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품
물품
물건
화공약품
생산물
뉴스
"
제품
"(으)로 총 4,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황화몰리브덴 차곡차곡 4층 쌓았더니
2014.10.21
발광 현상을 도왔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와 초경량 전자
제품
에 응용할 수 있다”며 “단일층 소재에 국한됐던 연구가 돌파구를 찾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학술지 ‘나노레터스’ 온라인판 9월 29일자에 실렸다. ... ...
텅스텐 나노 분말로 방사선 완전 차폐
2014.10.20
친환경적이기까지 하다. 원자력연구원은 값비싼 압축성형 공정 대신 압출공정을 이용해
제품
을 대량 생산할 수 있어 가격 경쟁력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또 차폐재로 쓰이는 텅스텐 입자가 나노미터(nmㆍ1nm는 10억 분의 1m) 크기로 촘촘해 차폐 능력이 뛰어나며 필름형태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 ...
나노바이오융합기술 세계 최고 석학 루크 리 UC버클리 교수
2014.10.20
쌓을 수 있도록 지원해 줘야 한다. 충분한 경험이 쌓이면 새로운 아이디어로 혁신적인
제품
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 분야의 산업화를 위해서는 생산 공정의 혁신이 꼭 필요하다. 대규모 정밀 공정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정밀 생산공정은 상품의 질과 직결된 부분이기 때문에 ... ...
LED 교통신호등 수명 2배로 늘렸다
2014.10.14
1nm=10억 분의 1m) 수준의 입자 구조를 자유자재로 변화시켜 LED(발광다이오드) 관련
제품
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기술을 전국에서 쓰고 있는 LED(발광다이오드) 형 교통 신호등에 적용하면 지금보다 낮은 전력을 쓰면서도 사용기간을 두 배 이상 ... ...
“화재 경고! 노트북 전지에 화재 경고!”
2014.10.14
교수는 “리튬이온전지에서 불이 날 확률은 100만 분의 1 정도지만 매년 판매되는 전자
제품
양을 생각하면 작은 수치는 아니다”며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적용해 전지 화재 확률을 10억 분의 1 이하로 낮추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 ...
애벌레 한번 잡숴봐~
2014.10.08
애벌레’를 한시적 식품원료로 지정했다. 한시적 식품원료는 승인 받은 형태와
제품
으로만 판매가 가능한 것으로, 흰점박이꽃무지 애벌레의 경우 동결건조한 원형과 분말 형태만 인정받았다. 지금까지 농진청이 한시적 식품원료로 정한 곤충은 갈색거저리 애벌레가 유일했다. 한시적 ... ...
“손목에 스마트 밴드 차니 3㎏이 쑥 빠졌네~”
2014.10.05
보여주는 생생한 실습이 가능하다. 앱을 깔아주면 원하는 모양의 스피커나 TV같은 전자
제품
을 만들어 볼 수도 있다. KIST는 이 사업으로 10년간 매출 5900억 원과 1600명의 고용 창출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국내벤처 ‘포스트미디어’는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해 문화 체험을 쉽게 할 수 있는 기술을 ... ...
차세대 OLED TV, 기존 대비 3배 밝게 만드는 기술 개발
2014.10.01
3배 더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이 상용화 되면 TV나 컴퓨터 모니터 같은
제품
의 성능이 한층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송명훈 울산과학기술대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은 전자부품연구원, KAIST, 충남대, 영국 케임브리지대, 임페리얼 칼리지가 참여한 공동연구를 통해 고분자 ... ...
차 안에서 데워진 생수, 마시지 마세요
2014.09.28
마신다면 문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마 교수는 “실험에 사용하지 않은 생수
제품
도 안전한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면서 “물이 아닌 커피나 주스처럼 산성을 띤 음료수를 플라스틱 용기에 넣은 채 더운 환경에 장기보관한 경우 문제가 더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 ...
세균온상 스마트폰 안심하고 쓰는 기술 개발됐다
2014.09.28
지금까지 모니터나 스마트폰 터치패널 등에 항균기능을 추가하려면 고가의 은나노
제품
을 써야 했기 때문에 국내 관련산업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충남대 재료공학과 윤순길 교수팀은 은 나노입자보다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항균특성을 보이는 아연 나노입자를 활용해 터치에 강하고 ... ...
이전
419
42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