은하수 작가님의 기자교육이 열렸사옵니다. 특별히 부 ... 사랑이 퐁퐁! 재미있는 기자교육이 끝이 났답니다. 다음에도 재미있는 기자교육이 계
속
열릴 계획이라고 하옵니다. 여러분 모두 기대해 주시와요 ... ...
[knowledge] 자연의 합리성을 사랑한 건축가, 가우디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기둥에는 플라타너스 나무의 모습을 덧입혔다. 덕분에 그곳을 찾은 많은 사람들이 숲
속
에 있는 듯한 느낌을 받곤 한다. 하지만 그 여러 갈래의 가지들이 이루어낸 경쾌함은 돌이라는 재료의 본성을 쫓아 가우디가 10여 년간 연구해온 기술적인 결과물이기도 하다. 많은 이들이 가우디를 자연의 어떤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뜻이다. 연구 결과는 ‘인류진화저널’ 8월 13일자에 실렸다.▼관련기사를 계
속
보시려면?[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 ... ...
[이달의 사물] 천일염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안전성에 의구심을 품고 있던 황 씨의 손에 덥석 잡혔습니다. 전선은 순식간에 중금
속
에서 세균으로 이동했습니다. 사실 세균 위험성도 천일염의 다른 논쟁거리처럼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천일염의 안전성을 연구한 논문의 상당수가 안전하다는 쪽으로 기울어 있고요. 하지만 ... ...
[과학뉴스] 거친 혀를 타고 ‘오르락 내리락’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쉴 때 일정한 박자를 가지는데, 랩의 강한 리듬과 만나면 동조 현상을 일으킨다는 것. TV
속
래퍼의 감정이 보는 사람에게까지 전이된다는 설명도 있다(관련 기사는 130쪽에)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정서가 형성된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을 언프리티랩스타에 적용시켜 보면 래퍼들이 TV
속
에서 마음껏 욕을 하는 것을 보면 우리는 자신도 모르게 강한 심리적 긴장감을 갖게 된다. 다른 사람의 면전에 욕을 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금기시 돼 있기 때문이다. 욕이 끝나고 긴장감이 풀리면 상대적으로 ... ...
[Hot Issue] 막 먹은 영혜씨, 8주간 유전자 다이어트를 체험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이 모든 걸 침 2mL로 어떻게 알아낸 것일까. 결과에 오류가 있지는 않을까. 제노플랜은 침
속
에 들어있는 DNA를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기기를 이용해 증폭한 뒤 단일염기다형성(SNP)을 읽어냈다. 사람과 사람은 유전자의 99.9%가 동일하고 0.1%만 다르다. 차이는 염기서열 특정 위치에서 나타하나의 형질은 ... ...
[새 책] 인류가 고기를 먹게 된 이유는?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다룬 새 책 ‘인류의 기원’이 인쇄에 들어간 날, 외신들이 일제히 새로운 초기 호모
속
인류 화석 발견을 요란하게 보도했다. 인류학 역사에서도 몇 번 안 되는 큰 발굴이었고, 내용도 충격적이었다(70쪽 기획 참조. 이 발굴 내용은 이후 연구에 따라 차차 재평가될 것이다). 때맞춰 한국을 방문한 ... ...
이전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