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끝"(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통민속놀이로 배우는 과학과학동아 l2000년 02호
- 새끼손가락 만한 굵기의 곧은 나무 끝에 명주실로 꼬은 노끈을 매서 만들었다. 노끈의 끝은 팽이를 칠 때 팽이의 몸에 감기면서 세게 돌려주는 목적으로 느슨하게 풀어놓는다.팽이치기에는 5-10m의 목표 지점을 설정해놓고 팽이채로 정확하게 팽이 허리를 치면서 빨리 돌아오기를 겨루는 놀이, 돌고 ... ...
- 만약 마찰이 없다면?과학동아 l2000년 02호
- 한다. 마찰이 없다면 비탈 중간에서는 스릴 넘치는 속도감을 즐길 수 있겠지만 맨 끝에서는 사람들이나 바위, 건물들과 충돌해 몸이 부서지는 것을 각오해야 할 것이다.3. 자전거나 자동차를 탈 수 있을까?물체는 정지해 있을 때 정지마찰력을, 미끄러지면 운동마찰력을, 그리고 구르면 구름 마찰력을 ... ...
- 축구공과 지오데식돔과학동아 l2000년 02호
- 내접하는 다면체를 ‘준정다면체’ 또는 ‘아르키메데스의 입체도형’이라고 한다. ‘끝이 잘린 정이십면체’는 13가지의 준정다면체 중 하나이다.실험실의 축구공 풀러렌축구공은 운동장만이 아니라 화학 실험실에도 존재한다. 다이아몬드와 흑연 분자는 순수하게 탄소로만 이루어진 것으로 ... ...
- 지구는 얼마나 클까?과학동아 l2000년 02호
- 수직으로 세우자. 막대 중앙을 가로지르는 직선을 긋고 추를 매단 실의 끝을 직선의 끝에 매달아 실과 직선이 일치하도록 막대를 세우면 된다.맑은 날 정오가 되면 막대 그림자의 길이를 정확하게 재자. 우리나라는 동경 135도에서의 시간을 표준으로 쓰고 있으므로 태양이 정남에 오는 시간은 30분 ... ...
- 인류는 어디서 발생했는가과학동아 l2000년 02호
- 기원설(multiregional continuity model)은 흔히 촛대형 모델(candelabra model)로 불린다. 끝이 여러 갈래로 나눠진 촛대를 떠올려보자. 아득한 옛날 인류는 한 뿌리에서 자라났지만, 곧선사람(Homo erectrus 또는 Homo heidelbergensis) 이전에 여러 갈래로 나눠져 세계 곳곳에서 발달했다는 ...
- 1만원권 지폐에 새겨진 자동 물시계 자격루과학동아 l2000년 02호
- 관한 모든 자료를 모으고 연구하도록 했다. 장영실은 이에 보답하듯 피나는 연구 끝에 세종 16년 숙원이던 자동물시계를 완성하고 경회루 앞에 설치할 수 있었다.과학사학자 전상운 교수(성신여대)는 자격루로 인해 “조선왕조는 완벽한 정밀기계 장치의 자동물시계를 국가 표준시계로 정확하게 ... ...
- 냄새와의 전쟁과학동아 l2000년 02호
- 후각 세포와 지지세포로 구성돼 있는 후각상피는 점막에 의해 덮여있다. 후각 세포 끝에는 후각섬모가 존재하는데, 이곳에 분포하는 냄새 수용체 단백질에 의해 냄새성분이 분석된다. 즉 어떤 냄새 성분이 수용체 단백질과 결합하면 생화학적 경로에 의해 화학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바뀌어 뇌가 ... ...
- 재미있는 공룡족보과학동아 l2000년 01호
- 꼬리 끝이 밋밋하며 머리가 길쭉한 종류(Nodosauridae)와, 머리는 넓적하며 꼬리 끝에는 커다란 곤봉모양의 뼈를 가진 안킬로사우루스와 유오플로케팔루스가 속한 종류(Ankylosauridae) 두 그룹으로 나눠진다.케라포다(Cerapoda)는 지나사우리아 그룹에서 진화했으며, 윗이빨의 바깥쪽, 아래 이빨의 안쪽 ... ...
- 동물들의 기발한 속임수과학동아 l2000년 01호
- 누적된 이후 자연스럽게 얻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즉 돌멩이처럼 떨어진다 해도 끝까지 따라가서 진짜 돌멩이인지 아니면 밤나방이 속이는 것인지를 확인하는 습성이 생긴 것이다. 천적으로부터 피하기 위한 또다른 방법은 거짓으로 자신이 강한척 허세를 떠는 일이다. 동물 가운데 최고의 ... ...
- 진화가 대칭성을 결정한다과학동아 l2000년 01호
- 구분 없는 식물 어느 식물이든 땅 속에 박고 있는 뿌리 끝과 하늘로 솟아오르는 줄기 끝은 분명하게 구분된다. 그러나 바다에 사는 식물이든 땅에 뿌리를 내리는 식물이든 앞뒤나 좌우의 차이는 거의 없다. 그것은 대개의 식물이 대체로 원뿔과 비슷한 대칭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수직 방향의 ... ...
이전4204214224234244254264274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