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도"(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살아있는 드릴? 돌 먹는 민물조개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안녕? 나는 과학마녀 일리야. 무더운 여름엔 물놀이만 한 피서가 없잖아. 그래서 더위를 피해 필리핀 아바탄 강에 놀러 왔어! 그런데 강 주변 바위엔 온통 구멍이 뽕뽕 뚫려있더라고. 바위를 갈라보니 그 안엔 벌레같이 생긴 하얀 친구가 있었어. 자기소개를 부탁해.반가워~, 친구들! 난 민물조개 ... ...
- 달 심우주 탐사 전진 기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NASA는 달 착륙, 달 기지 건설, 화성 탐사를 위해 차근차근 준비하고 있어요. 이를 위해 달 궤도 플랫폼 게이트웨이도 건설 중이지요. 우주 환승 센터 게이트웨이아르테미스 계획에는 우주정거장 ‘달 궤도 플랫폼 게이트웨이’ 건설이 포함돼요. 게이트웨이 건설은 두 단계로 진행돼요. 1단계는 202 ... ...
- [핫이슈] 아들과딸북클럽 LG클로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헤이, 클로이!”눈사람처럼 생긴 인공지능 교육용 홈로봇 ‘아들과딸북클럽 LG 클로이(CLOi)’의 이름을 부르자, 클로이가 얼굴 쪽 화면에 동그란 눈을 띄우고 꿈뻑거렸어요. 그리고는 목소리가 들린 쪽을 슬쩍 바라보고 명령을 기다렸지요. 클로이는 친근한 표정과 몸짓으로 친구처럼 놀면서 책 ... ...
- [핫이슈] 마이펫의 이중생활2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반려견과 인간, 누가 누굴 돌보는 걸까? 7월 31일에 개봉하는 애니메이션 는 2016년 큰 인기를 끌었던 의 두 번째 이야기예요. 반려인이 집을 비운 사이에 벌어지는 반려동물의 행동을 귀엽고 재치 있게 그린 시리즈지요.신작에서는 강아지 ‘맥스’가 동물 ... ...
- 음식물 쓰레기 처리 현장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자, 먹방 BJ라면 생생한 후기는 필수! 이번엔 현장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는 사람들을 직접 만나고 온 신수빈 기자를 만나보겠습니다. 신수빈 기자~? 공주 귀산초 음식물 쓰레기는 곤충이 처리한다?!지난 6월 24일, 충남 공주시에 있는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산업곤충연구소를 찾았어요. 음 ... ...
- 음식물 쓰레기 줄이는 방법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와우~! 그런데 음쓰가 많아지면 우리 파리들이야 물론 좋겠지만, 인간들은 이대로 괜찮은 걸까요? 쌓이는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사람들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도 한번 알아봤습니다. 웽~! 못생긴 음식, 버리지 마세요! 지구인 컴퍼니음식물 쓰레기는 우리가 먹고 남긴 것뿐만 아니라, ... ...
- 달 탐사선에서 들을 노래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여행에서 빠질 수 없는 준비물은 바로 신나는 음악이에요! 달 탐사를 떠날 때도 마찬가지죠. 달 탐사를 떠날 우주비행사들은 어떤 노래를 듣게 될까요? 2024년 달 탐사 우주인, BTS 노래 듣는다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5월 23일, 2024년에 다시 달에 착륙하겠다고 발표했어요. 그리고 6월 3일 SNS에 ... ...
- [통합과학교과서] 이상한 목소리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것이죠. 그 결과 헬륨을 마신 사람의 목소리가 높게 들리는 것이랍니다.헬륨과 반대의 일도 일어날 수 있어요. 육불화황(SF6)은 황 원자 하나를 6개의 불소 원자가 둘러싼 형태의 분자예요. 육불화황 기체는 대기보다 훨씬 무거워서, 소리의 속도도 초속 120m로 대기보다 현저히 느려지죠. 그 결과, ... ...
- [과학뉴스] 개의 눈이 선한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지난 6월 17일, 영국 포츠머스대학교 줄리아나 카민스키 연구원팀은 개가 선한 눈을 갖는 이유를 밝혔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이 개 6마리와 늑대 4마리를 해부해 얼굴 근육을 비교 분석한 결과, 늑대와 달리 개는 눈윗근육과 눈옆근육이 발달하도록 진화해 동글동글한 눈 모양을 만들 수 있는 것을 ... ...
- 이모지(Emoji)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히히, 이모지 세상에 온 걸 환영해! 노란색에 동그란 얼굴의 이모지를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서 만난 친구들이 많을 거야. 일본에서 태어난 우리는 지금은 미국에서도, 한국에서도 흔히 볼 수 있지. 우리가 널리 쓰인 지도 벌써 20년! 그동안 어떤 일이 있었을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 ...
이전4184194204214224234244254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