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태양계 밖 - 외계행성의 비밀을 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크기의 뜨거운 외계행성은 ‘GJ 3470b’와 ‘GJ 436b’가 거의 유일하지요. 천문학자들은 ‘중간 크기의 행성들은 증발되어 크기가 줄어들기 때문’이라고 추측했답니다. 그런데 최근 스위스 제네바대학교 빈센트 버리어 박사팀은 허블우주망원경이 측정한 GJ 3470b 행성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 ...
- [가상인터뷰] 도시 개구리가 숲 개구리보다 인기가 많은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몸에 돌기가 있어 울퉁불퉁한 갈색 피부를 갖고 있단다. 우리는 파나마의 명물 개구리 중 하나야. 게임 효과음 같은 ‘뿅뿅’ 소리를 내기 때문이지. 우리를 ‘퉁가라’라고 부르는 이유도 이 울음소리에서 따온 거란다. 우리는 5~12월이 되면 해 질 녘에 노래를 불러. ‘퉁 퉁 퉁’ 하고 단순한 ... ...
- Part 2. 변신 2 - 사람을 살린다! 의료용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연구하고 있어요. 특히 ‘췌도’와 ‘각막’ 이식에 집중하고 있지요. Q 많은 장기 중에서 왜하필 췌도와 각막인가요? 장기기증자가 사망한 후에 장기를 얻는데, 췌장엔 소화효소가 많아 금세 조직이 흐물흐물하게 변해요. 그래서 한 사람에게 췌장을 이식하기 위해선 2~4명의 기증자가 ... ...
- [실전! 반려동물] 이구아나야, 왜 줘도 먹지를 못하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위주(사료)의 식사를 섞어서 제공해 주면 되지요. 이때 채소의 종류와 각 먹이의 비율이 중요해요. 영양분을 골고루 섭취하지 않으면 이구아나는 영양 불균형으로 각종 질병에 걸린답니다. 야채는 칼슘과 칼륨이 풍부한 진한 녹색채소를 골라 주세요. 치커리, 청경채, 콜라드 등이 대표적이지요. ... ...
- [이투스 입시정보] 의예과, 인간 생명의 존엄과 건강한 삶의 가치 존중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오직 환자에 대한 나의 의무를 지키겠노라.- 제네바 선언(히포크라테스의 선서) 내용 중 -. * 이투스 이달의 학과 : 의예과 > 바로가기 - 서울대 의예과 > 자세히 보기 - 연세대 의예과 > 자세히 보기 - 고려대 의과대학 > 자세히 ... ...
- 슬기로운 진로 탐구생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기획‧제작함으로써 뷰티산업의 트렌드를 이끄는 기획자이자 창조가 -패션‧뷰티‧대중문화‧소셜미디어 분야에 대한 지속적 조사 및 연구-크리에이티브 컨텐츠 제작을 위한 아이디어 수집 및 기획-컨텐츠 홍보를 위한 마케팅 및 영업, 1인미디어 경영 주도 뷰티 크리에이터에 대해 더 알아보고 ... ...
- [프리미엄 리포트] 내 모든 걸 다 줬는데, 날 미워하면 안 ‘돼지’ 인류를 구원한 돼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임상시험을 연기할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2016년 마련한 법안은 현재 국회에서 계류 중이다.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법규 마련을 위해 움직이기 시작했지만,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의 연구가 종료되는 2019년 5월까지 법안이 국회에서 통과될 지는 미지수다. 현재 미국, 일본, 유럽 등은 ... ...
- Part 1.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문제를 해결했다. 창어 4호가 2019년 1월 무사히 달 뒷면 남극 에이트켄 분지에 착륙하면 중국은 달 뒤편의 심우주에서 오는 0.1~40MHz 수준의 저주파를 관측해 별이 소멸되는 과정과 다양한 성간 물질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계획이다 ... ...
- 현실같은 AR 게임 언제쯤 플레이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중요하다. 햅틱은 그리스 말로 터치를 뜻한다. ETRI는 초음파 원격 햅틱 기술을 개발 중이다. 이 기술은 인간이 들을 수 없는 40kHz(킬로헤르츠·1초에 4만 번 진동하는 주파수) 대역의 초음파를 200~300개 장치로 동시에 허공으로 발사해 피부에 압력을 가한다. 인공적인 촉각을 만드는 것이다. 황인욱 ETRI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완벽한 파티 만드는 램지 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잘 섞어야 비로소 좋은 부등식이 얻어집니다. 사실 램지 수로 생각할 수 있는 많은 수열 중에 R(3,t)만큼 증가 속도를 정확하게 알아낸 것이 거의 없을 만큼 램지 수의 연구가 어렵습니다. 그런데 거기에 붙은 상숫값을 이렇게나 많이 정밀하게 구할 수 있다는 것 또한 놀라운 일이지요. 우리가 알아낼 ... ...
이전4184194204214224234244254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