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뉴스
"
유전
"(으)로 총 6,598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천재가 아닌 사람들의 과학
2019.04.25
다닌다. 과학자가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 townlab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
학자가 바라보는 사회에 대한 책 《플라이룸》을 출판했다 ... ...
[의학게시판] 춘천 '당뇨인 걷기대회 행사'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설립허가를 받아 정식으로 설립됐다. 본 협회는 스타트업부터 중견기업, 세계 최대
유전
자 분석장비기업까지 다양한 규모의 회원사들이 체외진단기기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뜻을 모아 국내 최초로 설립했다. 정점규 젠바디 회장이 초대 회장을 맡았다. 협회는 기술력이 우수하나 인허가 및 시장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은 왜 편리한 날개를 버렸나
2019.04.24
떨어진 곳으로 이동해 서식지를 만든 후 성장 배경이 달랐던 다른 개체를 만나 다양한
유전
자를 섞으며 번식 한다. 그러나 덩치가 하나의 큰 생명체인 개미 집단은 날개가 없으므로 세력을 이동하고 빠르게 확산하는 데는 시간이 걸리지만 일단 자리를 잡으면 그들을 막을 어떠한 천적도 없으므로 ... ...
영화속 스파이디와 앤트맨, 곤충 공포증 극복에 효과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않은 상황에서도 특정 대상을 필사적으로 피하고자 하거나 두려워한다. 원인으로는
유전
적 요인이 꼽히긴 하나 아직 불분명한 상태다. 생물학적으로 불안을 매개하는 신경회로의 이상이 특정공포증의 발병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곤충 공포증과 곤충을 모티프로 한 영화 간의 ... ...
‘
유전
체 표준’ 세계 두 번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위해서는 한국인의
유전
체 데이터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번 기술은 국내 업체들의
유전
체 검사 능력을 향상시켜 한국인을 위한 맞춤형 진단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녹지는 정신건강에 도움을 준다
2019.04.23
역치를 좌우하는 것도 아니다. 뇌의 회로가 형성되는 어린 시절 환경도 변수가 된다.
유전
자 덕분에 역치가 10으로 태어나도 아동학대를 받아 뇌의 회로가 스트레스에 민감하게 바뀌면 5로 떨어질 수 있다. 어릴 때 스트레스를 많이 받아 역치가 낮아지면 커서 스트레스에 더 취약해진다. 위의 실험 ... ...
기적의 항암제 '글리벡' 내성 원인
유전
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유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며 "추가 연구를 통해 GCA
유전
자를 만성 백혈병에 대한 치료제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진은 실험 결과 GCA 단백질이 여러 과정을 거쳐 결국 '세포의 자가포식' 현상을 활성화시키고 그결과 이매티닙 성분에 대한 ... ...
"바이오가 혁신성장 이끈다"…정부, 올해 3조원 투자
연합뉴스
l
2019.04.22
바이오기업과 전통 제약사들의 투자 확대도 눈에 띈다. 최근 코오롱생명과학[102940]의
유전
자 치료제 '인보사케이주'(인보사) 사태로 잠시 주춤하지만 국내 바이오산업의 성장 잠재력은 여전하다는 게 업계 안팎의 평가다. 국내 대표 바이오 기업으로 평가받는 셀트리온은 미국, 유럽 등 ... ...
나라마다 흔한 식품 알레르기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2
주요 원인으로 지목한다. 이 중 가장 흔한 것은 우유와 달걀이다. 과학자들은 국가마다
유전
적 또는 환경적인 이유로 알레르기를 많이 유발하는 식품에 차이가 난다고 보고 있다. 국내에서 문제가 된 땅콩 알레르기만 해도 미국이 한국보다 6배쯤 흔하다. 지난해 7월 미국 콜로라도대와 싱가포르 ... ...
멸종위기 내몰리는 양서류, 원인은 진화하는 병균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아니라 라나바이러스란 병균도 양서류의 멸종에 원인으로 꼽히고 있으며 다양한
유전
형태의 항아리곰팡이가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서류의 멸종은 환경에 악영향을 준다. 양서류는 질병을 퍼뜨리는 모기를 먹는 동물이자 새나 다른 동물의 먹이가 된다. 양서류가 사라진다면 ... ...
이전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