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에너지"(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만든 것이다. ATPase는 모터처럼 돌면서 기능을 수행하는 모터분자다. 즉 ATP의 화학 에너지를 이용해 기계적 일을 한다. 코넬대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프로펠러는 ATPase의 모터분자 특성을 이용한 것이다. 그들은 ATPase를 작은 기둥 위에 놓고, 나노공정 기술을 이용해 여기에 작은 프로펠러를 달았다. ... ...
- 살아있는 암세포 생생한 영상 실현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레이저는 유도 방출돼 증폭된 빛으로서 단일 파장에서 높은 에너지를 갖는다. 또 레이저 에너지를 좁은 영역에 집속시킬 수도 있다.이런 특성이 있는 레이저는 일상생활에서도 많이 사용된다. CD 플레이어와 CD롬 드라이브, 초고속 통신망으로 이용되는 광통신, 그리고 근시교정이나 피부의 반점을 ... ...
- 한국인 과학자 게놈프로젝트에 기여과학동아 l2001년 03호
- 현재 간경화 치료제를 개발중이다. 또한 인간게놈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는 미국 에너지부로부터 1천만 달러의 연구비를 받기도 했다.유전자 정보 수집하는 중책 맡기도김교수와 공동으로 이번에 네이처 논문을 발표한 미국립생명공학정보센터의 장원희박사는 전세계 연구팀이 모은 염기서열과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2 수도원에 뿌려진 작은 씨앗에서 피어난 신기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결정했다. 유전자를 상업적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됐다.1988년 국립보건원(NIH)과 에너지성(DOE)은 인간게놈프로젝트 진행에 합의했다.1990년 다국적팀에 의해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시작됐다.1994년 미국의 크레이그 벤터는 다국적팀에 대항해 게놈연구를 시작했다.1996년 효모의 전체 게놈이 해독됐다. ... ...
- 킥보드의 물리학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무려 1백 - 1천배 정도 적다고 한다. 때문에 바퀴가 달려있는 기구를 이용하면 적은 에너지로도 쉽게 멀리 갈 수 있어서 여러 종류의 운송수단이 바퀴를 달고 있지 않은가.위급상황에서 잘 멈추지 않는 이유그러나 이같은 눈부신 이동에서의 편리한 장점과는 달리 안전에 문제가 있다. 지난해 10월 5일 ... ...
- 과학으로 풀어본 희로애락 - 웃음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설명한다. 오래 전 칸트가 설파했던 웃음의 역할과 궤를 함께 한다. 즉 안에 갇혔던 에너지를 웃음을 통해 방출하면서 대화의 창을 열고, 마음을 열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웃음은 사회의 개개인을 결속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고리 역할을 하는 웃음의 피드백이 그룹으로부터 이탈되는 ... ...
- PART 2. 쓰레기 소각장 다이옥신 제거하는 나노화학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의해서 나타난다. 따라서 나노물질에서 발광하는 색은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더 큰 에너지 영역인 푸른색 영역으로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는 것이다.이처럼 크기에 따라 밴드갭의 크기가 바뀌는 것을 ‘양자크기효과’라고 한다.크기에 따라 다른 빛을 내는 나노물질의 성질을 이용한다면 한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1 인간게놈프로젝트 성공시킨 주인공과학동아 l2001년 03호
- jgi.doe.gov)로렌스 리버모어 연구소, 로렌스 버클리 연구소, 로스알마모스 국립연구소가 미 에너지성의 지원을 받아 1996년도부터 협력연구소로 다국적팀에 참여했다.2000년 4월에 5번, 16번, 19번 염색체는 모두 이 협력연구소에서 완성됐다. 1999년 10월부터 새로 협력관계를 맺은 스텐포드대 게놈 ... ...
- PART 3. 스타워스의 공간이동 가능성 연 나노소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소자의 작동 개념이 단순한 0, 1의 논리에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양자역학적 에너지 준위의 변화를 기본 소자로 한 양자컴퓨터 논리도 제시되고 있다. 이처럼 나노소자의 개발은 현재 존재하는 소자의 소형화만이 올바른 방향이 아니며, 새로운 소자의 작동·연결 논리를 기본으로 한 실제적인 ...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여러가지 조작을 한다. 사람을 포함해 모든 생명체는 무언가를 먹으면 그것을 분해해 에너지를 얻고, 아미노산이나 단백질 등도 만들어 삶을 살아간다. 이것을 통틀어 대사회로라고 한다. 이 대사회로를 연구자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인위적으로 조작해서 원하는 물질을 더 많이 만들도록 하는 것이 ... ...
이전4214224234244254264274284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