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으)로 총 13,047건 검색되었습니다.
- [쇼킹 사이언스] 지구의 푸른 보석, 블루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지금의 블루홀이 됐답니다.수심이 깊은 곳은 색깔이 더 진해서 푸른 보석처럼 보이기도 해요. 이런 모습을 보고 사람들은 옛날부터 블루홀을 ‘자연의 보석’ 이라고도 불렀답니다. 아주 오래 전에 깎인 땅이 물 속에 그대로 잠긴 덕분에 블루홀에서는 화석을 발견하기 쉬워요. 또 산소가 거의 없는 ... ...
- Part 3. 나무 건축, 과연 안전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많이 흔들리고 가벼운 건물은 적게 흔들리지요. 따라서 가벼운 나무로 지은 건물의 피해가 적답니다.2009년 일본에서는 6층짜리 나무 아파트로 지진 실험을 진행했어요. 거대한 진동판 위에 아파트를 올려놓고, 실제 지진이 난 것처럼 40초 동안 마구 흔들었지요. 이때 충격은 규모 6.5~7.3의 지진과 같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우유공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윤승현 친구는 “취재를 통해 우유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직접 보고, 우유에 대해 몰랐던 사실도 알게 되니까 우유가 더 맛있게 느껴진다”면서 “이제부터는 하루 한 컵, 우유를 꼭 마시겠다”고 말했어요.우유가 목장에서부터 우리에게 오기까지 이렇게 많은 과정을 거치고 있다니 정말 놀랍죠? ... ...
- [도전! 코드마스터] 장애물을 피해 피아노를 옮겨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여러분이 이사를 한다고 가정해 봐요. 방에서 현관까지 아주 큰 물체, 예를 들어 침대나 피아노같은 아주 큰 가구를 옮겨야 해요. 이 가구가 ... 나가는 무인 탐사선이나 의료용 로봇의 움직임을 계산하는 데도 활약하고 있지요. 다시 말해 21세기 로봇 공학에서 꼭 필요한 알고리즘이랍니다 ... ...
- [출동! 섭섭박사] 스마트 램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섭섭박사님이 이번엔 발명가를 꿈꾸는 어과동 기자단 친구들을 초대했어요. 그리곤 함께 전자 회로를 만들고 그 회로를 이용한 전자 제품을 만들어 보기로 했죠. 어떻게 전자 ... 멋진 발명품 만들기, 대성공! 다음엔 또 어떤 실험이 기다리고 있을까요? 다음 실험도 많이 기대해 주세요~ ... ...
- [과학뉴스] 해바라기는 동쪽만 바라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향하고 있었어요. 연구팀은 그 이유가 최대한 많은 햇빛을 받아 꽃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라고 설명했어요. 꽃의 온도가 높으면 벌과 나비 같은 곤충들이 많이 찾아와 결국 꽃가루를 더 잘 옮기게 된다는 거예요. 실제로 실험에서 히터로 꽃의 온도를 높이자 이전보다 더 많은 곤충이 모이는 것을 ... ...
- [가상인터뷰] 공룡도 관절염이 괴로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초식공룡인 우리는 나뭇잎 같은 먹이를 먹거나 물을 마실 때 네 다리를 모두 사용해요. 그래서 관절염에 걸리면 움직일 때마다 엄청난 고통이 따르지요. 연구팀을 이끈 제니퍼 앤 박사는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으로 포식자를 만났을 때에도 피하기 힘들었을 것”이라며, “앞다리를 효율적으로 ... ...
- [숲이야기] 광릉숲에서 만난 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거북목은 단단한 껍질로 온몸을 보호하고 있는 파충류예요. 바다에서 서식하는 바다거북과 저수지나 호수에서 서식하는 민물거북, 또는 육지 ... 것은 뱀을 절대 건드리거나 먼저 공격하지 않는 거예요. 뱀의 습성을 이해하고 삶을 존중해 주는 것이 바로 숲을 안전하게 즐기는 방법이랍니다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뜻밖의 범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7호
- 현상으로 보통 엘니뇨 이후에 나타나요. 이번 라니냐 역시 슈퍼 엘니뇨가 끝난 후인 올해 5월에 발생했지요. 그런데 라니냐가 생기면 반대쪽에 있는 서태평양의 바닷물 온도는 반대로 올라가요. 이 때문에 서태평양 주변의 아시아 대륙에 큰 고기압이 생겼고, 한반도에까지 영향을 미쳤다는 거지요 ... ...
- Part 2. 상괭이를 아시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6호
- 자료에 따르면 상괭이도 양쯔강 돌고래처럼 앞으로 찾아보기 더 어려워질지도 모른다고 해요. 2005년 3만 6000여 마리였던 상괭이가 2011년 조사에서 약 70% 가까이 줄어든 걸로 나타났기 때문이랍니다 ... ...
이전4214224234244254264274284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