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날갯짓 하는 로봇새과학동아 l2010년 06호
- 현재 우리가 보는 형태의 비행체 구조로 비행실험을 했다.최초의 동력 비행이 성공한 이후 100년이 지난 최근에서야 고성능 초소형 모터와 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새처럼 날갯짓해 날아가는 생체 모방형 비행 기술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예를 들어 조류는 날개 근육과 뼈 관절을 비행 시 조절해 ... ...
- 세상을 바꾸는 학생 발명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역사를 새로 쓴 혁명 도구가 됐다. 수십 년간 유지된 음악 소비의 형태가 냅스터의 등장 이후 완전히 바뀌었다. 냅스터가 성공을 거두자 모피우스, 카자, 그록스터 등 다양한 파일 공유 서비스가 생겼다.미 정부는 P2P 기술을 이용해 통계 자료를 수집하고 필요한 부처에서 공유하며, 이를 적절히 ... ...
- 수 세기의 지혜, 진법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05호
- 때문에 나누어 떨어지는 수가 많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그러나 고대 바빌로니아 이후 이렇게 큰 수를 기본수로 택한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한 손의 손가락 개수인 5나 손가락과 발가락의 개수를 모두 더한 20을 기본수로 택한 경우가 오히려 더 많았다. 그린란드의 에스키모족, 사할린 섬의 ...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암모니아 분자를 사용한 메이저의 기본 원리로 1964년 노벨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이후 레이저광으로 홀로그래피를 발명한 영국 런던대의 데니스 가보는 1971년에, 메이저를 이용해 빅뱅이 일어났을 때 생긴 마이크로파(우주배경복사)를 발견한 벨연구소의 아노 펜지어스와 로버트 윌슨은 1978년에, ... ...
-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몰랐을 가능성을 충분히 제기할 수 있다. 고추가 한국에 들어온 시기가 임진왜란(1592년) 이후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고대부터 현대까지의 한국식품문화연구의 최고봉이었던 이성우 전 한양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1978년, 고추가 일본에서 담배와 함께 전파됐다고 주장했으며, 이는 곧 통설로 ... ...
- 나노응용시스템공학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나노과학을 이용해 실생활에 도움을 주는 데 있다. 나노과학이 처음 발표된 1990년대 초 이후 약 20년간 연구가 이뤄지며 공학 분야에서 나노과학을 이용해 새로운 소자, 회로, 시스템을 활용한 제품들이 만들어졌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에 와서 나노과학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이 분야가 ... ...
- 수학의 영웅들수학동아 l2010년 05호
- 못했다. 평범한 사람도 흔히 사용하는 방법이지만 증명은 쉽지 않았던 것이다. 케플러 이후 뉴턴, 라그랑주, 가우스, 힐베르트 등 내로라하는 수학자들이 이 문제에 달려들었지만 아무도 완벽하게 증명하지 못했다.결국 케플러의 추측이 완전히 증명되는 데는 무려 약 400년이 걸렸다. 1998년 미국의 ...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세기를 가지는 전자기장을 구현하기 위해 2015년까지 레이저의 출력을 10PW로 높이고 이후에는 엑사와트(EW, 1EW=1018W)까지 끌어올려 우주 초기 연구를 진행하겠다는 ‘ELI(Extreme Light Infrastructure)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다.미시세계 파헤치는 초스피드 레이저현재 APRI에서 만드는 고출력 레이저는 펄스 . ...
- 나로호 6월 9일 2차 발사과학동아 l2010년 05호
- 페어링이 정상 분리되지 않아 그 뒤부터 비정상적인 비행을 했기 때문에 상단로켓이 이후 작동과정이 제대로 이뤄졌다고 확신할 수 없다는 게 일부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나로호 발사가 실패할 경우 3번째 발사가 추진될 수 있을지도 여전히 미지수다. 올해부터 예산이 반영된 후속발사체인 KSLV-II ...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과학동아 l2010년 05호
- 거론되고 있다. 지금 이 시간에도 수많은 연구자들이 연구실에서, 자연현장에서 ‘석유 이후 자원’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과연 석유를 대체할 에너지가 있을까. 석유 시대는 과연 끝났을까명인성 vs 리처드 하인버그미국 텍사스를 거점으로 50년 가까이 석유 개발에 참여해온 명인성 박사는 ... ...
이전418419420421422423424425426 다음