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뉴스
"
최대
"(으)로 총 7,072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해 얼음구멍 '빙호(氷湖)' 심해 CO₂방출로 될 수도
연합뉴스
l
2019.06.11
오아시스 같은 역할을 한다. 지난 1974년부터 3년 연속 뉴질랜드 크기의 역대
최대
빙호가 만들어지기도 했지만 최근 들어서는 거의 사라졌다가 지난 2016년과 2017년에 다시 나타났다. 러시아어로 "얼음 속 구멍"이라는 뜻의 '폴리냐(polynya)'로 불리는 빙호의 실체가 위성사진과 코끼리 ... ...
자석 갖다대는 것만으로도 수소 전기분해 효율 2배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비교했다. 0.4 테슬라(mT) 크기의 약한 자기장을 가했을 때에도 전류 발생량은 촉매에 따라
최대
2배까지 늘었다. 전기분해가 발생하면 산소 이온의 전자가 전극을 타고 이동하며 수소 이온으로 전해져 수소가 수소 분자로 환원된다. 이 과정에서 전류도 발생하게 된다. 연구팀은 자기장이 반응 동안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의사 니즈에 맞는 기술 개발해야”(끝)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넘어야 한다. 이전에는 식약처 허가 이후 보험등재까지
최대
520일가량 걸렸지만 최근
최대
390일로 단축됐다. 이처럼 인허가와 수가 관련 문턱이 점차 낮아져야 할 것이다.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이 협업하고 있다고 들었는데, 의료로봇을 개발하려면 어떤 연구 환경이 조성돼야 하나 실제 임상에서 ... ...
태양질량보다 1만 배 무거운 블랙홀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존재한다는 패러다임은 정설이 됐다. 거대 은하중심 블랙홀은 태양보다 100만 배에서
최대
100억 배까지 무거운 거대질량 블랙홀이다. 지난달 인류가 최초로 관측한 블랙홀인 M87은하 중심 블랙홀도 태양 질량의 66억배인 거대질량 블랙홀이다. 하지만 이보다 질량이 작은 블랙홀인 중간질량 블랙홀이 ... ...
6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이존수·김동석 씨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한국전력기술 부장과 김동석 클래시스 상무를 선정했다고 10일 밝혔다. 이존수 부장은
최대
발전 용량이 1000메가와트급인 삼척그린파워 1,2호기 발전소의 자동제어 논리회로를 설계하고, 지진에 대비해 수력 및 화력 발전설비의 내진 중요도를 분류하는 연구를 해 발전설비의 내진설계 기준을 ... ...
NASA “내년 일반인도 우주정거장 여행”...ISS 상업화 신호탄
동아사이언스
l
2019.06.09
ISS 방문을 허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로빈 가텐스 ISS 부국장은 1년에 2번 가량, 한번에
최대
30일까지 일반인 관광객들이 ISS에 방문할 수 있도록 하는 계획을 수립중이라고 밝혔다. NASA는 이번 ISS의 일반인 방문을 통해 상업적인 기회를 모색하고 마케팅을 꾀한다는 방침이다. 지금까지 NASA가 ... ...
2만6000명 참여하는 전례없는 법정공방… ‘포항지진’ 소송 본격화
동아사이언스
l
2019.06.08
1건을 제기했다. 이 소송에는 1만2000여명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는 24일부터
최대
2만6000여명이 참여하는 유례없는 지진 관련 소송이 본격화하는 것이다. ● 정신적 손해 피해보상 청구가 핵심...승소할 경우 1인당 평균 1500만원 보상 예상 2017년 11월 발생한 포항지진으로 건물이 무너진 모습. ... ...
바다밑 미지를 스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아래 세계는 아직도 미지 영역으로 남아 있다. 사람이 직접 눈으로 바다 밑을 볼 수 있는
최대
깊이가 수심 332m에 불과한 데다 심해 잠수정을 타고 깊은 바다 밑으로 내려가도 10㎞ 이하로는 가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것도 방대한 바다의 아주 일부분일 뿐이다. 바다 밑 해저 지형의 80%는 미지의 ... ...
“인간 지구력의 한계는 평상시 신진대사율 2.5배”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수 있는 에너지량은 약 20일 뒤에 급격히 평준화하며 휴식시 신진대사율의 약 2.5배가
최대
치인 것으로 분석됐다. 20일이 지나면 인체가 음식을 소화 및 흡수해 이를 에너지로 전환하는 것보다 더 많은 열량을 소모한 것이다. 특히 이 기간이 지나면 몸에 축적된 지방이나 근육을 태우며 체중이 ... ...
“외계행성 이름을 지어주세요”…IAU 100주년 국제공모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말한다. IAU는 약 100개국 1만3500명 이상의 천문학자 회원으로 구성된 천문학 분야 세계
최대
규모 국제기구로 천체 이름을 지정할 수 있는 공식적인 권한을 갖고 있다. 2006년 명왕성을 태양계 행성 목록에서 분리해 왜소행성으로 지정하기도 했다. 최근 몇 년 동안 천문학자들은 우리 은하의 별 ... ...
이전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