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해외취재] 2013 태국 탐사대, 카오 야이 국립공원에 가다!수학동아 l2013년 03호
- “이번 기회를 통해 한국 학생들에게 ‘태국의 자연’을 소개할 수 있어서 기뻤어요. 한국에서 접해 보지 못한 태국의 자연과 문화, 음식, 전통 체험이 즐거웠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무엇보다 일주일 동안 함께하면서 우애롭게 관계를 쌓아가는 학생들의 모습이 인상 깊었어요.”이번 탐사대의 모든 ... ...
- 숨은 보물단지를 찾아라! 빅 데이터수학동아 l2013년 03호
- 금 나와라, 뚝딱! 은 나와라, 뚝딱! 말하는 대로 금은보화가 쏟아지는 도깨비 방망이~! 금 나와라, 뚝딱! 은 나와라, 뚝딱!엥, 뭐야?! 방망이를 잘못 두드린 건가? 동생은 보물이 나오는데, 왜 난 요상한 동그라미 모양의 판만 나오는 거야?아이고, 무식하기 짝이 없구먼. CD 안에 얼마나 많은 보물이 숨 ... ...
- 미래 꿈나무 과학캠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캠프는 폐광지역에 사는 어린이들이 과학자의 꿈을 키우는 데 좋은 밑거름이 되었답니다.한국광해관리공단광산개발로 훼손, 오염된 자연과 환경을 되돌리고, 폐광지역의 경제를 되살리기 위해 2006년에 세워진 기관입니다. 친환경적 광산 개발, 폐광지역 환경오염문제 대처, 폐광지역 근로자 일자리 ... ...
- 다시 움직이는 영광원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있었지요. 이런 부품을 쓰면 원전의 안전에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답니다. 이 때문에 한국수력원자력은 위조 부품을 정품으로 교체하고, 문제가 있는 원전의 가동을 중단했어요. 그러다가 2012년 12월 31일에 재가동 승인이 나서 5호기는 다시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지요. 한겨울의 전력난을 줄이기 ... ...
- 가장 특별한 스페셜올림픽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2호
- 환경에 나서는 걸 두려워했던 사람들도 경기에 참가하면서 사회에 점점 적응하고 있어요.한국에서 처음 열리는 스페셜올림픽스페셜올림픽은 2년에 한 번씩 하계와 동계올림픽이 번갈아 열려요. 이번 동계스페셜올림픽은 1월 29일부터 2월 5일까지 8일 동안 강원 평창군에서 열린답니다. 2013 평창 ... ...
-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입증한 수학자 튜링수학동아 l2013년 02호
- 그의 탄생 100주년이었던 작년에는 각종 기념행사가 세계 도처에서 개최되었고, 한국에서도 튜링 탄생 100주년 기념 학술대회가 열렸다. 튜링은 어떤 수학자였을까? 암호해독의 달인알란 튜링은 1912년에 영국 런던에서 태어나 1954년 42세의 젊은 나이로 요절했다. 20세기 초반을 살다간 불세출의 ... ...
- 재즈 피아니스트가 된 수학 영재, 고희안 교수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집이 발매될 예정이에요. 프렐류드가 활동하는 동안 많은 재즈 밴드들이 해체됐어요. 전 한국 재즈에 대한 책임감을 갖고 역할을 해나가고 싶어요. 현재 여러 대학에서 강의도 하고 있는데요, 학생들에게 재즈 피아니스트로서 롤 모델도 되어 주고 싶습니다.또 음악을 필요로 하는 곳에서 ... ...
- 수학클리닉의 영상은 우리가 책임진다!수학동아 l2013년 02호
- HBS 학생들은 올해 수학동아 특별기자로 선정됐다. 자신들의 재능을 살려 수학동아와 한국수학교육학회가 함께하는 수학클리닉 동영상 제작에 참여하기로 한 것이다. 학생들은 어떤 계기로 참여하게 됐을까?“방송부 활동을 교내에서는 많이 해왔지만, 교외에서 할 수 있는 경험은 많지 않았어요. ... ...
- PART 1. 글로벌호크, 한반도에 뜰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비행하며 3000km의 동북아 전역을 감시할 수 있다.글로벌호크는 최강의 무인기인가구삼옥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무인기체계실장 “글로벌호크는 가장 높은 고도에서 나는, 전쟁수행능력이 입증된 무인정찰기”라고 설명했다. 1998년 처음 개발된 이후 ‘세계를 나는 매’라는 이름에 걸맞게 각국의 ... ...
- [hot science] 외계인이 탐낸 물 우주에는 넘쳐난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별의 밝기 차이가 너무 커서 정밀한 기술이 필요하다.외계 행성을 연구하는 김승리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현재 기술로는 표면 온도를 추정해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따져보거나 모델링을 통해 대기 현상을 추측하는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며 “직접적으로 물을 찾는 건 현재 ... ...
이전4194204214224234244254264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