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보지 않고 그린 코뿔소가 세상을 속이다과학동아 l2003년 02호
- 그림 아래의 기술적인 도구와 위의 과학적 도구를 가지고 세계의 질서를 파악해내려는 과학자, 예술가의 모습에 다름 아닌 것입니다. 르네상스기의 그림에는 화가들이 등장하곤 합니다. 미켈란젤로가 대표적인 예로, 그는 자신이 그린 시스티나성당 천정화에서는 예언자 예레미아의 모습으로, ... ...
- 가치 있는 기업을 꿈꾸는 컴퓨터 의사 안철수과학동아 l2003년 02호
- 미국의 천재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의 ‘파인만씨 농담도 잘하시네’다. 둘 다 과학자가 쓴 책이다.그런데 대학은 의대로 진학했다. “의사 집안 장남이라 가업을 잇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물론 다른 쪽이 더 재미있었으나 직업이 재미로 하는 것은 아니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안 ... ...
- 혜성 핵을 향한 여행과학동아 l2003년 02호
- 것이 많고 밀착용 인화지는 염화은을 주로 함유한 유제가 사용된다헝가리 출신의 미국 수학자인 노이만(J L von Neumann)이 제시한 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컴퓨터 노이만은 1946년, 현재의 컴퓨터와 같이 기억장치에 컴퓨터의 명령과 수치를 함께 기억시키는 이른바 내장방식(stored program)을 제안했는데, ... ...
- 유리잔 속 빛의 길과 물의 진동과학동아 l2003년 02호
- 빛이 우유 입자와 충돌해 흩어지면서 우리 눈에 보이는 것이다.이 현상은 영국의 물리학자 틴들에 의해 처음으로 연구됐다. 그의 이름을 따서 이 현상을 ‘틴들 현상’이라고 한다. 틴들 현상은 우리 주변에서 자주 볼 수 있는데, 먼지가 자욱한 곳에서 빛줄기가 보이는 것이나 구름 속에서 빛살이 ... ...
- 1 달 탄생 유력한 시나리오 대충돌설과학동아 l2003년 02호
- 전체(큰 철 핵 포함)의 밀도보다 작고 오히려 지구 맨틀(암석)의 밀도와 비슷한데, 달 과학자들은 이 차이를 달이 자그마한 철 핵을 갖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1998년 미항공우주국(NASA)의 루나 프로스펙터가 달의 핵이 전체 질량의 3% 이하를 포함한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었다(지구의 핵은 ... ...
- ① 인간과 정보의 경계 허무는 인터페이스과학동아 l2003년 02호
- 보는 정보디스플레이의 흐름▲ 브라운관(CRT) 출현전자식 TV의 개발은 1897년 독일의 물리학자인 브라운 박사가 전기현상을 이용해 최초의 CRT인 전자관을 발명함으로써 시작됐다. 1941년 흑백 TV 방송이 본격적으로 실용화됐으며, 이어 1953년 세계 최초의 컬러 TV 방송이 개시됐다. 컬러 TV 방송은 ... ...
- 지질학자와 떠나는 온천 탐방과학동아 l2003년 02호
- 문제가 있다. 35℃의 물도 목욕물로서는 온도가 낮기 때문에 어차피 데워야 한다. 어떤 학자는 물을 데우는데 수온 25℃의 물이 가장 적은 열량이 소모되기 때문에 25℃ 기준이 타당하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렇듯 기준을 정한다는 것이 쉽지 않다.한편 우리나라의 온천법상 수질은 ‘인체에 해롭지 ... ...
- 겨울 은하수 속의 진주 M37과학동아 l2003년 02호
- 마차부자리에 위치한 M37은 이런 산개성단 중에서도 가장 화려한 축에 속한다.오늘날 천문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M37은 2천여개의 별들로 이뤄져 있다고 한다. 지구에서 떨어진 거리는 4천5백60광년이고, 나이는 대략 2백만년 가량으로 밝혀졌다.마차부자리의 세 별무리 중 으뜸M37을 만나려면 먼저 ... ...
- 동양 공룡 VS 서양 공룡 티라노 필적하는 포악한 싸움꾼 양추아노사우루스과학동아 l2003년 02호
- 했다. 무게만으로도 울트라사우루스를 훨씬 능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물론 모든 학자들의 공인을 받기까지는 아직 시간이 필요하다.또한 30m 정도의 몸길이를 가졌던 세이스모사우루스(Seismosaurus)는 몸무게가 80t이 넘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때문에 세이스모사우루스도 가장 무거웠던 공룡 ... ...
- ②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 3인방과학동아 l2003년 02호
- 반도체를 이용한 유기 발광다이오드는 1987년에 미국의 이스트먼코닥사에 있는 중국인 과학자 칭 W. 탕에 의해 개발됐다. Alq3로 불리는 저분자 유기물질로 이뤄진 얇은 박막에 전류를 흘려주자 마치 무기 반도체 발광다이오드처럼 밝은 초록빛을 내는 것을 발견하고 특허를 출원했다.유기EL은 스스로 ... ...
이전4214224234244254264274284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