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어린이과학동아
"
모습
"(으)로 총 5,590건 검색되었습니다.
20170816 전북지지오팀
탐사기록
l
20170817
늦반딧불이 애벌레가 빛내는
모습
포착 ...
동아 신문박물관에 다녀와서
기사
l
20170817
사실은 손기정 선수가 금메달을 땄을 때 동메달을 딴 선수도 우리나라 선수였다는 사실이었다. 마지막으로 신문에서 손기정 선수의
모습
을 오려내어 가슴에 태극기를 붙여주었다. 다른 친구들도 동아 신문박물관에 와서 우리나라 신문과 그 속에 담겨진 많은 이야기에 대해 알아보고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다. 다음에는 엄마와 동생도 함께 신문박물관에 ...
kds 707 낙서^^
포스팅
l
20170816
KDS 707 머리 풀렸을때
모습
을 상상하며 1분 낙서!!!어 잠시만 턱선이 잘못됐는데.????뭐 낙서니까 상관없겠지 그쵸 여러분?!? ...
소녀상의 슬픈 진실
기사
l
20170815
그때의 고통이 잊혀지지 않아 마음이 불편함을 의미합니다.둘째, 다른 소녀상들과는 달리 옆에 서 있는 소녀의 현재
모습
! 과거의 소녀
모습
과 현재의 할머니가 한 장소에 있음으로서 과거와 현재는 서로 분리 될수없고,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소녀의 손에 앉아있는 나비는 소녀상을 지키는 수호나비라고 합니다. 여러분도 소녀 ...
거미의 집짓기
기사
l
20170811
허해울 기자입니다. 오늘 제가 소개해 드릴 것은 거미의 집짓기입니다. 얼마 전 집 근처에서 거미가 집을 짓는
모습
을 보고 매우 신기해서 한번 알려 드리고 싶습니다. 거미는 사냥을 하기 위해 거미줄을 칩니다. 거미줄을 쳐서 거미의 먹이인 모기 파리 등을 잡아먹습니다. 이제 거미줄을 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먼저 거미는 항문 쪽에서 나오는 끈끈 ...
아름다운 DMZ 철원으로 떠나다!!
기사
l
20170810
이곳은 옛 북한과 남한을 오가던 열차가 있는 곳으로 역에 가다보면 '철마는 달리고 싶다.' 라는 표 지판이 있습니다. 비록 열차의
모습
이 초라해도 우리의 역사를 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기사를 읽어 주셔서 감사하고 다음 기사도 기대해 주세요!!! ... ...
와글와글 놀이터를 사용할때의 주의할 점을 알아보자!
기사
l
20170808
찰칵찰칵 캐릭터: 이곳은 주어진 장면을 따라해서 올리는 곳입니다. 하지만 인물의 표정을 따라하는 것이니 어쩔 수 없이 인상쓰는
모습
도 똑같이 하려고 모두 노력합니다. 하지만 그것을 보고 못생겼다 등 올린 사람이 기분 나쁘게 하는 말이 있습니다. *주의할 점* 사진을 올린 분께 기분 나쁜 말을 쓰지 맙시다. 너무 스티커로 꾸미거나 포토샵으로 수 ...
심심한 방학엔 한국 만화박물관으로!
기사
l
20170807
본떠서 진짜와 같이 만든 코너도 있었는데, 진짜 샤워기를 틀면 물이 나올 것 같은
모습
이었습니다. 다음 사진이 바로 샤워실
모습
을 한 곳입니다. 이렇게 재미있는 전시를 다 보았답니다. 여러 가지 재밌는 코너가 많고 어린이, 유아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게 유익해서 좋은 것 같습니다. 제가 추천하는 연령대는 7세~12세 입니다 ...
방관자 효과,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
기사
l
20170807
19 좀 불러주세요!"라고 한명을 지목하면, 지목당한 사람이 신고를 할 수 밖에 없죠. 이처럼 심폐소생술에서도 방관자 효과를 막으려는
모습
을 찾아볼 수 있어요. 방관자 효과는 사회를 혼란스럽게 만들어요.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그냥 지나치는 건 사회적 규범을 어지럽히는 것과 같은 것이니까요. 그러면 우리 사회에서 방관자 효과를 없애는 방법은 ...
생물 다양성을 되찾기 위한 발걸음 –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기사
l
20170805
멸종의 원인은 바로 인간의 활동이고 이로 인해 후아이, 캐롤라이나앵무, 나그네비둘기 등이 멸종되었습니다. 사라진 생물의
모습
을 보니 많이 안타까웠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는 선조들에게 물려받은 것이 아니라 후손들에게서 잠시 빌려 쓰고 있는 것이다.” 라고 하였습니다. 멸종 위기에 있는 생물을 보존하고 생물 다양성을 회복하기 위해 생물을 ...
이전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