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처음"(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글의 왕자, ‘정그리 타자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주사위 퍼즐 정글이다. 나무 주사위를 던져서 건너가야 한다.물론 나무에서 떨어지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미션4 타자나의 여자친구“타자나를 만나고 싶어요?”간신히 늪을 건넌 썰렁홈즈 앞에 구세주처럼 나타난 사람은 바로 타자나의 여자 친구였다.“저는 ‘그레이스토크 ... ...
- ‘스마트’하게 즐기는 수백 년 전 과학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갈릴레이나는 직접 제작한 망원경으로 우주를 들여다봤어. 아마 지구인 중에서는 처음일 거야, 에헴. 1609년에 만든 최초의 망원경은 물체를 3배 정도 확대할 수 있었지. 하지만 이후 렌즈와 경통을 조합해서 20~30배 짜리 망원경으로 개량했어. 난 이 망원경으로 달의 울퉁불퉁한 겉모습을 관찰하고 ... ...
- 소설, 수학을 삼키다!수학동아 l2013년 11호
- 멸망하는 건 아닐까?다행히 맬서스의 주장은 틀렸다. 그가 예측한 대로라면 인구론이 처음 제기된 1798년에서 200년이 지난 1998년에는 인구와 식량의 비가 256:9여야 했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았다. 맬서스가 인구론을 주장할 당시는 산업혁명 초기로, 20세기 산업이 이렇게 발달할 줄 몰랐기 때문에 틀린 ...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힉스 입자’ 라는 이름이 붙은 계기로는 세계적인 입자물리학자였던 고 이휘소 박사가 처음 써서라는 설이 유력하다.오해 5 | 힉스 입자는 하나다?올해 4월 말 방한한 롤프-디터 호이어 CERN 소장은 과학동아와의 인터뷰에서 “이번에 발견한 힉스 입자가 유일한 힉스일지, 여러 힉스 중 하나일지 ... ...
- [INTERVIEW] “1000호 소장 독자가 되겠습니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씨가 과학동아를 처음 만난 것은 1986년 1월 서점 에서다. 학력고사를 마치고 나서 책을 사러 서점에 들렀다가 과학동아 창간 소식을 듣고 구매한 뒤 지금까지 꾸준히 구독하고 있다. 과학동아의 86학번 동기인 그를 만나기 위해 10월 6일 저녁 창원시 진해구 소재 자택을 찾았다.주 씨가 과학동아를 ... ...
- 오직 근육의 힘으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학생들의 노고를 보여주는 듯 했다.“자, 이제 가보자!”“잠깐, 잠깐, 잠깐! 스톱!”올해 처음으로 출전해 긴장한 모습이 역력했던 이 팀은 전속력으로 이륙을 시도하려다 멈추기를 다섯 차례나 반복했다. 이륙선을 넘지 않으면 10분 동안 얼마든지 이륙을 다시 시도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 신중한 ... ...
- 외국계 회사에서 영어보다 중요한 것은 공학에 대한 열정 (전용구 퀄컴 씨디엠에이 테크날러지 코리아 이사)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수단일 뿐입니다. 지식이 충분하다면 영어는 따라오게 돼있습니다.” 미디어와 만남이 처음이라는 전 이사는 인터뷰 내내 조심스러운 표정을 지으면서도 자신이 걸어온 길에 대해 또박또박 설명했다. 꼼꼼함과 신중함을 갖춘 전형적인 엔지니어 모습이다. 세계 최초로 출시되는 휴대폰을 만드는 ... ...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결심했습니다. 고2 때 게놈 연구를 해야겠다는 결정을 했습니다. 그 때 8비트 컴퓨터가 처음 나왔습니다. 컴퓨터를 보니까 이 세상의 모든 것도 컴퓨팅으로 가능해질 것을 예상했습니다. 그래서 게놈과 컴퓨터 두 가지를 함께 하는 것으로 결심했습니다.” 당시부터 박 소장은 컴퓨터 프로그램 코딩을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치면 이제 초등학교 고학년 정도 되는 나이라고 말한다. “회사도 사람과 똑같아요. 처음엔 먹이고 재우는 일까지 일일이 챙겨줘야 할 정도로 손이 많이 가죠. 하지만 어느 정도 키우면 스스로 밥 먹고 학교에 갈 수는 있게 되잖아요. 천랩도 그래요. 이제 혼자서도 어느 정도 살아가네요.(웃음)”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로봇은 일본의 아시모 등이 유명하지만 연구용으로 실제 판매된 것은 휴보2가 세계에서 처음이었다. 최근에는 세계적 IT기업 구글에서도 휴보 2대를 구입했다. 오 교수는 미국 공동연구팀과 함께 미국 국방성산하 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개최하고 있는 ‘DARPA로보틱스챌린지’에 출전하고 있다. ... ...
이전4194204214224234244254264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