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글동글 새콤달콤 블루베리의 3색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최대한 작게 만들고, 싹을 틔우는 등의 따뜻한 날씨에 하던 일을 멈춰요. 이렇게 800시간 이상 겨울잠을 잘 자야 이듬해 여름에 다시 탐스러운 블루베리가 주렁주렁 달린답니다.빨갛게 물든 블루베리 잎은 차로 끓여 마실 수 있어요. 찻잎으로 만든 블루베리 잎을 뜨거운 물에 넣고 우려내면 향긋한 ... ...
- [수학뉴스] 달리기를 잘 하고 싶다면 수학에 주목하라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이블린대(UVSQ)의 수학자 아망딘 아프탈리옹과 프레데리크 보낭스 교수는 최근 가장 이상적인 달리기 전략을 찾아 주는 방정식을 발표했다. 이 방정식을 이용하면, 주어진 거리를 가장 빨리 뛰는 조건을 찾을 수 있다.‘달리기 방정식’은 일종의 미분 방정식이다. 아프탈리옹 교수와 보낭스 교수는 ... ...
- [시사] tvN 월화드라마 라이어게임 극한심리추적극 필승법은 수학이다!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참가자는 딜러에게서 5장의 카드를 받는다. 한 번의 카드 교환 기회를 이용해 2장 이상 같은 문자가 나열되도록 카드를 만들어야 한다. 같은 문자가 많이 나온 사람이 이기기 때문이다. 게임은 총 10번 진행되는데, 매번 새 트럼프를 사용하고 힌두 셔플★과 리플 셔플★만을 사용해서 카드를 섞는다 ...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수 있는 속도를 지구 탈출 속도라고 한다. 지구의 탈출속도는 초속 약 11.2km다. 1초에 11.2km 이상으로 꾸준히 날아가야 지구를 탈출할 수 있다는 소리다. 지름이 지구의 100배인 태양의 탈출 속도는 초속 약 618km이다. 탈출 속도는 보통 천체가 크고 무거울수록 커진다. 그렇다면 1초에 약 30만km를 가는 ... ...
- 주머니 속 동전 줄이기!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수 있는 동전을 최대 50개까지만 허용하고 있다. 거래를 목적으로 상대방에게 일정 한도 이상의 동전을 받도록 강제할 수 없는 것이다. 단, 상대방이 한도를 넘는 동전을 기꺼이 받는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거래할 수 있다.가장 효율적인 액면 체계는?화폐의 액면 체계를 제대로 평가하려면 화폐의 ... ...
- 시험공부에 딱! 똑똑한 필기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다시 보내면 펜이 필요한 친구들에게 전해진답니다. 잠깐! 펜을 기부하기 전에 잉크가 ⅔ 이상 남아 있는지, 고장 난 것은 아닌지 꼭 확인해야 해요. 현재 3차 기부를 6, 7월에 진행하고 있으니 안 쓰는 펜이 있는 친구들은 서둘러 기부해 주세요! 기부는 땡큐 베리 감사~♡틀렸어! 철자를 알려 주는 ... ...
- PART 3 웜홀 타고 우주여행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있어 화제가 되고 있다.★내용 누설이 있으니 영화를 볼 계획이면 관람 뒤에 읽으세요.더 이상 살아가기 힘든 지구를 대체할 새로운 행성이 필요했다. 희망을 찾아 우주로 떠났다. 때마침 탐사대 앞에 윔홀이 나타났고 무사히 통과했다. 세 개의 유력한 후보 중 첫 번째 행성에 도착한 탐사대. 온통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수학의 실체와 예술수학동아 l2014년 12호
- 사람이면 당연하다고 받아들일 만한 명제 몇 개를 설정하고 공리라 부른다. 그때부터 더 이상 그것에 대해서 ‘왜’라는 질문을 안 하기로 합의하는 것이다. 그런 공리에서 시작해서 올바른 연역법으로 만들 수 있는 모든 명제를 ‘정리’라고 부르는데, 정리 가운데는 복잡하고 믿기 어려운 것들도 ... ...
- PART5. 핵융합의 난관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멀지 않다고 확신하고 있다.재료 문제 역시 풀어야마침내 플라스마 가둠시간을 4초 이상으로 만들었다고 생각해 보자. 핵융합발전소를 건설하는 단계다. 이때부터는 새로운 문제가 우리를 괴롭힐 것이다. 바로 재료다. 플라스마의 가장자리 온도가 1000K 이하라 할지라도, 이 온도조차 오래 견딜 수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에 불과하다.성을 추적해 본 결과, 기존 예측치가 과대평가됐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1000m 이상 980개 500~1000m 1500개 300~500m 2400개 100~300m 1만5700개 100m 이하 NASA가 소행성궤도변경 임무를 추진하는 것도 이런 미확인 소행성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임무에는 여러 가지 세부계획이 포함돼 있는 ...
이전4214224234244254264274284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