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소재ㅣ수술 부위 말끔히 없애는 홍합 접착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아들에게 붙여줬다. 날개를 얻은 그의 아들은 아버지의 주의를 잊고 하늘 높이 날았다.
결국
태양에 가까워지면서 날개를 붙인 밀납이 녹는다. 에게해에 빠져 죽었다는 그 아들의 이름이 이카로스다.신화뿐만 아니라 실제 생물에게서 한수 배운 이야기들도 여럿 있다. 15세기 이탈리아의 천재적인 ... ...
봄밤 하늘에서 만난 이도령과 성춘향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오리를 타고 뒤쫓았다.두 오빠와 여동생은 밤새도록 긴 강을 거슬러 올라가다가
결국
하늘까지 닿았다. 그런데 과연 거북이가 말 한대로, 하늘을 흐르는 은하수말고도 작은 강이 있고 그게 땅의 강과 연결돼 있었던 것이다. 그때 시간이 한참 흘러서 별이 지고 해가 떠오르기 시작했다. 그러자 ... ...
천당과 지옥을 오고간 프레온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때문이다. 오존은 인체에 해로운 대부분의 자외선을 걸러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결국
국제적인 규제를 통해 전세계의 모든 국가들이 프레온의 사용을 폐지해야 한다는 결론이다.프레온에 얽힌 음모론의 실체그러나 프레온은 다시 한번 구설수에 휘말린다. 프레온의 규제는 듀퐁사의 음모에서 ... ...
대학입시의 새로운 변수 심층면접구술고사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분자간력에 비해 매우 강력해서 편의상‘결합’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결국
수소결합은 이온결합이나 공유결합처럼 안정적인 결합을 뜻하는 건 아니고,‘ 유난히 강한 분자간력’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문: 그밖에 물의 수소결합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무엇이 있지요?답: ... ...
Ⅲ 이제는 포스트게놈 시대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있다. 따라서 이제는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엄청난 양의 정보를 만들어낼 수 있다.
결국
엄청난 데이터 더미에서 누가 최선의 것을 끄집어내는가가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다. 데이터를 모아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데이터를 해석하고 가공해 정보를 파는 바이오인포매틱스 회사들도 속속 ... ...
킥보드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어느 정도냐인 것이다. 마찰계수가 적으면 뒷바퀴가 제대로 멈추지 못하고 미끄러져서
결국
바퀴가 땅에서 어느 정도 굴러가게 돼, 제동거리가 길어지는 한 요인이 될 수 있다.그렇다면 앞바퀴에 제동장치를 달면 어떨까. 실제로 앞바퀴에 브레이크 장치가 있는 킥보드도 있다. 이 경우에는 발로 ... ...
씨 없는 수박을 보기 힘든 이유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심리와 습성, 그리고 생활여건을 고려하지 않은 발명품은 아무리 아이디어가 좋아도
결국
실패하고 만다. 발명가는 자신의 제품이 생산됐을 때의 고객 심리까지 읽어야 한다는 뜻이다. 발명은 역시 어렵다 ... ...
최초 소행성 착륙 성공 그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에로스의 중력이 너무 작기 때문에 속도가 클 경우 퉁겨나갈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결국
니어-슈메이커의 착륙속도는 사람이 빠르게 걷는 정도인 초속 1.5-1.8m 사이였다. 약간의 흔들림이 있었지만 니어-슈메이커는 동체착륙에 성공했다.엄청난 플러스 알파1997년 2월에 발사된 니어-슈메이커 ... ...
PART 2. 쓰레기 소각장 다이옥신 제거하는 나노화학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에너지 준위는 분자를 더욱 닮게 돼, 더 큰 불연속적인 에너지 준위를 갖게 된다.
결국
나노물질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불연속적인 에너지로 변화해, 에너지 준위 간의 차이(밴드갭)가 증가한다. 물질이 빛을 흡수한다거나 발광하는 것은 전자가 채워져 있는 준위와 전자가 비어 있는 에너지 준위 간의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1 인간게놈프로젝트 성공시킨 주인공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바로 나중에 셀레라를 설립한 크레이그 벤터다.벤터박사와의 마찰 때문에 왓슨박사는
결국
1992년 4월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책임자 자리를 떠나게 됐다. 다국적팀의 아버지라고 할 수 있는 왓슨박사는 2000년 6월 인간 게놈지도 초안이 발표됐을 때, “이 방대한 자료가 인류역사를 바꿀 것이다”라고 ... ...
이전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