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d라이브러리
"
동물
"(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을 지배하는 붉은 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우세했다. 실력이 비슷한 선수끼리는 붉은 유니폼 선수의 승률이 60%로 올라갔다.야생
동물
세계에서 붉은 색은 상대를 위협하는 신호다. 야생의 습성이 무의식 속에 남아있는 인간은 붉은 색을 보면 상대의 공격성을 과다하게 느끼고 기가 죽게 된다. 예를 들어 비비원숭이의 경우 다른 수컷을 ... ...
미국의 새 우주 무기 계획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그중 비교적 낮은 주파수의 것은 가청음(可聽音)에 동반하여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동물
중에서는 이런 음을 들을 수 있는 것이 적지 않다도형 입체 음성 등을 인식해 읽어들이는 것 문자나 숫자의 인식보다 한결 어렵다 패턴인식을 위해서는 극히 다량의 정보를 순간적으로 처리해야 하기 때문 ... ...
5. 중생대 한반도는 동식물의 낙원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젖을 빤 흔적이 있었고 온몸이 털로 덮인 쥐처럼 생긴 작은 포유류였다. 이들은 거대
동물
인 공룡에 쫓겨 생존에 급급할 수밖에 없었으며 사냥도 밤에 할 수 밖에 없었다. 먹이는 주로 곤충. 그러나 생존을 향한 몸부림에도 불구하고 일부 종들은 오래 번성하지 못하고 역사의 뒤켠으로 금새 사라지고 ...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억제성 신경세포나 세로토닌 신경세포로 분화시켜 우울증
동물
, 통증이 심한 척수손상
동물
에 이식해 치료 효과를 관찰했는데, 곧 발표할 예정이라고 해요. 한양대 의대 이상훈 교수팀은 사람 배아줄기세포를 도파민 신경세포로 분화시켜 파킨슨병에 걸린 쥐에 이식하고 있는 걸로 압니다.김성체 : ... ...
평화롭지 않은 평화의 상징, 비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하지만 비둘기는 그리 평화로운 새만은 아니랍니다. 노벨상 수상자인 오스트리아
동물
학자 콘라트 로렌츠는 비둘기는 한 곳에 가둬놓으면 서로를 공격하는 못된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알아 냈지요. 최근 영국에서는 패스트푸드로 인한 비만 비둘기가 나타나 화제가 된 적도 있고, 세상에서 가장 ... ...
우주선 블랙박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시판하고 있다 아스파라긴산이라고도 한다 유리된 상태로는 보통 L-아스파르트산으로서
동물
· 식물에도 존재하며 특히 사탕수수와 사탕무의 당밀에 많다 L-아스파르트산은 단백질의 구성성분으로도 존재한다 D-아스파르트산은 항생물질 바시트라신의 구성성분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아스파라긴의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개발 201566 뇌혈관 질환 원인 규명 201867 거부반응 없는 인공장기 실용화 201968 장기생산용
동물
개발과 사육기술 실용화 201769 질병예측시스템 실용화 201770 재활용율 100% 건설재료 개발 201571 위성이용 한반도 연속감시기술 개발 201672 병원내 감염관리 시스템 실용화 201373 신경과 전자칩 연결 ... ...
양자역학은 색즉시공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양자역학은 ‘색즉시공’과 같습니다.”울긋불긋 봄꽃이 활짝 핀 고려대 교정에서 만난 양형진(48) 교수가 선문답 같은 말을 던졌다. 혹시 몇 년전 개봉한 영화 ... 위대한 것이 아닙니다. 인류는 굶주림에서 벗어나 모든 생명의 공존을 깨달은 유일한
동물
이라는 점에서 위대한 겁니다 ... ...
하비의 피의순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나중에 71세가 됐을 때 그는 작은 책을 통해서 그런 비판에 답했다. 하비가 1628년 ‘
동물
의 심장과 피의 운동에 관한 해부학적 연구’를 출간한지 21년이 지난 후였다.지금 하비의 이론은 상식이 됐다. 유치원에서 아이들에게 사람의 몸 속을 처음 가르칠 때도 심장에서부터 피가 흘러 온몸을 돌고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한 종류의 세포로 분화시키는 연구는 아직 걸음마 단계다. 황 교수팀은 줄기세포를
동물
에게 이식해 원하는 장기의 세포로 자라는지를 확인할 계획이다. 줄기세포가 대책 없이 계속해서 분열해도 문제다. 난치병을 치료하려다 자칫 암이 생길 수 있기 때문. 생명윤리 논란 여전지난해 황 교수팀이 ... ...
이전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