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주황의 악당예찬1 - 배터리가 된 인간 일렉트로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직통으로 맞으면 스파이 더맨이라도 통구이가 된다. 그러나 막는 방법도 간단하 다.
바로
피뢰침이다. 피뢰침은 좁은 공간에 몰리는 전 기를 넓게 퍼뜨려 피해를 줄이는 물체다. 일렉트로가 뿜어내는 전기를 끝이 날카로운 곳(피뢰침)으로 유도만 하면 된다. 게다가 그렇게 유도된 고압 전기는 미리 ... ...
Part 1. 오늘 밤에도 동대문에 은빛 우주선이 내려온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튀어나온 부분의 무게는 기울어진 나무가 뿌리 채 뽑힐 것처럼 무겁다. 나무를 똑
바로
세울 수 없다면 남은 방법은 뿌리를 더 깊이 내리는 것뿐이다. 우선 건물이 기울어진 반대 방향에 지하로 400개의 콘크리트 말뚝을 박았다. 말뚝의 절반은 딱딱한 기반암까지 깊이 박았다.튀어나온 부분의 하중이 ... ...
그녀는 왜 물탱크를 버렸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재료비가 들지 않으며, 오염도 되지 않은 깨끗한 수원이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바로
빗물이다.“인류는 아주 오래 전부터 빗물을 이용해 왔습니다. 100~200년 전까지도 빗물을 받아 식수와 생활용수로 썼는데, 생활수준이 높아지니까 빗물 기술이 낮은 수준으로 보이게 된 거죠. 하지만 남의 신세 안 ... ...
“우주선부터 인공장기까지 필요한 건 다 만듭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한성과학고 2) 3D 프린팅에도 진출할 수 있나요?A 3D 프린팅에서 가장 중요한 게 뭘까요?
바로
프린터에 쓰는 재료입니다. 종이 프린터만 봐도 잉크가 떨어지면 고철 덩어리일 뿐이에요. 3D 프린터는 어마어마하게 다양한 재료를 필요로 합니다. 산업계에서 플라스틱은 물론 금속, 인공장기를 위한 ... ...
아름다운 층간소음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만드는 연구소에서 기계 개발만큼 중요하게 연구하고 있는 것이
바로
소리를 창작하는 일이에요. 전화나 문자가 왔을 때 알려주는 벨소리와 스크린을 누를 때마다 들리는 소리는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귀청을 울릴 만큼 째지는 소리가 많았어요. 조용한 곳에서 문자가 오는 것만으로도 주변에 민폐를 ... ...
수학자 출신 억만장자 제임스 사이먼스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미분기하학을 연구한 이유는 대학교 2학년 때 처음 배웠는데, ‘내가 연구해야 할 분야가
바로
이거다!’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에요. 수학의 그 어떤 분야보다도 재미있었거든요.삶을 되돌아봤을 때 아쉬운 점이 있나요?제가 한 일에 대해서는 전혀 후회하지 않아요. 다만 수학공부를 더 열심히 ... ...
배낭여행 프로젝트 꽃보다 할배 in Spain 좌충우돌 수학여행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미술작품!꽃할배가 여행한 스페인에서 만날 수 있는 또 하나의 특별한 수학 유산은
바로
피카소의 작품이다. 20세기 최고의 화가로 손꼽히는 피카소는 스페인에서 태어났다. 비록 프랑스에서 주로 활동했지만, 그는 조국에 대한 관심을 다양한 작품으로 표현했다. 그래서 바르셀로나에는 피카소의 ... ...
첨단과학무기의 산실! 국방과학연구소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수학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무기 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속도와 정확성이에요. 적당한 속도와 높은 정확도를 구현하기 위해 수학이 쓰이는 것이죠. 실제로 이렇게 산업에 응용되는 수학을 연구하는 일은 정말 흥미로워요. 이를 위해서는 학문으로서 수학을 꾸준하게 ... ...
내 허파에 낀 초미세먼지는 정말 중국산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당시 차량 2부제를 시행한 결과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이산화황 등 대기오염물질이
바로
10%씩 줄었다.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중국산 미세먼지만 바라보고 있다가는 오히려 국내산 미세먼지에 뒤통수 맞는 일이 벌어진다”며 ”일단 우리가 할 수 있는 선에서 적극적으로 미세먼지 ... ...
[Knowledge] 질병은 적인가 동지인가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질병을 공중위생의 ‘적’으로 규정하고 박멸해야할 대상으로 만드는 본격적인 시도가
바로
빅토리아 시대 영국에서 이뤄진 것이다.이 시기를 전후해 질병에 대한 과학적인 분류도 생겨났다. 그간 ‘마녀의 특징’으로 간주되던 광기도 과학적 질병으로 이해되기 시작했다. 1810년 영국의사 존 ... ...
이전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