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과학동아 l2010년 01호
- 심해를 탐사하기 위한 수중로봇과 같은 다양한 아이디어들이 제안되고 있다.유로파 다음에 있는 가니메데는 목성에서뿐 아니라 우리 태양계에서도 첫 번째로 큰 위성이다. 갈릴레오 위성 중에서 맨 바깥을 도는 칼리스토 역시 덩치가 커 크기가 태양계에서 세 번째다. 둘은 크기와 밀도가 비 ... ...
- 미래 대 예측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1호
- 하나로 모였다가 다시 흩어지는 일을 반복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현재의 대륙 바로 다음에 등장할 하나의 대륙의 모습은 연구한 과학자에 따라 ‘노보 판게아’, ‘아마시아’, ‘판게아 프록시마’로 불린다. 이 중 노보 판게아와 아마시아는 동아시아와 아메리카 대륙이 만나며 만들어지는 ... ...
- [인터뷰] 최초의 여자 대통령을 꿈꾸는 수학 영재수학동아 l2010년 01호
- 경솔한 행동을 한 죄로 가을 학생은 놀이동산에도 가지 못하고 숙소에 있었대.“다음날 제가 대상을 탔다고 연락이 왔어요. 엄마가 저에게 많이 미안해하셨죠. 대상을 탔다고 하니 ‘내가 세계에서 1등이다’라는 생각에 정말 좋았어요. 하지만 전날 야단을 많이 맞은 탓에 친구들 앞에서는 겸손하게 ... ...
- 타임머신수학동아 l2010년 01호
- 공간입니다. 평면이 2차원이지요. 2차원에서 위치를 말하려면 수가 2개 필요합니다. 다음 그림을 보세요. 평면에 2개의 축을 그려 좌표를 만들면 수 2개를 이용해 어디에 있는 점이라도 모두 위치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삼각형이나 사각형과 같은 평면도형은 모두 2차원에 속한 도형입니다. 2차원의 ... ...
- 풀지 않고 필요한 정보 알아내는 암호 체계과학동아 l2010년 01호
- 함수도 있다. 함수g(x)=2x 라고 놓자. 그러면에서 식의 왼쪽 편처럼 먼저 덧셈을 한(즉 3 + 1) 다음에 g를 적용한 3 + 1)과, 오른쪽 편처럼 따로따로 g를 적용하고(즉 g(3)과 g(1)을 계산해 놓고) 나중에 곱셈을 한 g(3)×g(1)이 같은 결과를 준다. 한편 지수함수 대신에 로그함수를 사용하면 곱셈구조를 ... ...
- 정신적 에너지 보충하는 행위 꿈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들면 1단계부터 4단계까지 얕은 수면에서부터 깊은 수면에 빠져들게 된다. 꿈수면은 그 다음에 나타난다. 꿈수면의 얕기는 1단계와 같지만 뇌의 활동량이 증가하면서 안구가 급속히 움직이므로 꿈수면을 급속안구수면 또는 렘(REM, RapidEye Movement)수면이라고도 한다.꿈은 낮 동안에 학습된 정보를 ... ...
- 지식과 논리 갖춘 창의력이 관건과학동아 l2010년 01호
- 변하므로 전체 자속의 변화와 유도 기전력의 방향을 예측해 전류 곡선을 그려주면 된다. 다음 화학 문제에서 ⑴번은 양쪽 장치에서 압력 차이로 액체가 이동하는 물에 잘 용해되는 기체를 찾는 간단한 문제이고, ⑵번은 압력 차이를 발생시키는 기체의 몰수 변화를 얻는 원리를 활용해 액체와 ... ...
- [허풍의 퍼즐 세계일주] 칼잡이 잭의 부활?수학동아 l2010년 01호
- 잡아 거액의 현상금을 손에 넣는다. 허풍과 도형은 그 어느 때보다도 한껏 들뜬 마음으로 다음 여행지인 영국으로 향한다. 그런데 이게 웬일? 허풍과 도형을 영국경찰이 맞이하는데…, 이번 여행에선 어떤 일이 기다리고 있는 걸까?1. 칼잡이 잭의 망령안개가 자욱한 월요일 아침 런던의 출근길. ...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수학동아 l2010년 01호
- 이번 기회를 통해 우리 조상이 얼마나 체계적이고 치밀했는지 깨달으셨겠죠. 다음에는 더욱 새롭고 흥미로운 내용으로 찾아가겠습니다. 시청자 참여도 잊지 마세요! 감사합니다~.특별 대담 국오현의 한국 수학사새해를 맞아 특별히 준비한 국오현의 ‘한국 수학사’ 시간입니다. 국오현 씨, 수학의 ... ...
- 기하학의 새로운 탄생, 좌표평면수학동아 l2010년 01호
- A의 원소 a와 집합 B의 원소 b를 취해, 순서대로 만든 a와 b의 쌍 (a, b)입니다.예를 들어, 다음처럼 좌표평면이 있을 때 각각의 점을 x축과 y축을 집합이라 생각하면 x축에서 숫자 하나, y축에서 숫자 하나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1,1), (2,2), (3,3)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이죠. 데카르트의 좌표 ... ...
이전4194204214224234244254264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