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장"(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소행성의 흔적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지구에 있는 소행성 충돌 흔적 중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 되고, 크기도 커요. 게다가 가장 깊답니다. 약 20억 2300만 년 전에 충돌했을 당시 소행성이 지하로 25km나 파고 들어갔다고 추정돼요. 지난 2014년, 캐나다 웨스턴온타리오대학교 데스몬드 무저 교수팀은 브레드포트 돔에서 20억 년 된 지르콘 ... ...
- [과학뉴스] 수심 8178m에 사는 물고기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800kg 이상의 힘이 작용하는 심해의 수압에도 견딜 수 있도록 만들어졌지요. 이전에 가장 깊은 곳에서 심해어를 촬영한 나라는 중국이었어요. 올해 4월에 8152m 지점에서 물고기를 촬영했지요. 이번에는 이보다 26m 더 깊은 곳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답니다. 일본 해양연구기구의 오구리 가즈마사 ... ...
- [과학뉴스] 전세계 수돗물 83% 안에 미세 플라스틱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미국이었어요. 미국의 수돗물 샘플 중에서는 무려 94%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검출됐지요. 가장 적게 검출된 유럽도 72%를 기록했답니다. 그동안 미세 플라스틱은 심각한 해양 오염물질로 여겨졌어요. 미세 플라스틱은 세균과 독성 화학물질을 갖고 있거든요. 이것이 해양 생물의 몸속에 들어가 독성을 ... ...
- Part 2. 핵실험 얼마나 세길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하고 말이야. 그래서 난 가장 강력한 핵무기인 수소폭탄 개발에 반대해 왔단다. 가장 무서운 핵무기, 수소폭탄1945년 7월 16일 새벽 5시 29분, 세계 최초의 원자폭탄 ‘트리니티’가 폭발했어요. 과학자들이 원자폭탄인 리틀보이와 팻맨을 실제로 전쟁에 투입하기에 앞서 그 위력을 시험해 본 거예요. ... ...
- [공룡은 왜?] 날카로운 발톱과 긴 주둥이로 휙휙! 바리오닉스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밀러 박사는 키즈너 박사의 주장을 반박했어요. 일반적으로 사냥을 한 육식공룡이 가장 먼저 먹는 부위가 바로 사냥한 동물의 내장이거든요. 이 때문에 육식공룡이 떠난 뒤에는 바리오닉스가 먹을 수 있는 내장이 남아 있지 않았을 거라고 주장했답니다. 한편 올해 런던 퀸 메리대학교 혼 박사와 ... ...
- Part 1. 지구를 지나친 역대급 소행성, 3122 플로렌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4.5km로,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지구 근접 소행성을 관측한 이래로 지구 근처를 지나간 가장 거대한 소행성이에요. 서울에 있는 여의도 면적과 비슷하고, 세계 7대 불가사의로 꼽히는 쿠푸왕 피라미드의 20배, 축구장의 38배나 되는 크기죠. NASA에서는 지름 70m의 거대한 안테나를 가진 ‘골드스톤 ... ...
- Part 4. 소행성 찾으러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소행성을 관찰할 예정이랍니다. 2023년에 발사 예정인 프시케는 소행성대에서 가장 무거운 소행성으로 알려진 ‘16 프시케’를 탐사하는 것이 목표예요. 대부분 철과 니켈로 이뤄진 소행성인데, 이 물질은 지구 중심 부분을 구성하는 물질이기도 하답니다. 그래서 16 프시케의 연구는 지구 중심 ... ...
- Part 1. 핵실험, 지진을 일으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순간 갑자기 강한 P파가 감지된 이후 점점 파형이 작아져요. 이런 파형은 속초관측소에 가장 먼저 나타났어요. 그 뒤 서화, 양양, 화천 등으로 이어졌고 전국 150개의 모든 관측소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답니다. 또 처음 진동이 감지된 지 8분 30초 정도가 지난 12시 38분 32초, 다시 규모 4.4의 지진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인류와 함께 4000년! 쇠, 철, 강-철의 문화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살 수 없을 거예요. 김강현 기자(도성초 3)는 “철의 다양한 역사 중에서도 철 불상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며 “굉장히 웅장하다는 느낌을 받았다”고 말했어요. #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리는 이번 전시에서는 철의 역사와 문화를 고스란히 보여 주는 문화유산 681점을 만날 수 있어요. 인류와 ... ...
- Part 2. 코로나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시공간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휘어지게 되지요. 1919년 개기일식은 20세기 들어 가장 긴 일식 중 하나였어요. 약 7분 간 달이 태양을 가리자 평소 태양 때문에 보이지 않던 별들이 모습을 드러냈지요. 영국의 천문학자 아서 스텐리 에딩턴은 태양과 아주 가까이에 있는 별들의 사진을 찍었어요. 이 ... ...
이전4224234244254264274284294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